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여성이 자궁 근종 진단을 받는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더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 자궁의 양성 신생물이다. 하지만 이 근종은 거대자궁근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궁 평활근종이라고도 알려진 거대자궁근종은 크기가 매우 커지는 근종이다. 11kg(24lb) 평활근종의 경우는 드물지만, 산부인과에서 이러한 근종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근종이 있다면 의사가 근종을 주시하고 점차 크기가 커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기 검진을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거대자궁근종은 어떤 증상을 유발할까?
자궁 근종은 복부에 압력을 가한다.
이제 거대자궁근종이 정상보다 훨씬 더 커지는 근종이라는 사실을 알았으니, 그 증상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자신에게 혹시 이러한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알 수 있다.
그러나 거대자궁근종이 일반적으로 악성 종양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자. 물론 일부 환자들은 경계성 근종 또는 낭종 진단을 받지만 말이다. 이는 건강에 정말 해롭다.
더 읽어보기: 성호르몬의 역할과 기능
염증이 있는 복부
거대자궁근종의 증상 중 하나는 복부의 부종이다. 처음에는 이 증상을 가스와 혼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의사가 확인할 때 자궁이 부드럽지 않고 딱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초음파 검사를 하고 근종을 발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전문의를 만나는 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아래에서 우리가 나열할 불편한 증상을 치료해야 하기 때문이다.
산도
증상 중 복통과 산도는 심각한 불편함과 경각심을 유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증상과 함께 산도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근종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것은 복벽을 누른다. 이로 인해 특정 시간에 위장에 불편한 수준의 산도가 느껴져 휴식을 취해야 할 수도 있다.
통증과 출혈
거대자궁근종이 있을 때 느낄 수 있는 통증은 날카롭거나 단순히 일어설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지속적인 성가심일 수 있다.
또한, 생리 중 장기간에 걸쳐 혈전으로 출혈이 더 많이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생리 사이에 출혈이 있을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생리통에 좋은 천연 생강 요법
불임
거대자궁근종의 다른 증상으로는 해당 부위에 압력이 가해져 나팔관의 기능을 변화시키고, 그로 인해 배아가 정상적으로 착상 및 성장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근종의 압력은 또한 다른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실금이나 변비 문제를 말이다.
거대자궁근종은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면 이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가족 중 누군가가 근종을 앓고 있거나 그러한 진단을 받은 경우, 적어도 1년에 한 번 산부인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게 중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검진을 받은 적이 없다면 먼저 앞서 언급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불편함, 통증, 요실금 등이 있으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게 좋다.
- 호르몬 치료: 수술 전에 근종의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다.
- 자궁경 절제술: 생식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절개 수술이다. 이는 젊은 여성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옵션이다.
- 복강경 수술: 필요한 경우 근종 또는 자궁을 제거할 수 있는 수술이다.
- 전통적인 수술: 제왕절개와 유사한 복부 부위를 절개하여 근종과 자궁을 추출한다(필요한 경우). 의사가 근종의 크기를 줄일 수 없을 때만 이 옵션을 사용한다.
성관계를 갖기 시작하면 산부인과 의사를 처음으로 방문하는 게 좋지만, 17세 이하의 젊은 여성도 이 문제로 고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의를 만나는 것처럼 이러한 검진을 받고 우리가 나열한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게 중요하다. 이는 가능한 한 빨리 적절한 치료를 받는 데 도움이 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orrales, J., Claiden, A., Vargas, J. K. C., de Quesada Arceo, S., Guerra, J. M., Espinosa, M. A., & Leiva, R. F. (2015). Mioma uterino: Un trastorno frecuente en mujeres en edad fértil. 16 de abril, 54(257), 59-70.
- Hiralda Martínez, Jorge Luís. (2013). Presentación de una paciente con mioma gigante del útero. Correo Científico Médico, 17(3), 392-396. Recuperado en 30 de enero de 2019,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560-43812013000300022&lng=es&tlng=es.
- Rodríguez, J. M. E., Pereira, L. T. P., Ramírez, L. C., Madrid, J. M. E., & Vallejo, J. E. S. MIOMATOSIS UTERINA GIGANTE EN MUJERES NULÍPARAS: REPORTE DE DOS CASOS.
- Sarduy Nápoles, Miguel, Vasallo Prieto, Raúl, Collera, Simeón, Martínez Chang, Ysis M., Correa Padilla, Jorge Miguel, Rivero Ojeda, Javier, Frigola Cartaya, Joel, & Alfonso Sabatier, Carlos. (2009). Miomatosis uterina gigante. Revista Cub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35(3) Recuperado en 30 de enero de 2019,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38-600X2009000300011&lng=es&tlng=es.
- Sosa Martín, Gimel, Gutiérrez Gaytán, Luis Raúl, & Crespo Galán, Adonis. (2011). Mioma uterino gigante. Revista Cubana de Cirugía, 50(4), 555-559. Recuperado en 30 de enero de 2019,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34-74932011000400017&lng=es&tlng=es.
- Jiménez Ubieto, I., Zornoza, A., & Tarrío, O.. (2009). Sangrado de origen ginecológico.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32(Supl. 1), 39-48. Recuperado en 17 de junio de 2020,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7-66272009000200005&lng=es&tl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