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결코 최선의 선택이 아니다. 믿을 수 없을 수도 있지만, 소리지르기는 또한 아이의 성격과 두뇌에 장기적으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폭력이다.
아이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양육하는 것이 왜 더 좋은지 그리고 왜 아이에게 소리지르는 것을 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계속 읽어 보면서 사랑과 공감을 이용하여 아이를 어떻게 훈육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부모의 고함
소리를 지르던 시간을 되돌아본 적이 있는가? 그런 소리는 소리를 지른 사람이 통제력을 잃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들어주기를 원하고 생각을 강요할 때에만 소리지른다. 지금, 정말로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의견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정신과 의사 조셉 슈랜드 박사는 우리가 가진 대부분의 위험한 감정을 해소하는 7가지 전략, <분노 해소의 기술>이라는 책을 썼다. 그 내용에 따르면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할 때, 아이의 변연계는 활성화된다. 그와 같은 시스템은 본능적인 ‘투쟁 도피’ 반응을 담당한다.
따라서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듣고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대신 실제로 그 반대의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이들이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대응하고 싶게 만들거나 그렇게 하지 못할 경우 피하고 숨고 싶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소리를 지르는 것은 당신과 자녀에게 기분이 좋은 일이 아니다. 소리를 지르는 것이 어린 아이의 마음에 어떤 결과를 남기는지 살펴보자.
더 읽어보기: 유년기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부모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
1. 유아의 두뇌에 변화를 일으킨다
2011년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조기에 지속적으로 소리를 지르는 것에 의해 발생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은 뇌가 언어를 통해 받는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유아 두뇌 발달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이들은 부정적 정보와 사건을 긍정적인 것보다 더 철저하고 빠르게 처리하기 시작할 수 있다.
2.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다
엄마, 아빠 또는 선생님이 소리를 질렀을 때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 기억하는가?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두려움, 좌절, 슬픔을 유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시적인 감정을 넘어서 아이의 정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목소리가 올라가면 당신의 아이는 당신이 보내는 크고 명확한 메시지를 듣게 된다. “아이들은 당신이 기대한 것처럼 올바르게 일을 수행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인내심과 관용의 부족은 아이들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느끼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결국 아이의 자존감을 손상시킨다.
또한, 일부 연구는 언어적 학대가 성인기의 심리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소리를 지르는 것은 우울증 및 불안과 관련있다. 또한, 알코올과 약물 남용 또는 위험한 성행위와 같은 자기 파괴적 행동과도 관련이 있다.
3. 정서적 학대는 문제 행동을 악화시킬 수 있다
처음에 설명한 것과 같이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변연계로부터 반응을 유발한다. 이 반응은 투쟁 또는 도피 둘 중 하나이다. 많은 경우에서 아이에게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문제를 악화하도록 만들 뿐이다. 실제로 그들의 반항성과 완고함을 더욱 강화시키고 아이를 위험에 빠지게 만들 수 있다.
연구자들은 부모의 소리지르기로 인한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경험한 만 13세의 어린이들이 중기적으로 부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을 관찰했다. 따라서 심지어 더 복잡해지는 상황을 막고자 한다면 아이들에게 소리지르는 것을 피해야 한다.
4. 소리지르기는 못된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부모는 그의 자녀가 보는 거울이다. 감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우리가 아이들에게 어떻게 기대할 수 있겠는가? 자제력을 잃는 것으로 아이에게 이 같이 행동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소리를 지른다면 우리는 아이에게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보여 주는 것이다.
소리를 지르는 것 대신에 대화를 해보 는 것은 어떨까? 당신의 자녀에게 긍정적인 방법으로 좌절감을 다루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어떠한가? 모범을 보여서 훗날 미래의 자녀를 자신감 있고 공감하며 존중하는 성인으로 바뀌도록 하자.
더 읽어보기: 절대 퇴색되지 않는 가치인 존중과 예절
5. 아이의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읽었던 것과 같이 일부 연구는 부모가 자신에게 소리지르는 일을 경험한 스트레스 받은 어린이는 만성적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질병은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내분비 분비물에 의해 발생한다.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문제는 아래와 같다.
- 관절염
- 편두통 또는 심한 두통
- 허리와 목 문제
- 기타 만성 문제
결론적으로 아이들이 행복하고 정서적으로 공감하고 회복력 있는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기 바란다면, 우리의 감정을 먼저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문제에 대답이 아니다.
오늘부터는 아이에게 소리 지르기를 멈추고 긍정적인 기술 몇 가지를 시도해보자. 폭발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멀리 떨어져서 숨을 쉬고 자신을 진정시키자. 아이의 수준에서 존중하며 대화하자. 부모는 아이가 보는 거울이며 미래에 자녀가 자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방식은 부모가 하는 것과 많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evine, L. (2013). Outsmarting Anger: 7 Strategies for Defusing Our Most Dangerous Emotion. John Wiley & Sons. https://books.google.es/books?hl=es&lr=&id=72BcCwAAQBAJ&oi=fnd&pg=PR7&dq=Outsmarting+Anger:+7+Strategies+for+Defusing+Our+Most+Dangerous+Emotion&ots=ikZW2tZU_z&sig=xELqv65P6H_f1Pb_zwoQf23VCC0#v=onepage&q=Outsmarting%20Anger%3A%207%20Strategies%20for%20Defusing%20Our%20Most%20Dangerous%20Emotion&f=false
- Tomoda, A., Sheu, Y. S., Rabi, K., Suzuki, H., Navalta, C. P., Polcari, A., & Teicher, M. H. (2011). Exposure to parental verbal abus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gray matter volume in superior temporal gyrus. Neuroimage, 54, S280-S28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50228/
- Norman, R. E., Byambaa, M., De, R., Butchart, A., Scott, J., & Vos, T. (2012). The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of child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Med, 9(11), e100134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07962/
- Prieto, G. B. (2008). Hacia una educación de calidad. Revista Iberoamericana de Educación, 45(6), 3. http://www.cop.es/colegiados/m-13106/images/Art%C3%ADculoEducaciónCalidad.pdf
- Miller, G. E., Chen, E., & Parker, K. J. (2011). Psychological stress in childhood and susceptibility to the chronic diseases of aging: moving toward a model of behavioral and biological mechanisms. Psychological bulletin, 137(6), 95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02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