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담석과 영양 섭취의 연관성에 관해 알아보려고 한다. 담결석이라고도 하는 담석은 소화계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 모래알 또는 골프공 등 크기가 다양하다. 담낭에 결석이 생기면 관이 막히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담석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급성 담낭염이 있을 때는 쓸개 급통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담낭염
급성 담낭염은 담석의 주된 합병증이다. 담낭의 염증과 함께 복통, 메스꺼움, 구토, 초조함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을 일으키는 담석은 다음과 같다.
- 콜레스테롤 결석: 서양 담도 결석 환자의 75%를 차지하며, 담즙산과 콜레스테롤 대사의 변화로 생긴다.
- 색소성 결석: 담즙에 존재하는 색소인 빌리루빈의 대사 이상으로 생기는 돌이며, 담석증 환자의 25%를 차지한다.
담석의 유발 요인: 담석과 영양 섭취의 연관성
담석이 생기는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유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담석은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지만,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콜레스테롤 결석의 유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유전적 소인
- 지질 대사의 변화
- 비만 또는 급격한 체중 변화
- 담낭 배출의 변화
- 감염
- 간경변
- 섬유질 함량이 낮고 지방이 풍부한 식단
- 피임약 또는 에스트로겐 요법
한편 담즙의 빌리루빈 함량이 높아지면서 생기는 색소성 결석은 발병 방식이 다소 복잡하다.
담석 환자를 위한 권장 사항
담석이 있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권장 사항을 따라야 한다.
- 개인의 필요에 맞는 다양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자.
- 살이 과하게 찌지 않도록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자.
- 천천히 꼭꼭 씹어 먹자.
- 단식이나 과식을 피하자.
- 하루 식사를 5끼로 나누어 먹자.
- 일주일에 3회 이상, 하루에 40분씩 적당한 운동을 하자.
- 매일 물을 2L씩 마시자.
- 오븐에 굽거나 물에 삶는 등 건강한 방식으로 요리를 하자.
채소 위주의 건강한 식단은 담석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보기: 매일 과일과 채소를 먹으면 더 오래 산다
담석 환자의 식단: 담석과 영양 섭취의 연관성
담석이 있는 사람은 회복 과정과 소화를 촉진하고 담낭의 나머지 기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영양을 제대로 섭취해야 한다. 적절한 식단은 담석과 관련된 합병증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식습관을 개선하면 쓸개 급통증을 예방하고 가스 및 소화 불량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담낭염이 있다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금식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추천 식품: 담석과 영양 섭취의 연관성
- 탈지유: 우유, 요거트, 신선한 치즈, 케피르, 커드
- 살코기: 돼지고기, 칠면조 고기, 껍질을 제외한 닭고기
- 흰살생선: 전갱이, 농어, 도미, 대구
- 달걀: 오믈렛, 스크램블드에그, 수란, 삶은 달걀
- 채소: 근대, 시금치, 껍질 콩, 아티초크, 홍피망, 청피망, 애호박, 아스파라거스. 채소는 잘게 으깨거나 익혀서 먹는 것이 가장 좋다.
- 곡물 및 감자: 쌀, 밀, 옥수수, 보리, 귀리, 감자
- 콩: 병아리콩, 완두콩, 렌틸콩, 강낭콩. 단, 블랙 푸딩, 초리조, 베이컨과 같은 음식과 곁들여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과일: 생과일, 과일 콩포트, 구운 과일
- 지방 및 오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지방
- 음료: 물, 기름기가 없는 담백한 국물 요리, 캐모마일, 라임 블라섬과 같은 소화 촉진 차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성 질환 환자의 신장 활동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보기: 오메가 지방산은 무엇일까
제한 식품
- 기름진 음식: 기름, 버터, 마가린, 라드, 소기름, 크림, 소스, 튀긴 음식
- 지방이 많은 육류 및 소시지: 블랙 푸딩, 초리조, 베이컨, 송아지 고기, 양고기
- 푸른 생선 및 해산물: 참치, 연어, 홍합, 새우, 기름이나 양념에 재워 둔 해산물
- 기타: 페이스트리, 과자, 매운 음식, 케이크
- 음료: 커피, 차, 청량음료, 술, 신 과일 주스, 과라나 추출물
담석을 완화하려면 식습관을 관리하자
담석이 있다면 의사가 처방한 치료제를 먹으면서 식습관을 관리해 보자. 어쨌든 불편함을 최대한 빨리 가라앉히기 위해 먹어야 할 식품과 피해야 할 음식을 알아보려면 의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hah R., John S., Cholestatic Jaundie, 2020.
- Martínez García RM., Jiménez Ortega AI., Salas Gonzélez MD., Bermejo Lopez LM., et al., Nutritional intervention in the control of gallstones and renal lithiasis. Nutr Hosp, 2019. 36: 70-74.
- Ciaula AD., Garruti G., Fruhbeck G., Angelis M., et al., The role of diet in the pathogenesis of cholesterol gallstones. Curr Med Chem, 2019. 26 (19): 3620-3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