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혈뇨의 가장 중요한 측면에 관해 설명해 보려고 한다. “혈뇨“라는 단어는 소변에 혈액이 함께 나오는 상태를 지칭하는 의학 용어이다. 소변에 피가 묻어나온다면 무서울 수 있는데, 많은 요소가 사실 이 상태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중 모두가 심각한 건 아니다.
때때로 혈액은 맨눈으로 관찰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서 그런 건 아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혈뇨를 총체와 미세,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눈다. 의사는 미세 혈뇨를 진단하기 위해 특정 의료 검사를 요청할 수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혈뇨 때문에 병원을 찾는다. 혈뇨의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약 16%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감염에서 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태의 증상으로 혈뇨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혈뇨 상태가 무엇인지 그리고 혈뇨의 증상과 원인이 무엇인지를 아는 게 중요하다.
혈뇨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소변에 혈액이 묻어나오지 않는다. 혈뇨는 특정 실험실 기술을 통해 관찰되는 소변에 적혈구가 나타나는 상태로 정의된다.
또 혈뇨는 신장이나 요로의 다른 부분이 혈액 세포가 소변을 통과하게 하므로 발생한다. 소변은 붉은색이거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액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총체 및 혈액을 맨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로 구분되게 된다.
더 읽어보기: 소변 색은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혈뇨의 주요 원인
많은 경우 혈뇨의 특정 원인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혈액이 소변으로 전달되는 가장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요로 감염: 이는 특히 여성에게서 비교적 흔하다. 여성의 요도는 항문과 가까워서 그 안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요도로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신장 감염: 이 상태를 신우신염이라고 한다. 박테리아는 혈액이나 요관을 통해 신장에 도달할 수 있다.
- 전립선 문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전립선이 커지면서 요도를 압박하게 된다. 이는 소면의 흐름을 막고 혈뇨를 유발할 수 있다. 전립선 감염도 마찬가지다.
- 방광 또는 신장 결석: 소변에 존재하는 일부 무기질은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굳어져 작은 돌과 같은 결정을 형성한다. 바로 이 결석이 요로를 통과할 때 그것을 막아 소변에 피가 나올 수 있다.
- 암: 혈뇨는 방광, 전립선 또는 신장암의 징후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후기 단계에서 나타나 진단을 어렵게 만든다.
- 사구체신염: 이 상태는 사구체의 염증, 작은 신장 여과기를 특징으로 한다. 당뇨병, 감염, 혈액 질환 또는 기타 과정이 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 항응고제 또는 암과 싸우는 약물과 같은 특정 약물이 원인일 수도 있다.
보다시피, 많은 원인이 혈뇨를 유발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혈뇨를 심한 운동, 외상 또는 탈수와 관련시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원인을 알아내려면 의사를 만나는 게 중요하다.
혈뇨의 증상
미세 혈뇨는 붉은색 또는 갈색 소변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통스럽지는 않으며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증상이 나타나면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과 요통은 신장 감염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혈뇨가 배뇨 중 배뇨 증가 또는 타는 듯한 느낌을 동반하는 경우, 원인은 대개 하부 요로에 있다. 또한, 무증상 및 응고가 동반되는 연속 혈뇨는 신장 종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40세 이상의 남성이 전립선 검사를 받는 게 필수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보기: 신장 결석이 있으면 나타나는 8가지 증상
결론
이 글에서 설명했듯이 혈뇨는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맨눈으로 확인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는 게 매우 중요하다. 또 가능한 혈액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소변 검사를 받는 게 좋다.
소변에 꼭 주의를 기울이자. 어떤 변화가 있을 경우 질병 때문일 수 있으므로 소변 색깔, 빈도 및 비정상적인 감각을 조심해야 한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의사에게 문의해 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Varma, P. P., Sengupta, P., & Nair, R. K. (2014). Post exertional hematuria. Renal Failure, 36(5), 701–703. https://doi.org/10.3109/0886022X.2014.890011
- Hematuria: ¿Cómo estudiarla? – Artículos – IntraMed. (n.d.). Retrieved July 24, 2019, from https://www.intramed.net/contenidover.asp?contenidoid=75087
- Hematuria (AMF 2011) A partir de un síntoma. (n.d.). Retrieved July 24, 2019, from http://amf-semfyc.com/web/article_ver.php?id=294
- Causas, tratamientos y síntomas de sangre en la orina (hematuria) – American Kidney Fund (AKF). (n.d.). Retrieved July 24, 2019, from http://www.kidneyfund.org/en-espanol/enfermedad-de-los-rinones/sintomas/sangre-en-la-orina.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