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는 헤어질 거라고 생각하고 결혼을 하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이혼을 하면 이혼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혼이라는 “실패”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 이혼을 원했든 아니든지 간에 이혼은 꿈꿔왔던 삶의 끝이므로 힘들 수 밖에 없다. 이혼을 극복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으며 치유하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
관계를 끝내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복잡한지는 그 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것들의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결혼을 유지했던 시간, 관계의 질, 서로 헌신했던 정도, 아이나 반려동물, 재산 등 공동으로 나누었던 것들에 달려있다.
연령, 직위, 사회적 관계 조차 이혼 후 극복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서로 기대며, 더 많은 유대 관계를 가졌을수록 더 힘들다. 이는 부부 관계뿐만 아니라 다른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이혼을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이혼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팁이 있을 뿐이다.
이혼을 극복하는 방법
과학적인 설명

인간의 감정을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이혼 과정과 이혼을 극복하는 데 드는 시간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다.
빙햄튼 뉴욕 주립대(Binghampton University)에서 진행한 연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혼을 극복하는 데 약 6개월에서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감정적인 성향이 더 심하지만, 남성보다 더 빨리 회복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남성들이 이혼을 극복하는 것을 더 어려워한다고 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혼을 극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6단계로 나뉜다.
- 전 남편이나 아내에 대해 우울증과 분노가 뒤 섞인 상태로 분리에 대해 불안해 한다.
- 변화와 불확실성에 의해 우왕좌왕 하는 상태이다.
- 과거에 소중했던 것들을 잃은 것에 대해 슬퍼하고 아파한다. 애도하는 단계이다.
-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이유를 찾고 싶어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 이혼을 받아들이고 과거를 잊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 이혼을 극복하고, 새로운 누군가를 만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과거에 대한 미련없이 미래를 직면하게 된다.
더 읽어보기: 이혼을 성장의 기회로 삼는 방법
이혼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팁

해야할 일
이혼을 하는 것은 가장 소중했던 것을 잃는 일이다. 혼자서도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혼은 사실 자신의 일부를 잃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혼 후, 이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따라야 할 몇 가지 단계가 있다.
- 현재의 느낌에 대해 누군가에게 솔직하게 말한다.
- 우리를 이해해주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자신의 감정이나 슬픔을 억압하지 말고, 숨기지 않는다. 솔직하고, 객관적인 표현으로 말하면 도움되는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긍정적인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별과 행복의 상실에 대해서만 계속 이야기하면 회복 속도는 더 느려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긍정적인 점을 계속 떠올리면 더 빨리 회복할 수 있다. 과거의 경험에서 배울 점을 찾아보자. 아무리 힘든 일도 언젠가는 다 재산이 된다.
- 이혼 과정에서 잃어버렸다고 생각되는 것에 집중하지 않는다. 자신을 재정의하고,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해 본다.
- 과거의 관계를 위해 희생한 것을 회복한다. 이혼을 했어도 불완전하지 않다. 이혼을 했어도 충분히 완전한 사람임을 인지하고, 스스로를 돌보기 시작한다.
- 자신의 삶을 찾는다. 관심있는 것을 검색하고 찾아가자.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새로운 삶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 관계를 맺는다.
더 읽어보기: 이별 후 다시 자신을 발견하는 법
하지 말아야 할 일

치유자인 수진 피즈(Susan Pease) 씨는 이혼 후 피해야 할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자신을 고립시키거나 감정에 취해 있지 않아야 한다. 도움을 구하고, 어떤 기분인지 표현한다.
- 다른 사람이 우리에게 무엇을 하라고 말할거라 기대하지 말자.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구할 수는 있지만 최종 결정은 스스로 해야한다.
- 가만이 있어도 회복될 거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 이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행동을 해야 한다.
- 기분 좋은 척 하지 않아야 한다. 기분이 안 좋은 것을 부정하려고 하지 말자. 화도 나고, 슬픈 게 정상이다. 치유 과정의 일부로 그냥 받아들여야 한다.
- 완벽주의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실수를 했다고도 생각하지 말자. 관계는 두 사람이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혼 책임은 두 사람 모두에게 있다. 스스로를 수용하자.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죄책감을 가지지 말자. 경험이라고 받아들이고 배울 점을 찾자.
몇몇 전문가들은 이혼을 극복하는 데 2 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면 하지 말아야 할 것 중 한 가지 이상을 하고 있는건 아닌지 돌아보라고 조언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새겨 두고, 슬픔을 극복하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orris, C. E. (2015). The Breakup Project: Using Evolutionary Theory to Predict and Interpret Responses to Romantic Relationship Dissolution.
-
Larson, G. M., & Sbarra, D. A. (2015). Participating in research on romantic breakups promotes emotional recovery via changes in self-concept clarity.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6(4), 399-406.
-
Gadoua, S. P. (2007). Contemplating divorce: A step-by-step guide to deciding whether to stay or go. New Harbinger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