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는 아이스 팩을 구비해 두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이를 키울 때는 물론 어른들을 위해서도, 부상을 당했거나 상처가 났을 때 또는 열이 날 때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안에 젤이 들어있는 팩은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굳이 불필요한 돈을 쓸 필요는 없다.
오늘 이 글에서는 비용을 절약하고 간단하게 집에서 아이스 팩을 만들 수 있는 6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아이스 팩 만드는 방법
아이스 팩을 만드는 방법은 정말 다양하다. 하지만 얼마나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소독용 알코올을 사용하면 팩에 얼음이 단단하게 굳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과 알코올을 섞어서 사용하면 얼음처럼 차갑지만 결정화되지 않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냥 녹아버리는 얼음조각과는 달리 원하는 만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팩이 녹으면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아이스 팩을 만드는 두 가지 방법을 알아보자.
참고 글 : 피부에 얼음을 대는 7가지 이점
1. 소독용 알코올 사용하기

필요한 재료
- 소독용 알코올 1컵 (250 ml) –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더 부드러운 아이스 팩을 만들 수 있다.
- 물 2컵 (500 ml)
- 지퍼백 2개
- 색깔 낼 수 있는 것 (선택 사항)
만드는 방법
- 물과 소독용 알코올을 지퍼백에 넣어 잘 섞는다.
- 색깔을 내고 싶다면, 지금 같이 넣어준다. 원하는 색상을 사용하면 된다. 시중에 판매되는 것과 비슷한 색을 내고 싶다면 파란색 식물성 염료를 2방울 넣으면 된다.
- 공기를 잘 빼고 지퍼백을 닫아 다른 지퍼백에 넣는다.
- 12시간 이상 얼린 후 사용한다.
보다시피 정말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 소독용 알코올이 집에 없다면 다른 재료를 활용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 방을 천연 소독하는 8가지 비법
2. 주방 세제 사용하기

필요한 재료
- 주방 세제
- 지퍼백 2개
만드는 방법
- 친환경 주방 세제 적당량 (작은 병 하나 정도)을 지퍼백에 넣는다.
- 공기를 최대한 빼서 지퍼백을 닫는다.
- 다른 지퍼백에 다시 넣어준다.
- 6시간 이상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사용한다.
아이스 팩이 필요한 이유
아이스 팩은 상처와 타박상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부상을 당했을 때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제품은 근육 경련이나 부상으로 인해 출혈이 날 때 사용하면 정말 유용하다. 빠르게 해당 부위를 회복할 수 있다.
-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액이 고이는 것을 막아 타박상이 생기는 것을 예방한다.
- 차가운 얼음을 피부에 바로 사용하면 피부가 따가울 수 있다. 그리고 얼음이 녹으면서 물이 생겨 불편해질 수도 있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없다.
- 냉동실에 넣어 다시 얼리면 언제든 재사용할 수 있다. 냉동실에 보관해 두고 필요할 때면 언제든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체 어느 부위에든 사용할 수 있다. 물을 넣어 얼린 아이스 팩처럼 견고하지 않아 무릎, 목, 허리 등 부상이 생긴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잘 만들어 활용해 보자! 얇은 천으로 피부를 감싼 뒤 얼음 팩으로 찜질을 하면 냉기가 피부에 바로 닿는 것도 막을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Kendall, F. P., McCreary, E. K., Provance, P. G., & Rod, M. M. (2007). Músculos: Provas e Funções – com postura e dor. Manole. https://doi.org/10.1016/j.ijlp.2004.08.011.
-
González, Á. (2010). El movimiento. Universidad de Salamanca.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
-
Damiano, J. (2017). Diagnóstico de dolor en el pie en el adulto. EMC – Aparato Locomotor. https://doi.org/10.1016/S1286-935X(16)82823-3.
-
Malanga GA, Yan N, Stark J. Mechanisms and efficacy of heat and cold therapies for musculoskeletal injury. Postgrad Med. 2015 Jan;127(1):57-65. doi: 10.1080/00325481.2015.992719. Epub 2014 Dec 15. PMID: 25526231.
-
Mac Auley DC. Ice therapy: how good is the evidence? Int J Sports Med. 2001 Jul;22(5):379-84. doi: 10.1055/s-2001-15656. PMID: 11510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