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부모를 알아보는 법을 언제 배우는지는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 사실, 아기가 부모를 알아보는 능력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발달의 결과다.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인식하는 능력이 있지만 어느 정도 발달해야만 부모를 알아볼 수 있다.
실제로 아기는 금세 부모를 알아보는 편이다. 부모는 영원처럼 느낄지 모르지만 생후 몇 개월 만에 깨우치는 능력이다. 이 과정은 어떻게 발생할까? 이번 글에서 알아보자.
아기가 부모를 알아보는 데 필요한 감각 발달
아기는 오감이 이미 확립된 상태로 태어나지만 완전히 발달한 상태는 아니다. 특히 신생아의 시력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처음에는 흐릿한 덩어리만 보이고 빛과 어둠을 거의 구분하지 못한다.
빛이 너무 밝으면 아기는 작은 머리를 돌리고 25cm 이하의 거리에 있는 것만 인식할 수 있다. 수유할 때 엄마와 아기 사이의 거리, 또는 아기를 안고 있을 때 아빠 얼굴과 아기 사이의 거리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다행히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적어도 음성으로 부모를 식별할 수 있다. 아마도 배 속에 있을 때부터 부모의 목소리를 들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아기는 또한 냄새로 엄마를 인식한다. 만약 아빠가 아기를 자주 데리고 다닌다면 아빠의 냄새도 기억할 것이다.
청각과 시각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해 처음에 사용하는 감각이다.
아기가 부모를 알아보는 시기
태담을 많이 들은 아기는 태어나서 엄마와 아빠를 좀 더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아기는 태어난 직후 어느 정도 부모를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부모의 얼굴을 알아보는 시기는 언제일까?
아기가 얼굴을 인식하는 능력은 얼마나 자주 노출되는지에 달려 있다. 즉, 얼굴을 많이 볼수록 얼굴을 인식할 가능성이 커진다. 처음에는 아기가 인식할 수 있을 만큼 얼굴을 가까이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는 생후 한 달이 지나면 자주 본 부모의 얼굴을 알아본다. 정기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을 식별하고 이상해 보이는 사람들과 구별한다.
아기는 계속 성장 발달하며 생후 8개월이 됐을 때 이미 얼굴을 식별하는 전문가가 된다.
아이에게 엄마나 그 자리를 대신하는 사람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므로 가장 먼저 알아보게 된다. 아빠가 아기와 많은 시간을 보낸다면 아기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은 아빠가 된다.
더 읽어보기: 애착 이론: 애착은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아기가 부모를 알아보는 능력의 진화
아기는 생후 2개월이 되면 부모를 알아볼 수 있지만 정면에서 얼굴을 보는 경우로만 제한된다. 정면이 아닌 옆모습을 보면 부모를 잘 알아보지 못한다. 옆모습은 적어도 생후 6개월 후부터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2018년 중앙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발견되었다. 생후 3개월~8개월 아기 14명의 행동을 반년간 분석한 결과 옆모습을 식별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모든 아기가 얼굴을 식별하는 시기가 같은 것은 아니라고 발표했다. 다른 아기보다 나중에 부모를 알아보는 아기도 있다. 멀리서도 부모를 알아보는 것은 아주 나중에야 가능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되는 안면 인식
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는 부모의 앞모습과 옆모습을 알아볼 수 있으며 다른 가족 구성원과 자주 보는 사람도 식별할 수 있다.
생후 12개월에도 자주 보는 사람을 식별하지 못하는 것 같다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한다. 얼굴과 제일 좋아하는 장남감 같은 사물도 인식하는 것이 정상인 나이다.
생후 8~9개월경부터 낯가림을 할 수도 있다. 낯가림은 모르는 사람을 볼 때 긴장, 불신 또는 수줍음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보기: 아기를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얼굴 인식의 감정적 측면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부모를 알아보기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더 명확하게 구분한다. 처음에는 부모가 가까이서 정면으로 마주 보고 아기와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아기는 부모를 알아보고 반가워한다. 눈에 안 보이거나 움직이면 울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아기는 양육자와 긴밀한 유대를 형성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Reyes Platas, D. I. (2021). Estudio del complejo de animación ante la presencia activa y pasiva del cuidador en bebés de 2 a 8 meses de edad (Master’s thesis).
- Ichikawa, H., Nakato, E., Igarashi, Y., Okada, M., Kanazawa, S., Yamaguchi, M. K., & Kakigi, R. (2019). A longitudinal study of infant view-invariant face processing during the first 3–8 months of life. Neuroimage, 186, 817-824.
- Herrera, M. M. (2014). Psicopatología y “teoría de las relaciones objetales”. Revista de Ciencias Sociales,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