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장애 아동을 돕기 위한 운동을 소개한다. 언어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전문가와 부모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무엇보다 아이의 언어 발달이 좀 지연되는 것이 다른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자.
아이가 말을 잘 못한다고 해서 그만큼 덜 지능적이라거나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 이런 언어 문제는 대부분 어린 시절에만 나타나는 것일 뿐이다.
잘 안 믿길 수도 있겠지만, 말하기 능력이 뛰어난 청소년과 어른 중 어릴 때 언어 장애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이 있다. 어릴 때 언어 장애가 있었다고 해서 성인이 되었을 때 다른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언어 장애 아동을 돕기 위한 운동
1. 언어 장애 아동을 돕기 위한 카드
무엇보다 소리를 담고 있는 카드는 아이들이 발음하는 것을 배울 수 있는 도구이다. 게임처럼 이 훈련을 시키고, 아이가 제대로 잘 발음했을 때 뭔가 작은 선물을 해주면 좋다.
이 글도 읽어보자 : 아이들을 위한 5가지 건강한 아침 식사
2. 거울 연습
거울 연습은 단어와 소리를 발음하는 데 문제가 있는 아이들에게 유용하다. 거울은 입을 움직이고, 각 단어의 소리를 내는 올바른 방법을 가르쳐준다.
3. 반복
언어 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어떤 단어를 반복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다. 하지만 천천히 반복해야 아이들이 모든 음절을 다 들을 수 있다.
4. 이야기하기
부모와 다른 가족들은 언어 장애가 있는 아이들과 자주 소통해야 한다. 그래야 아이들이 한 마디라도 더 말할 수 있고, 아이들이 새로운 단어를 들을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 글도 읽어보자 : 과잉 양육: 행복하지 않은 어린이를 키우는 것
5. 말하기 훈련 시키기
말하는 훈련을 시키려면 아이들이 올바른 말을 할 때에만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는 게 좋다. 손짓을 사용하지 않고, 말할 때에만 원하는 것을 들어주라는 뜻이다. 그러면 아이들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라도 말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6. 독서
독서도 아이들의 언어 실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책을 읽으면서 새로운 단어를 배운다. 그리고 아이들은 문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어려운 단어를 발음하는 법도 배운다. 그리고 이야기는 아이들의 창조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언어 장애 진단 방법
자녀가 언어 장애가 있는지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게 부모가 할 일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아이들은 저마다 다 언어 발달 속도가 다르다는 점을 먼저 알아야 한다.
아이가 언어 장애가 있는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상황이 있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 18개월 까지 아이가 하나의 단어로 말하지 않는다. 어떤 물건을 가르키지 않거나 의사소통하는 데 관심이나 의도가 없다.
- 18개월 된 아기가 최대 3개의 단어로 구성된 간단한 명령을 이해하지 못한다.
- 2세가 되었는데 들은 것만 반복하거나 말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 3세에 복수형이나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4세에 자음을 잘못 발음하거나 말을 할 때 콧소리를 내거나 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언어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조언
우선 부모는 아이가 주변 사람들의 말을 들으며 언어를 배운다는 점을 기억하자. 따라서 아이들에게 말을 많이 해주는 게 중요하다. 그냥 간단하고 명확한 언어로 아이에게 말을 해보자.
그리고 부모는 매일 아이에게 뭔가를 읽어주어야 한다. 그림책을 읽어주고 보여주면 아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목욕할 때나 옷을 갈아 입힐 때에도 무언가 말을 해 보자. 새로운 언어, 옷의 이름, 신체 부위 등을 가르치기 좋은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아이 주변에 있는 부모와 다른 사람들은 아이가 실수했을 때 결코 웃어서는 안 된다. 언어 장애가 있는 아이들에게 심리적, 정서적으로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arragán, P. E., & Lozano, S. S. (2011). Identificación temprana de trastornos del lenguaje.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2(2), 227-23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716864011704175
- Borja Santín, X. D. (2019). Lo maravilloso del canto y movimiento, aplicado como estrategias para la estimulación del habla en problemas y trastornos de lenguaje y comunicación.(Estudios de casos realizados en Quito en el año 2018) (Bachelor’s thesis, PUCE-Quito). http://201.159.222.35/handle/22000/16319
- Casanova, M. B. L., & García, I. N. (2018). La estimulación auditiva a través de la música en el desarrollo del lenguaje en Educación Infantil. Revista Electrónica de Investigación y Docencia (REID), (20). https://revistaselectronicas.ujaen.es/index.php/reid/article/view/3729/3253
- Fernández Martín F.. Escuchemos el lenguaje del niño: normalidad versus signos de alerta. Rev Pediatr Aten Primaria [Internet]. 2013 Jun [citado 2018 Nov 09] ; 15( Suppl 23 ): 117-126. Disponible en: https://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9-76322013000300014
- Fürgang, R. (2001). La terapia del lenguaje en el síndrome X frágil. Revista de neurología, 33(1), 82-87. https://sid-inico.usal.es/idocs/F8/ART13818/terapia_del_lenguaje_en_sindrome_x_fragil.pdf
- Gómez, M. H., & Eizaguirre, M. P. (2017). Musicoterapia y trastorno específico del lenguaje/Music therapy and specific language disorder. Revista de investigación en musicoterapia, 1, 48-67. https://revistas.uam.es/rim/article/view/7723
- Lara-Díaz María Fernanda, Gómez-Fonseca Ángela María, García Milena, Niño Lina, Guerrero Yeison. RELACIONES ENTRE LAS DIFICULTADES DEL LENGUAJE ORAL A LOS 5 Y 6 AÑOS Y LOS PROCESOS DE LECTURA A LOS 8 Y 9 AÑOS. rev.fac.med. [Internet]. 2010 July [cited 2018 Nov 09] ; 58( 3 ): 191-203. Available from: http://www.scielo.org.co/scielo.php?script=sci_arttext&
- Medina Alva María del Pilar, Kahn Inés Caro, Muñoz Huerta Pamela, Leyva Sánchez Janette, Moreno Calixto José, Vega Sánchez Sarah María. Neurodesarrollo infantil: características normales y signos de alarma en el niño menor de cinco años. Rev. perú. med. exp. salud publica [Internet]. 2015 Jul [citado 2018 Nov 09] ; 32( 3 ): 565-573. Disponible en: http://www.scielo.org.pe/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726-46342015000300022&lng=es.
- Sarmiento-Genovez, A., Lorenzo-Ruiz, A., Rondon-Acosta, Y., & Valdés-Santiago, D. (2021). La INFLUENCIA DEL ENTORNO FAMILIAR Y EL TIPO DE FAMILIA EN EL DESARROLLO DEL LENGUAJE EN NIÑOS DE 3 A 5 AÑOS. PSICOLOGÍA UNEMI, 5(9), 21-35. https://ojs.unemi.edu.ec/index.php/faso-unemi/article/view/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