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의 연구 후에도, 자폐 어린이들이 왜 이리 많은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미해결로 남아있다. 자폐증은 단 한 가지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글에서 자폐증과 수은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더 읽어보기: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
자폐증이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도 알려져 있는 자폐증은 생후 3년 안에 발생해서 평생 지속되는 신경생물학적 발달 장애다.
전반적으로, 자폐증과 관련된 2가지 기본적 증상들이 있다:
-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지속적인 결핍
-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흥미, 활동 패턴
아래의 징후는 아이가 자폐증을 갖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의 의사소통 결여
- 상징 놀이(인형 놀이, 소꿉 놀이, 모형 자동차 갖고 놀기 등) 부재
- 타인과의 눈 맞춤이 거의 없고, 타인의 얼굴 표정의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또한 자폐아는 타인과 상호작용할 때 정상적으로 사회적 웃음 등의 표정을 짓지 못한다.
- 의사소통에 있어 말을 직역하기 때문에 농담이나 비꼬기, 이중적 의미, 비유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유전이 자폐 증세의 한 요인이 된다고 동의하는 편이다.
더 읽어보기: 아이들이 요가를 하면 좋은 3가지 이유
자폐증과 수은의 관련성은 무엇일까?
연구들에 따르면 임산부가 수은과 같이 많은 금속들을 섭취하면 태어날 아이의 자폐 증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수은은 원소 기호 Hg이자 원자 번호 80을 가지는 원소다. 고대 문학에서는 수은을 액체 은이라고 일컫곤 했다. 수은은 중금속으로, 주기율표에서 d-구역에 속한다. 또한 표준 실험실 환경에서 액체 상태인 유일한 금속 원소이기도 하다.
브리스톨 대학에서 진행된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4000건 이상의 임신 케이스 자료를 분석했다. 그 후, 산모의 혈액 내 수은 수치와 11세 이하 자녀의 자폐증 발병 사이의 관계를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자녀의 자폐증 발병과 산모의 수은이 오염된 생선 섭취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연구 결과
이 연구는 영국 에이번 주 지역에서 1991-1992년에 태어난 신생아에게 집중했다. 현재 이 연구는 조지 데이비 스미스가 운영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1991년 4월에서 1992년 12월 사이에 출산한 15,247명의 산모의 기록을 담고 있다. 그 이후 연구 참가자 부부와 태어난 아이, 아이의 형제자매 까지 연구의 일부로 참여 중이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4,484명의 여성이 혈중 수은 수치가 높았음을 나타낸다. 이 여성들은 임신 중 생선이 고기 섭취의 주를 이루었다고 진술했다. 전체 실험 참가자 중 177명의 산모가 자폐아 자녀를 낳았다. 신생아 중에서는 단 45명에서 혈액 속 수은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자폐아 중 많은 아이들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속해있었음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산모가 임신 중에 생선을 많이 먹지 않았으며, 수은이라는 위험 요인에 덜 노출되었음을 뜻한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은 임신 전반기에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았던 산모들 중에서 자폐아 자녀가 태어날 비율이 좀 더 높았다고 언급했다.
연구는 임신 전반기에 생선을 많이 섭취할수록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Kakita A, Inenaga C, Sakamoto M, et al. Neuronal migration disturbance and consequent cytoarchitecture in the cerebral cortex following transplacental administration of methylmercury. Acta Neuropathol (Berl) 2002;104:409–417.
- Harada M. Minamata disease: methylmercury poisoning in Japan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Crit Rev Toxicol. 1995;25:1–24
- Amin-Zaki L, Elhassani S, Majeed MA, et al. Intra-uterine methylmercury poisoning in Iraq. 1974;54:587–595.
- Kraepiel AM, Keller K, Chin HB, et al. Sources and variations of mercury in tuna. Environ Sci Technol. 2003;37:5551–5558.
- Grandjean P, Weihe P, White RF, et al. Cognitive deficit in 7-year-old children with prenatal exposure to methylmercury. Neurotoxicol Teratol. 1997;19:417–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