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 섬유종은 목이나 팔뚝, 눈꺼풀 등의 신체 부위에 작게 생기는 종양을 말한다. 피부 지방층에 콜라젠이 쌓인 것이 원인이지만 피부 마찰로 인해 생길 수도 있다. 건강에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감염이 되거나 쉽게 상처가 날 수 있어 좀 신경 쓰이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리고 보기에 안 좋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이 연성 섬유종을 없애려고 한다.
그래도 다행스러운 것은 이것을 없애기 위해 비용이 많이 들거나 아픈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된다. 주위 피부를 손상하지 않고 이 작은 세포를 없앨 수 있는, 게다가 천연 재료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 글에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하자!
1. 애플 사이다 식초
애플사이다 식초의 아세트산은 연성 섬유종이나 사마귀를 없애는데 가장 효과적인 성분이다.
이것으로 연성 섬유종을 완전히 없애려면 몇 주가 걸린다.
재료
- 애플사이다 식초 1T
- 이쑤시개 1개
- 탈지면 1개
- 반창고
활용 방법
-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를 따뜻한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씻는다.
- 물기를 말린 후, 이쑤시개로 부드럽게 긁는다.
- 애플사이다 식초를 적신 탈지면을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올린다.
- 다음 날 아침 헹구고, 밤에 잠자기 전에 같은 방법으로 반복한다.
- 연성 섬유종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2. 피마자유와 맥주효모
효모와 피마자유를 섞은 것을 연성 섬유종이 있는 피부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 피마자유 1T
- 효모 가루 ½ t
- 반창고
활용 방법
- 피마자유와 맥주효모를 섞어 반죽처럼 만든다.
-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바르고, 이 부위를 반창고로 감는다.
- 이 상태로 하룻밤 자고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 헹군다.
- 2-4주간 반복하면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3. 파인애플즙
브로메날린은 파인애플즙에 들어있는 효소로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소염효과와 항생효과가 있다. 연성 섬유종을 작게 만들어 준다. 또 신체 다른 부위에 퍼지는 것을 예방해준다.
재료
- 파인애플 1개
- 레몬즙 3 방울
- 탈지면 1개
활용 방법
- 파인애플을 으깨고 레몬즙 3방울을 넣는다.
- 탈지면을 적셔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올려둔다.
- 같은 방법으로 하루에 세 번 반복한다.
더 읽어보자: 변비를 없애는 파인애플 레시피 5가지
4. 티트리 오일
이 오일은 작은 사마귀나 연성 섬유종을 없애는데, 정말 효과적이다.
항생 성분이 있어 우리를 아프게 만드는 원인인 병원 군을 없애준다.
재료
- 티트리 오일 3방울
- 물
- 탈지면 1개
활용 방법
- 탈지면에 물을 적셔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를 닦는다.
- 그리고 연성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티트리 오일 2-3방울을 떨어뜨린다.
- 따로 헹구지는 말고, 연성 섬유종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같은 방법으로 하루에 두 번 반복한다.
5. 오레가노 오일
오레가노 오일은 여러 가지 염증이나 바이러스, 감염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섬유종을 없애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신체 다른 부위로 퍼지는 것도 예방해준다.
재료
- 오레가노 오일 ½ t
- 탈지면 1개
활용 방법
- 탈지면에 오레가노 오일을 적셔 섬유종이 있는 부위에 올려둔다.
- 하루에 두 번 반복하다.
이 글도 읽어보자: 5가지 최고의 천연 항생제 및 사용법
6. 소금과 양파즙
양파에 함유된 황화합물은 항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섬유종을 없애는데 쓸 수 있다.
재료
- 양파 1개
- 바다 소금 1T
- 붕대 1개
활용 방법
- 양파를 잘게 다져 소금과 섞는다.
- 다음날 양파즙을 짜 피부 연성 섬유증이 있는 부위에 바른다.
- 붕대를 감고 그 상태로 하룻밤 잔다.
- 같은 방법으로 10∼12일 밤 연달아 반복한다.
오늘 이 글에서 소개한 방법을 활용하여 섬유종을 치료해보자.
눈에 보일만 한 효과가 나기까지는 시간이 꽤 걸린다는 것을 염두에 두자. 그리고 그 시간은 섬유종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ntunes, A., Rossel, B. & Adriaens, E. (2021). Efficacy Evaluation of the Pixie® Skin Tag Cryogenic Device on Skin Tags in a Prospective, Single-Blinded, Randomized, Comparative Clinical Trial. Dermatology and Therapy, 11(3), 995-1007.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163951/
- Bora, L., Avram, S., Pavel, I. Z., Muntean, D., et al. (2022). An up-to-date review regarding cutaneous benefits of Origanum vulgare L. essential oil. Antibiotics, 11(5), 1-20.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137521/
- Bunick, C. G., Lott, J. P., Warren, C., et al. (2012). Chemical burn from topical apple cider vinega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67(4), 143-144.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479370/
- Campayo, N. M., Buján, J. G. & Capdevila, E. F. (2020).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tea tree oil. Actas dermo-sifiliograficas, 111(9), 787-788.
- Deenadayalan, B., Venugopal, V., Maheshkumar, K., et al. (2022).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Tea Tree Oil (Melaleuca alternifolia) on Hand Warts. Journal of Clinical & Diagnostic Research, 16(1), 1-2. Disponible en: https://www.jcdr.net/articles/PDF/15862/51162_CE[Ra1]_F[SH]_PF1(SC_SL)_PFA(SC_KM)_PN(KM).pdf
- Fredriksson, C. H., Ilias, M. & Anderson, C. D. (2009). New mechanical device for effective removal of skin tags in routine health care. Dermatology Online Journal, 15(2). Disponible en: https://escholarship.org/uc/item/7tj2800k
- Feldstein, S., Afshar, M. & Krakowski, A. C. (2015). Chemical Burn from Vinegar Following an Internet-based Protocol for Self-removal of Nevi. Journal of Clinical & Aesthetic Dermatology, 8(6), 50.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479370/
- Goyal, A., Sharma, A., Kaur, J., et al. (2022). Bioactive-based cosmeceuticals: An update on emerging trends. Molecules, 27(3), 1-28.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837976/#:~:text=Castor%20oil%20is%20rich%20in,%2C%20and%20cleansing%20%5B25%5D.&text=Chemical%20structure%20of%20ricinoleic%20acid.
- Keen, M. A. & Hassan, I. (2016). Vitamin E in dermatology. Indian dermatology online journal, 7(4), 311-315.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976416/
- Millar, B. C., & Moore, J. E. (2008). Successful topical treatment of hand warts in a paediatric patient with tea tree oil (Melaleuca alternifolia).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14(4), 225-227.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8940708/
- Pandey, A. & Sonthalia, S. (2022, August 1). Skin Tags. StatPearls. Consultado el 16 de febrebro de 2023.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7724/
- Pazyar, N., Yaghoobi, R., Bagherani, N. & Kazerouni, A. (2013). A review of applications of tea tree oil in dermat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52(7), 784-790.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22998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