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동기 부여가 없으면 집에서 운동하기는 쉽지 않다. 오늘 이 글에서는 집에서 할 수 있는 복부 운동 6가지를 소개한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복부 운동 6가지
1. 플랭크
플랭크는 복근 운동 중 가장 효과가 좋고, 가장 일반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여러 번 반복해서 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똑같은 자세를 유지하기만 하면 된다. 저항성이 커야 이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꽤 힘든 운동이 될 것이다.
- 기본적으로 푸쉬업 자세로 하는 운동이다. 엎드려 발과 팔꿈치를 바닥에 댄다. 팔꿈치는 어깨 바로 아래에 있어야 한다.
- 팔꿈치와 발로 몸을 지탱하면서 복근을 쪼인다. 더 오래 버틸수록 운동은 더 많이 된다.
- 원한다면 이 운동을 한 다음 푸쉬업을 해도 된다. 그러면 효과가 더 좋다.
2. 러시안 턴
천장을 보고 바닥에 눕는다. 양발은 모으고 팔은 쭉 편다.
- 이 자세에서 몸통을 오른쪽으로 최대한 많이 돌린다. 이 자세를 몇 초 동안 유지한다.
- 반대 쪽도 같은 방법으로 반복한다.
- 2-3회는 반복해야 한다. 이 운동을 하고 다른 운동을 하면 더욱 좋다.
더 읽어보기 : 집에서 하는 5가지 무릎 강화 운동
3. 클라이머
이 운동은 몸의 거의 모든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이다. 심혈관 운동도 되기 때문에 이 운동을 하면 심장이 더 빨리 뛸 것이다.
-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곳에서 운동해야 한다. 손은 어깨 아래에 두고, 몸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 그런 다음 복부를 쪼은 상태에서 무릎을 앞으로 당긴다.
- 다시 처음의 자세로 돌아가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운동한다.
이 운동을 하면 정말 뭔가 다르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4. 시저 아크
- 바닥에 등을 대고 누워 손은 바닥에 댄다.
- 손을 엉덩이 아래에 깐다. 팔을 벌리지 말고 한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 그런 다음 양쪽 다리를 들어 올린다. 움직이지 말고 이 자세를 몇 초 동안 유지한다.
이 운동을 하는 이유는 두 다리 사이의 각을 직각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발과 다리가 바닥에 닿지 않게 들고 있는게 핵심이다.
이 자세를 몇 초 동안 계속 유지한다. 한 번 할 때마다 25-30회 정도 한다.
더 읽어보기 : 다이어트에 도움이 안 되는 5가지 운동
5. 스파이더 푸쉬업

이 운동은 푸쉬업의 일종이다. 푸쉬업 자세에서 팔꿈치와 무릎을 최대한 가까이 한다.
아마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최대한 무릎과 팔꿈치를 가까이 갖다 대보자. 어려운 운동이긴 하지만 공간만 있으면 어디에서나 할 수 있는, 복근을 키울 수 있는 재밌는 운동이다.
6. 프로그 킥
프로그 킥 이라는 운동은 근육을 가장 만들기 어려운 부위인 복부 중간 부분과 윗 부분 운동을 하는 운동이다.
- 바닥에 앉아 손을 바닥에 댄다. 손과 엉덩이로 몸을 지탱하라는 뜻이다.
- 그 다음 다리를 들어올리며 무릎을 구부린다.
- 그 다음 다리를 앞뒤로 움직인다.
- 이때 복부에 집중해야 한다. 최대한 쪼인 상태로 운동해야 하며 이 부위가 당겨야 한다. 그래야 효과적이다.
- 10-20회 반복한다.
지금까지 이 글에서 소개한 복부 운동 6가지를 꾸준히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물론, 운동을 하며 건강한 음식으로 식사해야 효과가 더 좋을 것이다. 운동만 한다거나 건강한 음식만 먹어서는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Harvard Medical School. (24 de enero de 2012). The real-world benefits of strengthening your core. https://www.health.harvard.edu/healthbeat/the-real-world-benefits-of-strengthening-your-core
- Lee, M., & Han, G. (2016). The effect of peculiar complex core balance training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s of the knee and lumbu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4), 1294–129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68230/
- Moraes, A. C., Pinto, R. S., Valamatos, M. J., Valamatos, M. J., Pezarat-Correia, P. L., Okano, A. H., Santos, P. M., & Cabri, J. M. (2009). EMG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in the crunch exercise performed with different external loads. Physical Therapy in Sport, 10(2), 57–62. https://pubmed.ncbi.nlm.nih.gov/19376473/
- Park, D. J., & Park, S. Y. (2019). Which trunk exercise most effectively activates abdominal muscles? A comparative study of plank and isometric bilateral leg raise exercises.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32(5), 797–802. https://pubmed.ncbi.nlm.nih.gov/30856100/
- Vispute, S. S., Smith, J. D., LeCheminant, J. D., & Hurley, K. S. (2011). The effect of abdominal exercise on abdominal fat.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5(9), 2559–2564. https://pubmed.ncbi.nlm.nih.gov/21804427/
- Whitaker, K. M., Pereira, M. A., Jacobs, D. R., Jr, Sidney, S., & Odegaard, A. O. (2017). Sedentary Behavior, Physical Activity,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Deposi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9(3), 450–45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315590/
- Youdas, J. W., Guck, B. R., Hebrink, R. C., Rugotzke, J. D., Madson, T. J., & Hollman, J. H. (2008).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Ab-Slide exercise, abdominal crunch, supine double leg thrust, and side bridge in healthy young adult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2(6), 1939–1946. https://pubmed.ncbi.nlm.nih.gov/18978615/
- Yoon, J. O., Kang, M. H., Kim, J. S., & Oh, J. S. (2018). Effect of modified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Brazilia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22(2), 161–16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83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