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수은이 함유된 생선 섭취는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

수은이 자폐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이 문제에 관련한 최신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임신 중 수은이 함유된 생선 섭취는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
Maricela Jiménez López

작성 및 확인 의사 Maricela Jiménez López.

마지막 업데이트: 24 5월, 2019

수십 년의 연구 후에도, 자폐 어린이들이 왜 이리 많은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미해결로 남아있다. 자폐증은 단 한 가지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글에서 자폐증과 수은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자폐증이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도 알려져 있는 자폐증은 생후 3년 안에 발생해서 평생 지속되는 신경생물학적 발달 장애다.

전반적으로, 자폐증과 관련된 2가지 기본적 증상들이 있다:

  •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지속적인 결핍
  •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흥미, 활동 패턴
임신 중 수은이 함유된 생선 섭취는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

아래의 징후는 아이가 자폐증을 갖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의 의사소통 결여
  • 상징 놀이(인형 놀이, 소꿉 놀이, 모형 자동차 갖고 놀기 등) 부재
  • 타인과의 눈 맞춤이 거의 없고, 타인의 얼굴 표정의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또한 자폐아는 타인과 상호작용할 때 정상적으로 사회적 웃음 등의 표정을 짓지 못한다.
  • 의사소통에 있어 말을 직역하기 때문에 농담이나 비꼬기, 이중적 의미, 비유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유전이 자폐 증세의 한 요인이 된다고 동의하는 편이다.

자폐증과 수은의 관련성은 무엇일까?

연구들에 따르면 임산부가 수은과 같이 많은 금속들을 섭취하면 태어날 아이의 자폐 증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수은은 원소 기호 Hg이자 원자 번호 80을 가지는 원소다. 고대 문학에서는 수은을 액체 은이라고 일컫곤 했다. 수은은 중금속으로, 주기율표에서 d-구역에 속한다. 또한 표준 실험실 환경에서 액체 상태인 유일한 금속 원소이기도 하다.

브리스톨 대학에서 진행된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4000건 이상의 임신 케이스 자료를 분석했다. 그 후, 산모의 혈액 내 수은 수치와 11세 이하 자녀의 자폐증 발병 사이의 관계를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자녀의 자폐증 발병과 산모의 수은이 오염된 생선 섭취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연구 결과

이 연구는 영국 에이번 주 지역에서 1991-1992년에 태어난 신생아에게 집중했다. 현재 이 연구는 조지 데이비 스미스가 운영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1991년 4월에서 1992년 12월 사이에 출산한 15,247명의 산모의 기록을 담고 있다. 그 이후 연구 참가자 부부와 태어난 아이, 아이의 형제자매 까지 연구의 일부로 참여 중이다.

자폐증과 수은의 관련성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4,484명의 여성이 혈중 수은 수치가 높았음을 나타낸다. 이 여성들은 임신 중 생선이 고기 섭취의 주를 이루었다고 진술했다. 전체 실험 참가자 중 177명의 산모가 자폐아 자녀를 낳았다. 신생아 중에서는 단 45명에서 혈액 속 수은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자폐아 중 많은 아이들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속해있었음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산모가 임신 중에 생선을 많이 먹지 않았으며, 수은이라는 위험 요인에 덜 노출되었음을 뜻한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은 임신 전반기에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았던 산모들 중에서 자폐아 자녀가 태어날 비율이 좀 더 높았다고 언급했다.

연구는 임신 전반기에 생선을 많이 섭취할수록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Kakita A, Inenaga C, Sakamoto M, et al. Neuronal migration disturbance and consequent cytoarchitecture in the cerebral cortex following transplacental administration of methylmercury. Acta Neuropathol (Berl) 2002;104:409–417.
  • Harada M. Minamata disease: methylmercury poisoning in Japan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Crit Rev Toxicol. 1995;25:1–24
  • Amin-Zaki L, Elhassani S, Majeed MA, et al. Intra-uterine methylmercury poisoning in Iraq. 1974;54:587–595.
  • Kraepiel AM, Keller K, Chin HB, et al. Sources and variations of mercury in tuna. Environ Sci Technol. 2003;37:5551–5558.
  • Grandjean P, Weihe P, White RF, et al. Cognitive deficit in 7-year-old children with prenatal exposure to methylmercury. Neurotoxicol Teratol. 1997;19:417–42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