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과 임신에 대해 알아야 할 것
믿기 어려울 수 있지만, 많은 여성이 임신과 간질을 동시에 경험한다. 실제로 이러한 상황은 1,000건당 3건으로 나타난다. 그렇게 빈번하지는 않지만, 생각했던 것보다는 흔히 발생한다. 그렇다면 간질과 임신에 대해 알아야 할 점이 있을까?
다행히 임신이 간질 발작의 위험을 높이지는 않는다. 또한 이 질환이 있는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대부분 결국 건강에 전혀 이상이 없다. 실제로 임신과 간질을 함께 경험하는 여성의 최대 96%가 합병증 없이 정상적인 출산을 한다.
간질이 있는 여성의 임신은 어떻게 될까?
간질은 환자가 신경 세포의 대규모 동시 발화를 겪는 신경 질환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뇌의 넓은 부위에서 신경 세포의 전기적 활동이 동시에 발생한다.
간질은 발작을 일으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간질 발작과 간질 상태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흔히 알려진 속설과 달리, 항상 함께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이든, 전기 충격은 항상 증상을 유발하여 대부분 작은 국부적인 움직임을 초래한다.
임신을 하면 특히 프로게스테론을 비롯한 호르몬의 작용으로 인해, 여성의 신체에 변화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생식기, 심장, 연조직이 변경된다. 어떤 방식으로든, 거의 모든 세포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는 해도, 임신 중 발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없다. 이와 관련한 역학 연구는 태아가 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 문제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충분한 수면 부족이다. 이는 간질과 임신의 관계에 변화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임신 후기 동안 잠을 제대로 자지 않으면 발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가 좋지 못한 휴식과 스트레스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호르몬 변화로 인한 것인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없다.
그렇기는 해도, 간질 치료에 사용되는 약에 관한 문제가 있다. 환자가 간질을 다루기 위해서는 약을 먹어야 한다. 하지만 임신 자체가 순환하는 혈액의 총량과 조직의 분포를 변경하므로, 임신 중 약을 먹는 것은 건강한 방법이 아니다.
더 읽어보기: 간질성 발작은 무엇일까
항간질제 투여
항간질제의 주된 부작용 중 하나는 선천성 기형이다. 이는 간질이 있는 여성의 임신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때 딜레마가 된다.
연구원들은 간질이 있는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에게 선천적 장애가 발생하는 비율을 질병이 없는 산모에게서 태어난 다른 아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눈에 띄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일반 인구에서 선천적 장애는 100건의 출산마다 나타난다. 하지만 항간질제를 복용한다면 선천적 장애의 위험이 최대 3배까지 높아진다.
산모가 여러 처방약을 복용하면 복잡한 출산의 가능성이 크다. 이는 일반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간질 환자들 사이에서 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의사는 발작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복용량을 결합하기 시작한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이 밸프로에이트와 카르바마제핀과 같은 약을 먹는 경우 태아에게 기형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태아의 신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부위는 중추 신경계이다.
의사는 일반적으로 임신 중 항간질제의 복용량을 줄이는 것을 권장한다. 여성이 9개월 이상 발작이 없으면 한 가지 약을 매우 적은 양으로 복용할 수 있다.
어쨌든 의료 전문가나 전문가가 이러한 복용량 감소를 승인해야 한다. 환자나 가족 또는 필요한 능력을 갖추지 않은 사람은 이 결정을 내릴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자기 처방이 초래하는 건강상 위험
임신 중 발작의 위험이 있을까?
통계에서 임신 중 발작의 증가나 감소가 분명하게 보고되지는 않지만, 실제로 발생하기는 한다. 환자가 발작을 자주 경험하는 경향이 있으면 임신 중에도 계속해서 발작 증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발작 상태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한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 조직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는 저산소증이다. 충분한 가스가 태반에 도달하지 않으면 태아 신체의 기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발작의 합병증으로 외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임신부에게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 의식을 상실하면서, 낙상으로 인해 두개골 또는 자궁에 의해 커진 복부와 같은 민감한 부위가 다칠 수 있다.
간질 임신부의 사망률은 간질이 없는 임신부보다 높다. 1,000명의 임신부 중 약 1명으로 추정되는 이러한 사망 중 다수는 간질 환자의 갑작스러운 사망(SUDEP)에서 비롯된다.
SUDEP는 간질 환자의 설명할 수 없는 죽음을 의미한다.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익사나 외상이 전혀 없다는 뜻이다. 이 증후군의 원인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증후군의 발병 우려를 줄이기 위해 조처를 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있다.
기본적으로 임신을 한 간질 여성은 절대 혼자 잠을 자거나 엎드려 자지 말아야 한다. 또한 가족이나 친구는 산모에게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대비하여 응급 처치에 대해 배워야 한다.
간질과 임신에 대해 기억해야 할 점
보다시피 간질과 임신은 복잡한 조합이다. 결국에는 모든 일이 잘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주치의가 항상 산모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산모는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든 예방 조치를 따라야 한다.
또한 전문가의 승인이 있어야만 계속해서 약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의사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산모의 혈중 내 약물 농도의 복용량을 요청할 수 있다. 모든 임신부는 직접 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변경하기로 해서는 안 된다.
출산은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함께 전문적인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미리 계획해야 한다. 제왕 절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산부인과 의사와 산모가 진지한 대화를 나눈 후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의사와 산모의 소통이 원활할수록 임신이 더 건강하고 수월해질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alacio, Eduardo, and Karen Cárdenas. “Epilepsia y embarazo.” Revista Repertorio de Medicina y Cirugía 24.4 (2015): 243-253.
- García, Ramiro Jorge García. “Situaciones especiales en adolescentes epilépticos: embarazo, parto y lactancia.” Revista Cubana de Neurología y Neurocirugía 2.1 (2012): 47-55.
- Navarro-Meza, Andrea. “Epilepsia y embarazo.” Acta Académica 47.Noviembre (2010): 251-256.
- Planas-Ballvé, A., et al. “El insomnio y la pobre calidad de sueño se asocian a un mal control de crisis en pacientes con epilepsia.” Neurología (2020).
- Battino, D., et al. “Malformaciones en los hijos de embarazadas con epilepsia.” Rev Neurol 34.5 (2002): 476-480.
- Lallana, Virginia Meca, and José Vivancos Mora. “Fármacos antiepilépticos.”
- Kochen, Silvia, Constanza Salera, and Josef Seni. “Embarazo y epilepsia en Argentina.” Neurología Argentina 3.3 (2011): 156-161.
- Pascual, F. Higes, and A. Yusta Izquierdo. “Tratamiento de la epilepsia.”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2.72 (2019): 4232-4242.
- Vélez, Alberto, Paola A. Ortíz, and Carolina Sandoval. “Problemas de los hijos de madres con epilepsia.” Acta Neurol Colomb 21.1 (2005): 73-81.
- Velásquez, Mauricio, Alejandro De Marinis, and Evelyn Benavides. “Muerte súbita en epilepsia.” Revista médica de Chile 146.8 (2018): 902-908.
- Borgelt, Laura M., Felecia M. Hart, and Jacquelyn L. Bainbridge. “Epilepsy during pregnancy: focus on management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8 (2016):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