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현재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 건 의사와 과학자의 새로운 관심사 중 하나다. 이미 코로나19가 신장 및 심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으므로, 이 바이러스가 다계통 질환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인플루엔자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 병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점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질병은 호흡기 증상과 기껏해야 발열을 유발할 뿐이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신체의 다른 세포로 들어가는 ACE2 세포 수용체에 대해 지적한다. 이 글에서 설명할 ACE2 수용체는 우리 몸의 여러 곳에 존재하는데, 코로나19는 바로 이 단백질을 이용함으로써 뇌에 영향을 미친다.
열, 기침, 피로 및 호흡 곤란과 같은 잘 알려진 정상적인 증상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사실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사람이 감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시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는 2차 징후를 보인다. 우리는 이미 시각 문제 및 후각 상실에 대해서는 다루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신경학적 요인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추가해야 한다.
ACE2 수용체
코로나바이러스는 크라운 모양의 외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그리고 이 크라운은 인간 세포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을 가진 스피큘로 이루어져 있다. 그 인간 수용체가 바로 ACE2 단백질이다.
이 수용체는 레닌-앤지오텐신이라는 시스템에서 상호작용하기 위해 인체에 존재한다. 이 호르몬 및 내부 물질 시스템은 혈압 조절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따라서 이는 신장조차도 포함한다.
COVID-19는 일부 뉴런에 ACE2 수용체가 있으므로 뇌에 영향을 미친다. SARS-CoV-2에 의한 향신경성 또는 뉴런에 대한 친화성에 대한 완전한 확인이 이루어진 건 아니지만 몇 가지 근거가 있는 의심은 있다.
ACE2 수용체의 관련성은 코로나바이러스 사망률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다른 연구들에 따르면 고혈압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망률이 높은 그룹에 속하며 이는 레닌-앤지오텐신 시스템의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PCR 검사
코로나19가 뇌에 영향을 미칠 때 나타나는 증상
후각 상실은 세계의료협회에서 지적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초기 증상이었다. 이 증상이 SARS-CoV-2의 신경학적 향성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주어진 이름은 후각 상실이며, 신경과 전문의는 후각 시스템에 속하는 뉴런의 문제로 인해 이런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한다.
근염(근육 염증), 길랭-바레 증후군 및 수막염을 앓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들의 사례도 설명되었다. 이들 모두는 또한 중추 및 말초 신경계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코로나19가 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중요한 위험은 뇌혈관 구조와 관련이 있다. 뉴런에서 SARS-CoV-2의 가능한 향성에 더하여, 뇌 동맥의 내부 층에도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이 미세한 내피 손상을 미세혈관병이라고 알고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일 경우 이는 뇌내출혈과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
뇌 손상의 2가지 경로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신 질환이며 폐 외의 다른 기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코로나19가 뇌에 영향을 주기 위해 취하는 2가지 가능한 경로가 있다. 그중 하나는 보다 직접적이며 바이러스의 뉴런 향성 가설에 근거한다. 다른 경로는 간접적이며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심한 충격을 받을 때 같이 충격을 받는 여러 기관으로 인한 것이다.
하지만 직접적인 경로는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SARS-CoV-2는 폐와 신장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ACE2 수용체를 통해 뉴런에 들어간다.
반면, 간접적인 경로는 신체 내 코로나바이러스의 진화에 영향을 주는 경로다. 먼저 우리는 호흡기 문제를 갖게 되며, 그다음에는 폐렴, 여러 장기의 부전, 뇌로의 혈류 감소, 그리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뉴런의 사망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론: 코로나19는 뇌에 영향을 미칠까?
전반적으로, 코로나19가 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 과학 연구를 통해 계속 정보를 제공받고 이 팬데믹에 관한 새로운 측면이 밝혀질 것이다.
이 정보는 특히, 결과에 따라 치료법을 조정할 수 있는 중환자실 의료진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또 이러한 귀중한 정보는 전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의 불확실성에 희망을 더하고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Hoffmann, Markus, et al. “The novel coronavirus 2019 (2019-nCoV) uses the SARS-coronavirus receptor ACE2 and the cellular protease TMPRSS2 for entry into target cells.” BioRxiv (2020).
- Bonow, Robert O., et al. “Association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ith myocardial injury and mortality.” JAMA cardiology (2020).
- Sedaghat, Zahra, and Narges Karimi. “Guillain Barre syndrome associated with COVID-19 infection: a case report.”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2020).
- Castellón, Roberto León, Juan Enrique Bender del Busto, and Luis C. Velázquez Pérez. “Afectación del sistema nervioso por la COVID-19.” Anales de la Academia de Ciencias de Cuba 10.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