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진 모공을 줄이는 8가지 홈메이드 화장품

아래의 홈메이드 화장품들은 커진 모공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여드름, 잡티 및 각질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커진 모공을 줄이는 8가지 홈메이드 화장품

수분 부족, 올바르지 않은 세안, 그리고 흡연이나 운동 부족 등의 나쁜 습관은 피부를 칙칙하고 주름지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어느 날 문뜩 커져 버린 모공을 발견할 수도 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커진 모공을 줄이는 홈메이드 화장품들을 소개한다. 이 화장품을 사용해 아름답고 젊은 피부로 가꿔보자.

커진 모공을 줄이는 8가지 홈메이드 화장품

돋보기로 봐야만 모공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지만, 어떤 때는 모공이 커져서 맨눈으로 보이기도 한다.

커진 모공은 25∼30세에 이르면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며, 치료하지 않으면 개선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진 모공을 처음 발견했을 때 홈메이드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피부 전체를 개선하기 위해 매일 얼굴을 보습하고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지금부터 커진 모공을 줄이는 홈메이드 화장품들에 대해 알아보자.

추천 글: 모공 수축 효과가 있는 자연 재료

1. 달걀 귀리 팩

달걀 귀리 팩

달걀흰자에는 여러 가지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건강하게 해준다. 레몬은 피부를 맑게 하는 반면 귀리는 각질 제거제 역할을 한다. 

이 성분들을 함께 섞어서 사용하면 피부의 유분 생산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레몬을 바른 후 햇볕을 쬐면 피부에 얼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 팩은 밤에 사용하도록 하자. 

재료

  • 달걀흰자 1개
  • 레몬즙 2숟가락(20mL)
  • 귀리 2숟가락(20g)

사용 방법

  • 달걀흰자를 풀어준 다음 레몬즙을 넣는다.
  • 그다음 귀리를 넣고 잘 섞는다.
  • 팩이 잘 섞이면 세안을 한 얼굴에 바른다.
  • 각질 제거가 되도록 둥글게 마사지한다.
  • 따뜻한 물로 헹군다.

2. 오이 팩

피부 관리에 대해 생각할 때면 눈에 오이를 붙이고 있는 여성의 모습이 흔히 떠오른다. 그런데 실제로 오이는 정말 피부에 좋다!

이 채소를 사용하여 커진 모공을 줄이면서, 얼굴을 탄력 있고 빛나게 만들 수 있다. 

재료

  • 오이 1개
  • 옥수수 전분 2숟가락(20g)

사용 방법

  • 오이 껍질을 벗긴 다음 블렌더에 넣어 곱게 간다.
  • 오이와 전분을 용기에 넣는다.
  • 진한 팩이 될 때까지 잘 섞는다.
  • 세안한 얼굴에 둥글게 마사지하면서 바른다.
  • 15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 보습 크림을 발라 마무리한다.

3. 아몬드 팩

아몬드 팩

견과류 가루는 완벽한 홈메이드 각질 제거제가 될 수 있다.

재료

  • 아몬드 1/3컵(70g)
  • 물 3숟가락(30mL)

사용 방법

  • 아몬드가 가루가 될 때까지 곱게 간다.
  • 반죽 질감의 팩이 되도록 물을 적당량 넣어 섞는다.
  • 코에서부터 시작해 뺨, 이마, 턱까지 둥글게 마사지하면서 팩을 바른다.
  • 20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 일주일에 2번 반복한다.

4. 토마토 화장수

토마토는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햇빛에 오래 노출되었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사용하면 좋다.

또 토마토는 칼륨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반점을 줄여주고, 커진 모공에도 아주 좋다.

  • 샤워 후 토마토즙을 면 솜에 적셔 얼굴에 바르기만 하면 된다.
  • 매일 밤 반복한다.

5. 우유 세럼

우유 세럼

우유 세럼은 화장품 매장에서도 구할 수 있다. 이 고대의 홈메이드 화장품은 피부를 깨끗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공의 크기도 줄여준다.

  • 자기 전에 세안한 다음 우유 세럼을 면 솜에 적셔 바른다.
  • 20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 우유 세럼이 없다면, 무설탕 액상 천연 요거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추천 글: 홈메이드 우유 비타민 E 크림으로 팔꿈치와 무릎을 하얗게!

6. 베이킹소다 팩

베이킹소다는 청소, 미용, 건강 관리에 있어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모든 가정의 필수품이다. 이 팩은 항박테리아 및 소염 작용을 해 여드름 및 커진 모공에 좋다.

재료

  • 베이킹소다 2숟가락(20g)
  • 따뜻한 물 2숟가락(20mL)

사용 방법

  • 베이킹소다와 물을 용기에 넣는다.
  • 두 재료를 잘 섞는다.
  • 각질 제거가 잘되도록 둥글게 마사지하며 얼굴에 바른다.
  • 20분간 두었다가 찬물로 헹군다.

7. 파파야 팩

파파야 팩

이 맛있는 열대 과일은 피부에 정말 좋다.

특히 커진 모공을 줄이기 위해 파파야 껍질을 화장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말 간단하다.

  • 얼굴 피부에 파파야 껍질 안쪽을 문지른다.
  • 15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8. 꿀 팩

꿀은 요리 및 차에 단 맛을 더해주는 성분이지만, 피부를 눈에 띄게 개선하는 강력한 항박테리아 및 소염제이기도 하다.

꿀은 여드름과 잡티를 제거하며, 동시에 피부 감염도 예방한다.

재료

  • 귀리 1숟가락(5g)
  • 꿀 2숟가락(50g)

사용 방법

  • 용기에 귀리를 넣고 꿀을 조금씩 넣는다.
  • 잘 섞는다.
  • 깨끗하고 물기가 없는 얼굴에, 코와 이마부터 시작해 바른다.
  • 뺨에도 바르고 턱도 잊지 않는다.
  • 15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ee, S. J., Seok, J., Jeong, S. Y., Park, K. Y., Li, K., & Seo, S. J. (2016, March 23). Facial pores: Definition, causes, and treatment options. Dermatologic Surgery.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https://doi.org/10.1097/DSS.0000000000000657
  • Dong, J., Lanoue, J., & Goldenberg, G. (2016). Enlarged facial pores:An update on treatments. Cutis98(1), 33–36.
  • Pazyar, N., Yaghoobi, R., Kazerouni, A., & Feily, A. (2012, March). Oatmeal in dermatology: A brief review.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https://doi.org/10.4103/0378-6323.93629
  • Mukherjee, P. K., Nema, N. K., Maity, N., & Sarkar, B. K. (2013, January). Phytochemic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cucumber. Fitoterapia. https://doi.org/10.1016/j.fitote.2012.10.003
  • Groten K, Marini A, Grether-Beck S, et al. Tomato Phytonutrients Balance UV Response: Results from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Skin Pharmacol Physiol. 2019;32(2):101–108. doi:10.1159/000497104
  • Hewitt, H., Whittle, S., Lopez, S., Bailey, E., & Weaver, S. (2000). Topical use of papaya in chronic skin ulcer therapy in Jamaica. West Indian Medical Journal49(1), 32–33.
  • Mandal MD, Mandal S. Honey: its medicinal proper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sian Pac J Trop Biomed. 2011;1(2):154–160. doi:10.1016/S2221-1691(11)60016-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