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에 박테리아가 있을 때

폐에 박테리아가 있으면 일반적으로 기침, 호흡통, 발열, 불편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으려면 세균성 폐렴의 임상 증상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하다.

폐에는 박테리아가 있을까?

흉통, 숨 가쁨, 발열, 메스꺼움 또는 구토와 같은 증상은 폐에 박테리아가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다. 이러한 미생물은 인체 생리 시스템의 최적 기능에 필수적이지만, 폐와 같은 유형의 기관에 존재하면 폐렴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박테리아 침투가 폐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유를 알고 있는가? 우리는 위험 그룹에 속해 있는가?

이 부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게 이러한 질병을 다루는 핵심이다. 그렇게 되면 예방 조처를 더 잘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세균성 폐렴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알아보려고 한다.

미생물 및 박테리아 활동

먼저 인체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대부분 양성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미생물 연구가 이들의 이점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인간 장의 박테리아 군집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특정 영양소의 더 나은 흡수
  • 보다 효율적인 지질 대사
  •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보호

정상적인 미생물군은 생명체의 몸에 서식하며 숙주와 공생하거나 부식물 성격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미생물로 정의된다. 이 군집은 신체 및 사람의 나이에 따라 그 구성과 존재가 다를 수 있음으로 공간 및 시간 구성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박테리아가 그 존재로부터 이익을 얻지 못하는 내부 시스템을 식민지화할 때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세균성 폐렴의 경우이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미생물 및 박테리아 활동에 관하여

신체에는 건강에 좋은 박테리아 군집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폐와 같은 기관에 들어가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더 읽어보기: 충치를 일으키는 박테리아

폐에 박테리아가 있을까?

전반적으로 폐 미생물 총에는 자체적으로 건강한 박테리아가 있지만, 건강에 해로운 박테리아가 들어갈 수도 있다. 외부 접촉이 있는 모든 표면과 마찬가지로 비강, 비인두 및 후두와 같은 영역에는 인간에게 무해한 박테리아 군집이 있다.

그리고 이 미생물이 내부 호흡기로 들어가면 폐렴의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상태는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여러 통계 연구에 따르면 신생아에게서 더 흔하다고 한다.

더욱이 HIV 환자는 HIV 음성인 사람보다 세균성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5배 더 높기 때문에 이 질환에 걸릴 위험이 특별히 높다.

세균성 폐렴이 발생하는 이유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은 일반적으로 세균성 폐렴을 유발한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 따르면 40%의 사례가 이 미생물로 인해 발생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른 미생물 군집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 인플루엔자균
  • 폐렴간균
  • 대장균
  • 녹농균
  •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흡입을 통해 호흡기에 도달하지만, 감염이 신체의 다른 부위에 퍼진 경우 혈액을 통해 호흡기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곳은 면역계가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백혈구를 보내는 곳이다.

호중구는 박테리아를 막으로 둘러싸고 사이토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감염에서 전형적인 임상 증상을 촉진한다. 이 모든 건 폐기낭에 염증이 있고 호흡 곤란이 있다는 사실로 요약될 수 있다.

폐에 박테리아가 있는 경우의 증상

임상 증상의 정도와 원인이 되는 미생물에 따라 그 증상은 다를 수 있다. 일반적인 징후는 다음과 같다.

  • 호흡 및 기침 시 가슴 통증
  • 방향 감각 상실
  • 발열
  • 화농성 가래가 있는 젖은기침
  •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

폐에 있는 박테리아의 증상 

폐에 박테리아가 있으면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세균성 폐렴을 어떻게 진단할까?

<범미 공중보건 저널(Pa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의 정보에 따르면, 폐포 강화의 방사선학적 이미지는 의심되는 세균성 폐렴에 대한 확인 기준으로 받아들여진다. 영향을 받은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폐 조직의 불투명도가 관찰되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니다.

그리고 의심의 여지가 있을 때는 항상 환자의 담객출을 통해 박테리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법

박테리아 감염의 모든 경우와 마찬가지로 항생제가 선택할 수 있는 약물이다. 의사는 그램 양성인지 그램 음성인지 확인한 후 아목시실린, 세팔로스포린 또는 독시사이클린과 같은 여러 약물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다.

다양한 치료법이 있는 상황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정확한 속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바이러스가 진화하는 방법

폐의 박테리아에 관한 유의 사항

미국 폐 협회(American Lung Association)에 따르면 실제로 가장 흔한 질병인 폐렴연쇄상구균에 의해 유발되는 폐렴에 대한 백신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취약한 그룹인 만 2세 미만의 영유아와 만 65세 이상의 성인에게 권장된다.

또한, 다른 나이대도 폐렴에 걸릴 수 있는데 조기에 치료하고 합병증이 없다면 예후는 긍정적이다.

박테리아는 신체의 많은 시스템에 있는 병원균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므로 필수적인 미생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통제되지 않은 상태는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세균 감염이 있다고 생각되면 즉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Jandhyala, S. M., Talukdar, R., Subramanyam, C., Vuyyuru, H., Sasikala, M., & Reddy, D. N. (2015). Role of the normal gut microbiota.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WJG21(29), 8787.
  • Miranda-Candelario, J. F., Espino-Huamán, J. E., Miranda-Cabrera, B. F., Cabrera-Hipólito, S. E., & Rivas-Rojas, R. (2015). Utilidad de la escala de predicción diagnóstica de neumonía bacteriana de Moreno en el manejo de la neumonía en niños. Acta Médica Peruana32(3), 157-163.
  • García Castellanos, T., Verdasquera Corcho, D., PérezÁvila, J., Martínez Mota, I., Salazar Rodríguez, D., & Pérez Monrás, M. (2010). Neumonía bacteriana en pacientes VIH/SIDA. Revista Cubana de Investigaciones Biomédicas29(4), 428-436.
  • Neumonía bacteriana, wikipedia. Recogido en https://es.wikipedia.org/wiki/Neumon%C3%ADa_bacteriana.
  • Borrell, L. S., & Segura, C. (2016). Neumonía y neumonía recurrente. Pediatrá integral20(1), 38-42.
  • López, A. (2006). Patología del sistema respiratorio. Slano, Canadá: Atlantic Veterinary College University of Prince Edward, 18.
  • Hakansson AP, Orihuela CJ, Bogaert D. Bacterial-Host Interactions: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Respiratory Infection. Physiol Rev. 2018;98(2):781-811. doi:10.1152/physrev.00040.2016
  • Lagos, R., Di Fabio, J. L., Moënne, K., Muñoz, A., Wasserman, S., & Quadros, C. D. (2003). El uso de la radiografía de tórax para la vigilancia de neumonías bacterianas en niños latinoamericanos. Revista Panamericana de Salud Pública13, 294-302.
  • Neumonía bacteriana, lungusa.org. Recogido en https://web.archive.org/web/20080430043435/http://www.lungusa.org/site/pp.asp?c=dvLUK9O0E&b=36870#two
  • Pragman AA, Berger JP, Williams BJ. Understanding persistent bacterial lung infections: clinical implications informed by the biology of the microbiota and biofilms. Clin Pulm Med. 2016;23(2):57-66. doi:10.1097/CPM.0000000000000108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