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고통 반대의 날: 지식을 실천으로 전환

급성 및 만성 통증은 병원을 방문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통증 완화는 보편적인 권리다.
세계 고통 반대의 날: 지식을 실천으로 전환
Mariel Mendoza

작성 및 확인 의사 Mariel Mendoza.

마지막 업데이트: 18 10월, 2022

매년 10월 17일인 세계 고통 반대의 날은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2004년 10월 11일, 국제 통증 연구 협회, 유럽 통증 연맹 및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제정됐다.

통증은 여성에게 더 흔하며 가임기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만성 통증은 노년층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날은 고통으로 인한 심신 고통에 관한 더 나은 구제 방법을 찾는 긴급한 필요성에서 태어났다. 세계 고통 반대의 날의 주요 목표는 만성 질환의 고통을 완화할 방법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더 큰 가시성을 제공한다.

세계 고통 반대의 날: 권리로서의 통증 완화

다양한 캠페인을 통해 사회 전체와 공공 및 민간 조직에서 통증 치료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인식을 높이고 지식과 임상 실습에서의 적용 격차를 줄여야 한다.

국제 통증 협회는 2022년을 ‘통증 지식을 실천으로 옮기는 글로벌 해’로 지정했다. 즉, 통증 관리에 영향을 미칠 지식을 축적하기 위해 임상 및 과학적 지식을 높이자는 의미다.

만성 통증은 신체, 정서, 개인과 사회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완화가 현재 중요한 과제다. 2000년부터 진통제는 보편적인 인권으로 지정되었으며 이 내용은 유엔 인권 헌장에도 명시되어 있다.

통증 반대의 만성 통증
만성 통증을 가진 사람들은 휴식에서 여가에 이르기까지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받는다.

질병의 고통

높은 유병률과 영향으로 인해 세계 보건 기구는 만성 통증을 질병으로 분류한다. 만성 통증은 1차 보건 의료 사례의 약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통증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급성: 외상, 질병 또는 수술의 결과
  • 만성: 환자와 주변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 원인

만성 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하며 자궁내막증 또는 월경통 같은 부인과적 병리 및 류마티즘성 관절염, 섬유근육통, 골절 또는 요통 같은 운동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신경병증과 암도 자주 발생한다.

만성 통증은 대부분 중등도에서 중증으로 일상적인 활동을 제한한다.

2020년에 국제 통증 협회(International Pain Association)는 만성 통증을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된 통증이나 이와 유사한 불쾌한 감각 및 감정적 경험으로 정의했다.

1차 보건 의료 사례의 절반을 차지하며 통증이 너무 심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수 있다. 만성 통증은 수면, 사회 활동 참여 또는 일상 활동을 방해한다.

결근과 장애의 주요 원인인 만성 통증은 사회 경제적 영향으로 공중 보건 문제를 유발한다.

통증의 주관적 요소

통증은 신경계가 관리하는 감정적 요소가 있는 불쾌한 감각이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부분을 조절하기가 더 어렵다.

통증과 통증 내성 정도는 개인차가 있다. 사생활은 물론 가족, 직장, 사회 및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다. 상황의 심리적 처리는 환자들과 관련된 정신 건강 개입을 만든다.

치료는 단지 약리학적인 것이 아니다. 때로는 물리와 심리 치료가 포함돼야 한다.

진통제는 책임감 있는 사용이 필수다.

고통 반대의 심리적 지원
만성 통증 치료는 약물 외에 심리적 지원이 중요하다.

세계 고통 반대의 날, 적절한 통증 관리의 중요성 강조

만성 통증은 종종 완화 치료와 가족 지원이 필요하다. 접근 방식은 개별화돼야 하며 일반적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진통제 사다리가 사용된다.

통제되지 않은 심한 통증은 경제, 직업, 사회적 손실 같은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부적절한 통증 관리는 피해야 한다. 장애와 결근은 공중 보건에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편적 권리로서 통증 완화를 촉진하는 것은 효과적 대처를 위한 발상이다. 세계 고통 반대의 날은 적절하고 세계적인 대응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rennan F, Cousins M. Rev. Soc. Esp. Dolor 2005;12. Disponible en https://scielo.isciii.es/pdf/dolor/v12n1/colaboracion.pdf.
  • González C, Moreno M. Manejo del dolor crónico y limitación en las actividades de la vida diaria. Rev. Soc. Esp. Dolor 2007;6. Disponible en https://scielo.isciii.es/pdf/dolor/v14n6/original3.pdf.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udy of Pain. Disponible en https://www.iasp-pain.org.
  • Berrocoso Martínez, Alberto, Leonor de Arriba Muñoz, and Adriana Arcega Baraza. “Abordaje del dolor crónico no oncológico.” Revista Clínica de Medicina de Familia 11.3 (2018): 154-159.
  • Margarit, César. “La nueva clasificación internacional de enfermedades (CIE-11) y el dolor crónico. Implicaciones prácticas.” Revista de la sociedad española del dolor 26.4 (2019): 209-210.
  • Muñoz-Sanjosé, Ainoa, et al. “Intervenciones basadas en Mindfulness y compasión en dolor crónico.” Revista de Investigación y Educación en Ciencias de la Salud (RIECS) 4.S1 (2019): 112-12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