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들 덕분에 얻을 수 있는 행복 4가지

손주들은 우리가 우리 아이에게 했던 실수를 고칠 기회를 준다. 하지만 그저 아이들을 가르치려고만 해서는 안 된다.

손주들 덕분에 얻을 수 있는 행복 4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손주가 주는 것은 많다. 특히 손주들 덕분에 우리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부분을 알 수 있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삶의 큰 변화고, 할머니가 되는 것도 말로 설명할 수 없는 큰 행복이다.

젊은 나이인데도 할머니가 된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그들의 아이들이 아이를 갖는 것을 미뤄왔기 때문에 이렇게 빨리 할머니가 되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모든 상황은 각자 다르지만 또 비슷한 부분들이 있다. 손주들을 키우는 과정은 성장을 위한 도전이 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나를 발견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삶의 이 시기를 돌아보고, 어떤 변화가 있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글도 읽어보자: 조부모에게 빛과 행복이 되는 손주들

손주들 덕분에 얻을 수 있는 행복 4가지

아이를 키우는 것은 부모의 몫이라는 걸 우리는 알고 있다. 부모에게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 있다.  그리고 조부모는 아이의 삶을 지지 해주는 두 번째 부모가 된다. 물론 손주들과 어떻게 지내는지는 아이들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가 늘 좋지만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모와 잘 지내고 있으며 아이를 키울 때 조부모의 지원이 필수라고 여기고 있다.

손주들 덕분에 얻을 수 있는 행복 4가지

1. 손주들 덕분에 아이들에게 했던 실수를 되짚어 볼 수 있다

아이를 기르는 방법에 관해 처음부터 다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 어떤 상황으로 하여금 제대로, 원하는 대로 키우지 못할 때가 있다. 이를테면 경제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거나 일이 너무 바빠 집에서는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없는 경우 말이다.

  • 손주를 돌볼 때 조부모들은 자식들에게 했던 실수를 떠올리며 다른 방법을 생각해보게 된다.
  • 보통은 손주들을 직접 훈육하기 보다는 손주의 부모(나의 자식)에게 이야기하는 편이 낫다.

2. 그저 행복하다

아이들에게 규칙을 정해주고, 주의를 주거나 혼내는 것은 부모가 해야할 일이다.

  • 조부모도 교육에 참여할 수 있지만 그 책임은 부모와 같지 않다. 지금은 손주를 행복하게 해주는 게 더 중요하다.
  • 손주들은 신선한 힘을 준다. 조부모는 손주들을 항상 예뻐해주고 싶고, 그래서 아이가 가장 사랑하는 친척이 된다.

이 글을 읽어보자: 더 행복한 삶을 위한 10가지 습관

3. 손주를 통해 유산을 남긴다

용기를 내서 모험을 했거나 두려웠던 일, 자랑스러운 일 등 우리가 살면서 경험한 모든 것들을 손주들에게 남겨줄 수 있다.

child-with-bird

4. 손주들 덕분에 잃어버렸던 힘을 되찾는다

지기 자식을 키울 때는 포기하지 않는 방법을 배우고, 아이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게 된다.

  • 이렇게 자란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되면 세상을 좀 더 쉽고, 성숙하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아이들을 보는 것은 물론 자랑스럽지만, 동시에 삶의 한 시기를 끝냈다는 느낌도 들 것이다.
  • 성인들은 각자 취미가 있고 가족이 있고, 책임이 있다. 하지만 손주들이 태어나면 다시 많은 것들은 달라진다. 스스로를 재정의 하게 된다. “조부모”가 되었고 할 수 있는 한 손주를 돌보고 싶어진다. 손주를 돌보는 일은 간단하지 않지만 즐거운 일이고 또 새로운 도전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Di Gessa, G., Glaser, K., & Tinker, A. (2015). The Health Impact of Intensive and Nonintensive Grandchild Care in Europe: New Evidence From SHAR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1(5), 867-7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982385/
  • All in the family: the impac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health (2007). Hughes ME, Waite LJ, LaPierre TA, Luo Y.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379680
  • The Impac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Physical Health Outcomes: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2017). Zhou J, Mao W, Lee Y, Chi 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733495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