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에 대한 가장 흔한 질문은 “조산아는 병원에 얼마나 오래 입원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모든 아기가 다르고 개인별 진단이 필요하지만 일부 일반적인 지침이 있다. 오늘은 조산에 대해서 그리고 조산아는 병원에 얼마나 오래 입원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이 정보는 두려움 및 불확실성과 함께 이 단계를 겪고 있는 부모들에게 몇 가지 의심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조산이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조산아”은 임신 37주 전에 살아있는 상태로 태어난 아기를 뜻한다. 신생아 사망 위험이 높으므로 장, 단기적으로 아기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은 조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소이다.
- 빈혈증
- 산모 소변의 높은 카테콜아민 수치
- 흡연
- 막의 조기 파열(PRM)
- 동맥 고혈압(AHT)
- 질 출혈
- 요로 감염
- 산전 관리 부족 또는 부적절한 관리
- 산모가 20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 낮은 양막액 수치(양수과소증)
- 인공 유산 병력
- 임신중독증
- 쌍둥이 임신
더 읽어보기: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병원에서 조산아 돌보기
조기 진통 후 병원 인큐베이터에 머무르면 신생아는 발달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통계가 보여주는 것과 같이 의료 서비스는 조산아의 건강과 생존에 필수적이다. 그렇지만 어떤 관리가 필요한가?
- 즉각적인 모유 수유 및 수유 지원
- 열 균형을 유지하고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큐베이터 유지 관리
- 또한, 아기의 탯줄 및 피부 위생 관리
- 필요한 경우 호흡 보조 및 소생법
- 합병증(감염, 황달 등)의 경우 즉각적인 치료
더욱이 요즘에는 의료 발전 덕분에 다양한 기술이 부모와 신생아 사이에 유대를 촉진한다. 그중에서도 캥거루식 미숙아 돌보기가 눈에 띄는데,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자.
캥거루식 조산아 돌보기
캥거루식 조산아 돌보기는 조산아를 위한 기술로 산모와 아기의 피부 접촉과 산모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것, 수유(가능할 때마다 모유 수유), 자극, 보호 등을 기반으로 한다. 아빠나 다른 성인도 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병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산아에 대해 훨씬 더 인간적이고 자연스러운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체온, 음식, 보호에 대한 요구와 정서적 요구(안전과 사랑)를 만족시킨다. 동시에 부모는 자신들의 아기에 대해 감정적인 유대를 형성한다.
캥거루식 조산아 돌보기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부모는 아기의 진행상황에 따라 퇴원시 집에서 이 기술을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거의 항상 요구되는 만큼 외래 환자 후속 조치를 따른다.
더 읽어보기: 체중 감량에 모유 수유가 도움이 될까
조산아는 병원에 얼마나 오래 입원해야 할까?
의료 전문가들이 퇴원을 고려하는 몇 가지 요인은 아기의 체온과 체중이다.
우선, 부모는 병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아무리 짧아도 영원과 같이 느껴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조산에 대한 초기 충격 이후, 일상의 어려움과 조급함은 쌓여 간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아기에게 있어 병원이 가장 좋은 장소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조산아가 병원에 얼마나 오래 입원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요인은 많다. 그 중에서 숨을 쉬고 먹는 능력, 체온, 체중 변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신생아가 퇴원하기 위해 도달해야하는 표중 체준의 기준은 약 1.8kg이다. 대부분의 아기는 2~4주에 이 단계에 도달한다.
요컨대, 조산아가 집에 갈 수 있으려면 아래의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 인큐베이터 없이 하루나 이틀 동안 안정적인 체온을 유지해야 한다.
- 모유 수유나 젖병 수유를 통해 튜브 없이 수유할 수 있어야 한다.
- 체중이 1.8kg에 도달할 때까지 정기적으로 체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제 조산과 조산아에게 필요한 관리에 대해서 조금 더 알게 되었다. 그러나 각 경우는 독특하며 발달은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아기들이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항상 필요한 모든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WHO. (n.d.). Nacimientos Prematuros.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preterm-birth
- Ahumada-Barrios, M. E., & Alvarado, G. F. (2016). Risk Factors for premature birth in a hospital.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982444/
- Lawn, J. E., Davidge, R., Paul, V. K., von Xylander, S., de Graft Johnson, J., Costello, A., … & Molyneux, L. (2013). Born too soon: care for the preterm baby. Reproductive health, 10(S1), S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828583/
- Conde-Agudelo, A., Díaz-Rossello, J. L., & Belizan, J. M. (2008). Método madre canguro para reducir la morbimortalidad en neonatos con bajo peso al nacer. Revisió Cochrane traduïda). A: La Biblioteca Cochrane Plus, (4).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Jose_Luis_Diaz-Rossello2/publication/267822556_Metodo_madre_canguro_para_reducir_la_morbimortalidad_en_neonatos_con_bajo_peso_al_nacer/links/54d0fa460cf20323c21a2017/Metodo-madre-canguro-para-reducir-la-morbimortalidad-en-neonatos-con-bajo-peso-al-nacer.pdf
- Moral, Á. (2005). El parto prematuro: la emboscada en la preparación maternal. Matronas profesión, (4), 19-21. https://www.federacion-matronas.org/revista/wp-content/uploads/2018/01/vol6n4pag19-2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