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 있는 조직 내 이사진의 남녀 성비가 8:2인 이유는 무엇일까? 아이를 맡겨야 할 때 자연스럽게 할머니나 이모에게 연락하고, 과학 기술 분야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관한 답은 모두 유리 천장과 관련이 있다. 지금부터 유리 천장을 깨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성 편견은 특정 기술이나 능력이 한 성별에 내재해 있다고 느끼게끔 하는 치우친 생각이다. 이는 고정 관념에 근거한 생각이므로, 차별적이다.
성차별의 구체적인 예시 중 하나가 바로 유리 천장이다. 유리 천장이란 조직 내에 존재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유리 천장이란?
유리 천장은 직장 내 여성이 경험하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용어다. 즉, 승진, 고위직, 권력 등과 관련하여 고정 관념과 성 편견에 근거한 한계가 있는 것이다.
유리 천장은 엄청난 어려움을 동반하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다. 비즈니스뿐 아니라 집단 사회적 상상 속에서도 존재하지만, 문제를 인식하고 고치기가 쉽지 않다.
성 고정관념과 역할을 조장하는 편견은 다음과 같다.
- 여성은 남성보다 민감하고 감정적이므로, 구성원을 관리하고 이끄는 기술이 부족하다.
- 여성은 사업과 재정을 관리하는 법을 모른다.
- 여성은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것을 더 잘한다.
유리 천장을 볼 수 있는 상황
보이지 않는 장벽 또는 암묵적으로 행해지는 유리 천장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여성이 참석할 수 없는 활동이나 비공식적 회의에서 뉴스, 예산 배정, 지원, 프로젝트 참여가 결정되는 경우
- 정규직 업무와 집안일을 병행하기 어려운 경우. 예를 들어 육아 정책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일과 가족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그 외에도, 아이를 키우는 여성이 사무실에서 수유를 할 공간이 없거나 육아를 장려하는 업무 정책이 없을 수 있다.
- 동일 업무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경우
- 직장 내 괴롭힘도 여성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승진 또는 상사와의 가까운 관계를 의심하는 말과 생각, 재능을 깎아내리는 악의적인 헛소문 등에서도 볼 수 있다.
- 직업에 관한 설명이 남성과 일치하는 경우. 이렇게 되면 남성 후보가 여성 후보보다 더 적합해 보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표현의 자유가 중요한 이유
유리 천장을 깨는 것이 중요한 이유
유리 천장은 차별과 부당한 행동이며, 전 세계 많은 여성의 기회를 가로막는 동시에 잠재력과 발전을 방해한다.
또한 여성의 경제적 자율성과 생활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리 천장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 업무 환경에 성별 격차가 잠재해 있으면 제대로 된 직업 기회를 얻지 못하고 성장 가능성을 펼치지 못한다.
유리 천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여성이 특정 직업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하려고 한다. 기술 및 정보 분야 등에서 ‘여성 직원’을 찾지 않는다면 그 업무는 여성을 위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행동은 어린아이들에게도 그대로 전달된다. 만 6세부터 생각이 더 견고해지기 시작하며, 성인이 되고 나서 하는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꼭 봐야 할 다양성과 포용에 관한 영화 12편

최근 몇 년간 이미 많은 것을 성취했다
여성, 여성의 업적, 권리를 둘러싼 생각에 관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변화의 시대가 찾아오고 있는 것은 맞지만, 문제는 권리를 위해 싸워야 하는 이유에 있다. 왜 평등한 가능성이 아닌 평등한 권리일까? 노동 시장에 참여한 여성이 많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성장과 성취에는 한계가 있다.
여성이 지도자가 될 수 있고, 책임감 있는 일을 맡고, 높은 위치에 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 조직은 직원의 다양성을 증진해야 한다. 다양한 인재가 있는 조직은 창의성과 재능을 발견할 수 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Jiménez, R. G. P., & Fernández, C. J. (2016). La brecha de género en la educación tecnológica. Ensaio: Avaliação e Políticas Públicas em Educação, 24, 743-771.
- Roig, A. E., & Hurtado, M. J. R. (2007). La brecha digital: género y juegos de ordenador. REICE. Revista Iberoamericana sobre Calidad, Eficacia y Cambio en Educación, 5(1), 63-77.
- Piedra, J., García-Pérez, R., Fernández-García, E., & Rebollo, M. A. (2014). Brecha de género en educación física: actitudes del profesorado hacia la igualdad. Revista Internacional de Medicina y Ciencias de la Actividad Física y del Deporte/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Sport, 14(53), 1-21.
- Reina, M. D. C. M., & Cea, M. V. (2009). Actitud en niños y adultos sobre los estereotipos de género en juguetes infantiles. CIENCIA ergo-sum, Revista Científica Multidisciplinaria de Prospectiva, 16(2), 137-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