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기술은 주로 1미크론보다 더 작은 크기로 어떤 물질을 조작하고 제어하는 기술이다. 어떤 물질과 시스템을 만드는 데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노 기술 발전과 더불어 나노의학의 발전은 질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건강 과학에 기여했다. 나노의학은 건강한 조직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병에 걸린 조직만 치료하는 것이 특징이다.
나노의학의 분야
나노의학 분야는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 된다.
1. 진단의 발전
질병을 진단하는 것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나노 장치 및 대비 시스템 사용 덕분이다. 의사가 병 초기에 바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나노 진단 장치는 인비트로 또는 인비보 이다.
더 읽어보기 : 혈액 검사로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도 있다!
2. 나노 테라피 또는 약물 방출 제어
나노 구조를 사용해 질병 세포의 활성 물질이 분비되는 것을 제어한다. 나노 구조는 다음을 조건으로 한다.
- 생체 적합성
- 적절한 용량의 약물을 운반할 수 있어야 함
- 목표로 하는 조직에 도달할 때까지 안정적인 상태여야 함
3. 재생 나노의학의 발전
나노 기술을 적용하면 의사는 손상된 장기나 조직을 치료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인체의 회복 메커니즘을 자극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재 연구자들은 나노 구조 기반 치료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질병 탐지 및 국소 치료를 위해 같은 나노 입자 내에서 요소를 결합한다. 이들 시스템은 치료의 효과 및 동역학을 분석하며 시각화해서 보여 준다.
종양학에서 나노의학의 발전
종양학에서는 모든 유형의 암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문제, 진단과 화학 요법의 부작용에 중점을 두고 나노 의약을 사용한다.
조기에 암을 진단하면 치료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 이 분야에서 나노의학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암 초기 단계에서 종양 세포를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양 표지자와 관련된 자성 나노 입자가 암 진단을 정확하게 한다는 것을 동물 실험으로 밝혔다. 이 표지자 수준이 요즘 사용 되는 진단 수준보다 낮은 경우에도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화학 요법의 부작용을 예방하는 나노의학
화학 요법은 정말 공격적인 치료이다. 암 세포를 파괴하는 치료인데, 암 세포뿐만 아니라 건강한 세포도 같이 파괴하는데,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난다. 암 치료에서 나노 기술은 화학 요법을 할 때 “캡슐화 된 약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환자 유기체의 독성을 줄이면서 효과를 향상시킨다.
최근 유럽의 한 연구자들은 암 세포에만 침투되는 나노 구를 개발했다. 이것을 사용하게 되면 메스꺼움, 머리카락 빠짐, 몸이 약해짐 등 화학 요법으로 인해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
심혈관 질환에서 나노의학의 발전
심혈관 질환과 관련해서도 많은 유틸리티가 있다. 가장 중요한 점 중 하나는 병 초기에 동맥 병변을 빨리 식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연구자들은 특정 나노 입자가 약물 투여를 위한 안전한 수단으로 역할 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나노 입자를 암이 생긴 부위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관절염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신경 퇴행성 질환
파킨슨 병, 알츠하이머 병, 관절염 같은 질병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나노 입자가 뇌나 조직 등 특정 영역을 표적 한다.
알츠하이머 병의 특징은 신경 세포가 점진적으로 죽어가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머지 않아 뇌의 성장 인자를 통해 뇌의 기존 줄기 세포로 신경 세포를 생성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론
나노의학은 질병을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또 과학자들은 맞춤형 치료도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질병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미리 조치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echuga, L. M. (2010). Nanomedicina: ampliación de la nanotecnología en la salud. Biotecnología Aplicada a La Salud Humana. https://doi.org/10.1007/BF00852089
-
Santa, C. F., & López Osorio, B. L. (2013). Materiales Poliméricos En Nanomedicina: Transporte Y Liberación Controlada De Fármacos. Revista de La Academia Colombiana de Ciencias Exactas, Físicas y Naturales. https://doi.org/10.1007/s10570-013-9863-0
-
Bea, D. B., Alain, P. T., Arlenis, A. P., & Jenry, C. C. (2011). Nanomedicina: aspectos generales de un futuro promisorio. Revista Habanera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