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레인지는 주방에서 가장 자주 쓰기 때문에 더러워지기 쉽다. 온종일 여러 번 사용하면서 기름때가 쌓이기도 하지만 가스레인지 청소를 미루고 싶을 때가 많다. 시중에 판매하는 세제를 쓰면 청소가 훨씬 간단해지지만 몸에 좋지 않은 화학 성분이 포함된 세제는 피부나 호흡기는 물론 환경까지 손상할 수 있다.
다행히 이러한 걱정 없이 집에서 큰돈을 들이지 않고 만들어 쓸 수 있는 친환경 세제들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가스레인지 청소를 하고 싶을 때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세제 5가지를 소개하려고 한다.
친환경 재료로 가스레인지 청소하는 방법
1. 레몬즙
기름때 전문 세제는 대부분 주원료로 레몬즙을 사용한다. 가스레인지 위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수렴제 역할을 할 천연 산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재료
- 레몬 2개 분량의 즙
- 물 3컵(750mL)
만드는 법
- 레몬즙에 물 3컵을 타서 희석한다.
사용법
- 레몬즙과 물 혼합물에 적신 스펀지로 가스레인지를 잘 닦는다.
- 2분 후, 이번에는 극세사 수건으로 잔여물을 닦아낸다.
- 얼룩이 완전히 지워질 때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더 읽어보기: 검버섯에 가장 좋은 5가지 요법
2. 사과식초
사과식초는 유기농 산 함량이 높아서 가스레인지에 낀 기름때와 그을음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 또 사과식초의 살균 성분이 가스레인지 표면에 쌓인 박테리아를 없애고 불쾌한 악취까지 중성화한다.
재료
- 사과식초 2컵(500mL)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사과식초에 물 1컵을 넣어서 희석하고 데운다.
사용법
- 데지 않을 정도로 사과식초와 물 혼합물을 데우고 스펀지에 적셔서 가스레인지 위를 닦는다.
- 기름때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 닦아준다.
3. 백식초
백식초는 집 안 청소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훌륭한 살균제인 백식초의 산성 화합물은 음식 잔여물과 기름때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가스레인지 석쇠에 낀 불에 탄 기름때는 백 식초로 닦으면 깔끔하게 없앨 수 있다.
재료
- 백식초 1컵(250mL)
- 물 1/2컵(125mL)
만드는 법
백식초에 물 반 컵을 섞어서 분무기에 담는다.
사용법
- 백식초와 물 혼합물을 가스레인지에 뿌리고 스펀지나 수건으로 문지른다.
- 끈끈한 느낌이 있으면 백 식초를 그대로 쓴다.
4. 백식초와 레몬즙
백식초와 물 혼합물로도 기름때가 제거되지 않는다면 더 강력한 식초와 레몬즙을 섞어서 청소하자.
레몬즙과 식초 혼합물은 기름때에 깊숙이 침투하여 손쉽게 가스레인지 표면에서 분리되게 만든다.
재료
- 백식초 1컵(250mL)
- 레몬 2개 분량의 즙
만드는 법
- 백식초를 분무기에 붓고 레몬 2개 분량의 레몬즙과 섞는다.
- 골고루 섞이도록 분무기를 흔들어서 사용한다.
사용법
- 가스레인지 표면에 혼합물을 뿌리고 3분~5분간 기다린다.
- 시간이 되면 스펀지나 극세사 수건으로 가스레인지를 닦는다.
-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더 읽어보기: 셔츠 소매와 깃을 세탁하는 방법
5. 베이킹소다
베이킹소다는 연마 효과가 있어서 제거하기 어려운 기름때를 쉽게 떨어지도록 한다. 때가 심하게 낀 곳에 직접 베이킹소다를 뿌리면 가스레인지 표면이 깔끔해지고 박테리아까지 없앨 수 있다.
재료
- 베이킹소다 3 테이블스푼(27g)
- 레몬 오일 1티스푼(5g)
만드는 법
베이킹소다와 레몬 오일을 섞어서 반죽처럼 만든다.
사용법
- 혼합물을 가스레인지 위에 뿌리고 솔이나 스펀지로 닦는다.
- 5분간 기다렸다가 젖은 수건으로 잔여물을 없앤다.
- 매주 최소한 2번씩 가스레인지를 청소한다.
가스레인지가 더럽고 끈끈하지만 도저히 일반 세제로 해결할 수 없을 때 이 글에서 소개한 친환경 수제 세제를 만들어서 써보자. 금세 새것처럼 반짝거리는 가스레인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impieza, P. D. E. (2012). Limpieza y desinfección Cap.7. Instituto Nacional de Aprendizaje. https://doi.org/10.1016/B978-84-458-1898-5.50007-9
- Masschelein-Kleiner, L. (2004). Los solventes. Centro Nacional de Conserevación y Restauración. https://doi.org/10.1145/997817.997857
- Kahrs, R. (2013). Principios generales de la desinfección. Organización Mundial de Sanidad Animal.
- Vignoli, R. (2002). Esterilizacion y Desinfección. Instituto de Higiene. Universidad de La Republica.
- Barrenechea, A., & De Vargas, L. (2004). Desinfección. In Tratamiento de agua para consumo humano: Plantas de filtración rápi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