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

아기가 한곳을 응시하는 이유

아기가 무언가를 응시하는 이유는 이해하기 위해서다. 아기는 기억을 통해 뇌에 정보를 흡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신생아에게 세상이란 완전히 새로운 것이며 감각을 통해 이를 알아간다. 아기가 사람이나 물체를 응시하는 이유는 움직이거나 춤을 추거나 밝거나 눈앞에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아기는 눈부신 새로운 물체가 앞에 나타날 때까지 눈으로 이를 추적한다. 어른에게는 평범한 물건이 아이에게는 매우 흥미로울 수 있다.

아기의 부지런한 시선에 그림자나 빛이 지나가면 그것을 응시한다. 어른의 경우, 앞서 언급한 감각을 경험했으므로 놀라운 것이 거의 없다. 어른에게는 모든 것이 익숙하고 일반적이지만, 아기에게는 예를 들어 침대 위의 알록달록한 모빌이 하나의 우주가 된다.

마치 스펀지와 같은 아기는 현실을 ‘흡수’하고 서로 연관을 짓는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감각이 태어날 때부터 타인과 상호 작용을 하는 데 사용하는 정서적, 신체적, 운동적 반응을 형성한다. 스페인 소아과협회의 ‘부모를 위한 실무 지침’이 이러한 집중 학습 단계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아기의 시력은 어떻게 발달할까?

아기의 뇌는 가소성이 높다. 최근 전문가들은 신경 세포가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이해했다. 다른 뉴런과 연결되면서단어 사용에 의지하지 않고 감각을 통해 이를 인식한다.

아기는 엄청난 학습 능력을 갖추고 태어나며, 시력 발달은 운동 및 신경 발달과 함께 진행된다. 생후 첫 3개월 동안에는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나 물체를 찾고 응시하며 따라간다.

생후 3개월부터 5개월까지는 손을 바라보고 손으로 장난을 치고 주변에 있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도 한다. 생후 9개월부터 12개월까지는 자신이 인식하는 물체를 만지고 이를 가지고 놀 수 있다. 망막은 생후 6개월에서 11개월 사이에 충분히 발달하게 된다. 아동의 시각 능력은 만 3세부터 6세까지 완전히 발달한다.

더 읽어보기: 캥거루 케어: 출산 후 아기와 필수적인 피부 접촉

아기가 한 곳을 응시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아기는 자신에게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알아가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자극이 있다.

아기가 한곳을 응시하는 이유

아기가 무언가를 응시하는 이유는 움직임이 시선을 끌기 때문이다. 아기의 뉴런 역동성은 오로지 눈앞에 나타나는 세상의 가소성과 비교할 만하다.

움직이는 물체

움직이는 물체는 아기에게 매우 흥미롭다. 휴대전화는 전문가들이 아기를 자극하는 데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주된 부대용품 중 하나이다.

아기의 눈앞이나 가까이에 있는 물체가 너무 빠르지 않은 속도로 반원을 그리는지 확인하자. 시력 발달에 필수적인 시각 운동성에 도움을 주면서 시야를 사로잡는 것이 관건이다.

반짝이거나 불이 들어오는 물체

환한 조명과 그림자는 아기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시각적인 불편함이나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윤곽이 잡힌 모양과 실루엣에 시선을 집중한다.

아기는 관심을 둔 채 세심히 들여다보고 손과 손가락으로 느끼는 세부 사항을 좋아한다. 예를 들면 아빠의 턱수염과 콧수염이 아기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색깔

선명한 색상과 흑백 대비는 아기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다. 하지만 아기를 지치게 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아기가 갑자기 시선을 바꾸는 것은 눈이 피곤하다는 신호이다. 방 안에서 조용한 음악을 틀면 색상, 질감, 모양의 공간감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

특징

전문가들은 아기가 ‘아름다운’ 얼굴을 응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미의 기준은 알지 못한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부드럽고 조화를 이루며 둥글고 완전한 모양에 매료된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인식하는 익숙한 얼굴은 아기가 편안하고 차분하며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문제가 있는 경우

아기가 무언가를 응시하는 것이 아니라 멍하게 있으면서 보호자와 상호 작용을 하지 않으면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기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징후에 주의해야 한다.

  • 생후 2개월 아기가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을 응시하지 않는 경우: 연구에 따르면, 자폐증의 초기 징후이다.
  • 생후 3~4개월 아기가 옆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시각적으로 따라가지 않고 눈을 마주치는 사람을 보고 웃지 않는 경우
  • 생후 6개월 아기가 손이 닿는 곳에 있는 물체를 잡으려고 하지 않거나 보호자에게 애정을 표현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징후는 분명 정신 운동 발달 문제, 언어 문제 또는 신경 장애와 같은 다른 징후와 함께 발생한다.

더 읽어보기: 자폐의 가장 흔한 징후 5가지

아기의 시각 발달에 도움을 주는 방법

아기가 한 곳을 응시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보호자와 아기의 유대감은 아기에게 시력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핵심적이다. 아기는 대부분 부모를 응시한다.

시각적 자극에는 아기가 보고 느끼고 기억하기를 원하는 것에 대한 강조가 포함된다. 색상, 움직임, 모양은 아기의 지각 발달과 환경에 대한 적응에 도움을 준다.

아기는 적극적으로 무언가를 알아내려고 한다. 연상 메커니즘을 통해 사물, 감각 또는 사람을 다양한 개념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살핌, 음식, 보호, 애정 표시, 휴식, 편안함, 만족감 등이 있다.

거울 신경 세포가 아기의 시각적 발달에서 근본적인 신경 생리학적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을 알아 두어야 한다. 이는 행동, 이해, 모방에 필수적이다. 실제로 출생 후 약 7시간이 지나면 엄마의 얼굴에 관심을 보이고 머지않아 보호자의 표정을 흉내 내기 시작한다.

따라서 아기는 앞에 있는 누군가가 하는 행동을 응시할 때 자신이 그 행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간과해서는 안 되는 또 다른 과정은 약 생후 1년 6개월이 지났을 때 나타나는 암묵 기억의 발달이다. 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도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아기는 보호자가 놀이 시간이나 특정한 상황에서 표현하거나 유발하는 행동과 감정의 경험을 저장한다.

아기가 응시할 때

아기가 나를 바라보면 아마 신기한 느낌이 들 것이다. 이처럼 놀라운 순간에 시선이 만나고 의도와 정보가 전달되면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그 순간부터 보호자는 아기에게 많은 것을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e Pediatría, A. E. (2013). Guía Práctica para padres. Recuperado desde: http://enfamilia. aeped. es/sites/enfamilia. aeped. es/files/guia_practica_padres_aep_, 1.
  • Enesco, I. (2012). Desarrollo del conocimiento de la realidad en el bebé. JA Castorina & M. Carretero (Comps.), Desarrollo cognitivo y educación. Los inicios del conocimiento, 1, 165-193. Disponible en: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Ileana_Enesco/publication/321866771_Ileana_Enesco_Desarrollo_del_conocimiento_de_la_realidad_del_bebe/links/5a3644390f7e9b10d845b2a3/Ileana-Enesco-Desarrollo-del-conocimiento-de-la-realidad-del-bebe.pdf
  • Escalera-Hernández, S. (2015). El mundo visual en los niños (Master’s thesis, 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Disponible en: https://upcommons.upc.edu/handle/2117/89522
  • González Rodríguez, E. V., Henriquez Orellana, K. G., & Serrano Herrera, I. M. (2015). Evaluación de la fijación de la mirada mediante la aplicación del programa de representación de imágenes 3D comparada con la intervención del análisis aplicado de la conducta en niños con autismo. Ver en http://www.redicces.org.sv/jspui/bitstream/10972/2851/1/0002080-ADTESGE.pdf
  • NIN MÁRQUEZ, M. “Proceso de desarrollo del pensamiento en el bebé : 0 a 12 meses”. Trabajo final de grado , Universidad de la República (Uruguay). Facultad de Psicología , 2015. Disponible en: https://www.colibri.udelar.edu.uy/jspui/bitstream/20.500.12008/7819/1/Nin%2c%20Veronica.pdf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