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요통의 4가지 원인 및 치료 방법

요통이 있는가? 그렇다면 원인과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척추를 위해 하는 모든 것은 더 나은 건강과 삶의 질을 의미한다.

요통의 4가지 원인 및 치료 방법

이 기사에서는 요통의 원인 및 치료 방법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웹사이트의 건강정보에 따르면, 요통은 허리에 갑작스럽게 통증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통 1년 동안 10명 중 약 6명이 요통을 경험한다고 한다.

또한, 요통은 오늘날 사람들이 가장 많이 불평하는 통증 중 하나이다. 나쁜 자세, 잘못된 수면 혹은 이상한 움직임이 종종 척추 아래쪽에 설명할 수 없는 쓰라림을 느끼게 만든다.

이 근골격 질환은 정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 및 운동선수에게, 그리고 나이가 많은 사람만큼이나 어린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요통에 있어서 차별이란 없다.

척추를 지지하는 이 완벽한 구조가 얼마나 섬세한지 우리는 종종 잊어버린다. 움직임을 위한 핵심적인 기둥을 형성하는 척추골, 추간판, 신경, 인대, 관절의 조합은 우리 몸에서 아주 복잡한 부분이다.

요통이 있었다면 아마 이게 무슨 말인지 알 것이다.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과 이를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

1. 근육 결림

책상에 앉아있다가 등과 몸통을 비틀어 빠르게 몸을 돌린다고 상상해 보자.

이것을 갑자기 하면 등 아래쪽에서 뜨겁고 찌릿한 통증을 느끼게 될 것이다. 나중에 일어나면 통증이 더 심해져서 다리 및 허리 쪽으로 퍼지게 될 것이다.

근육 결림은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충격 이후에 휴식을 취하거나 움직이려고 할 때 생긴다.

증상은 근육 경련부터 완전히 움직일 수 없는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근육 결림은 힘줄 및 인대 부분의 염증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육 결림 치료 방법

  • 결림을 느낄 때는 즉시 얼음찜질을 하고, 그 후에 열찜질과 얼음찜질을 번갈아 반복한다.
  • 24시간 동안 휴식을 취한다. 그다음에는 활동성을 회복하기 위해 가벼운 움직임을 시도할 수 있다.
  • 아니카로 만든 젤과 천연 치료제들은 뛰어난 소염제이므로, 이런 경우에 아주 좋다.

2.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은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 작용을 하는 수분으로 채워진 작은 주머니이다.

충격이나 잘못된 움직임으로 인해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이 생기면, 등의 통증뿐만 아니라 아린 느낌, 경련, 작은 혹이 생길 수 있다. 통증은 아침에 특히 심해진다.

이것은 운동선수들에게서 아주 흔하게 나타난다.

추간판 탈출증 치료 방법

  • 추간판 탈출증은 손상이 아주 심각하며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므로, 이것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 진단을 받은 경우라면, 재활 치료와 능숙한 물리치료사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더 읽어보기: 허리 디스크 증상

3. 반복성 긴장 장애

반복성 긴장 장애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일하거나 등의 움직임이 있어야 하는 신체적으로 격렬한 업무를 했다면 그에 따른 피해가 올 것이다.

몸통을 오른쪽으로 돌리는 등의 반복적인 움직임은 척추 구조에 압박이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쇠약성 손상이 생기게 될 수 있다.

반복성 긴장 장애 치료 방법

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마사지
  • 요가나 스윙
  • 교정/압박 벨트
  • 자세 주의

4. 퇴행성 관절증

퇴행성 관절증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은 더 얇아지고 관절이 압박을 가하게 된다.

연골은 유연함을 잃고, 뻣뻣해지며, 결국 무서운 골관절염을 가져올 수 있다.

유전적 요인, 비만, 과거의 부상은 이 질환이 천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증 치료 방법

먼저 이런 퇴행성 질환은 치료할 수 없다는 점을 확실히 알아야 한다. 되돌릴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할 수 있는 것은 증상을 조절해 통증을 줄이고 더 나은 삶을 즐길 수 있다.

다음의 몇 가지 조언을 보자:

  • 활동성 있는 생활을 하자. 정적인 생활은 관절을 뻣뻣하게 만들고,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추간판을 더 압박하게 된다. 매일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해라. ‘기공’ 운동처럼 요통을 완화하는 다른 좋은 운동들이 많다. 이것은 호흡 기술을 이용한 특정 자세들을 조합한 중국식 운동이다.
  •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과 같은 소염 식품들을 섭취하자.
  •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스트레칭한다.
  • 비타민 D와 마그네슘 보충제가 도움이 될지 의사와 상담을 해라. 이들은 뼈와 관절을 강화하는데, 아주 좋다.

퇴행성 관절증 치료 방법

어떤 경우이든 요통이 의학적 관리 및 적절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 및 운동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치료법을 시도할 것을 권한다. 그리고 항상 잘 먹고 자세에 신경 쓰는 것을 기억하자.

척추를 위해 하는 모든 것은 더 나은 건강과 삶의 질을 의미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sado Morales, M.ª Isabel, Moix Queraltó, Jenny, & Vidal Fernández, Julia. (2008). Etiología, cronificación y tratamiento del dolor lumbar. Clínica y Salud19(3), 379-392. Recuperado en 22 de febrero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0-52742008000300007&lng=es&tlng=es.
  • Cruz-Sánchez, E. de la, Torres-Bonete, M.D., García-Pallarés, J., Gascón-Cánovas, J.J., Valero-Valenzuela, A., & Pereñíguez-Barranco, J.E.. (2012). Dolor de espalda y limitación de la actividad física cotidiana en la población adulta española.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35(2), 241-249. https://dx.doi.org/10.4321/S1137-66272012000200006
  • Maradei García, F., Quintana Jiménez, L., & Barrero, L. H. (2016). Relación entre el dolor lumbar y los movimientos realizados en postura sedente prolongada. Revisión de la literatura. Salud Uninorte32(1).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