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한 번쯤 이명을 경험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에게만 멜로디가 들리는 것 같다면 MES증후군을 의심해 볼 법하다. 이명의 한 유형인 MES증후군(Musical ear syndrome)은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지금부터 MES증후군의 정의와 치료법에 관해 알아보자.
미국 이명협회(ATA)에 따르면, 미국 인구의 약 15%가 MES증후군을 앓고 있다. 보다시피, 그리 드문 증후군이 아니므로 자세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MES증후군이란?
MES증후군에 관해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가? 그렇다면 지금부터 이 증후군에 관해 함께 알아보자. <흔히 볼 수 있지만 진단되는 것은 드문 MES증후군>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보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MES증후군은 일종의 장애이지만, 정신 질환이 아니다. 이는 청각 질환으로, 사람들이 인식하는 음악과 멜로디에 관한 일종의 환각과도 같다. 앞서 언급한 논문에서는 이 질환이 찰스 보넷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다.
찰스 보넷 증후군은 시각적 환각을 경험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증후군은 원상회복이 어려운 근시 환자나 앞이 거의 안 보이는 사람에게 나타난다. MES증후군은 이와 유사하지만, 눈이 아닌 귀에만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보기: 이명의 정의 및 예방법
MES증후군은 멜로디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이명과 같은 감각으로 나타난다.
얼마나 흔한 질환일까?
앞서 언급했듯이, 미국 인구의 약 15%가 MES증후군을 경험한다. 그렇지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수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 수치는 걱정스러울 정도로 심상치 않다. 실제로 약 2천만 명의 미국인이 자주 이 증후군에 시달린다고 한다.
또한 일각에서는 약 2백만 명이 심각한 멜로디 이명을 경험한다고 주장한다. 매일 겪어야 하는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삶, 사회적 관계,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이명협회에서 제시한 다른 자료에 따르면, 이명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며 노인, 음악을 즐겨 듣는 사람, 음악가에게도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지만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나 군 복무를 한 사람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MES증후군의 원인
MES증후군은 갑자기 생기는 질환이 아니므로, 청각 과민증과 같은 다른 원인이 확인될 수 있다. 오랫동안 시끄러운 소리에 노출되면 MES증후군을 경험할 수 있다.
이 증후군이 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바로 청력 감퇴 때문이다. 찰스 보넷 증후군과 마찬가지로, 감각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기능 저하를 교정하기 위해 환각이 나타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논문에서 설명하듯이, 연구진들은 환청의 원인이 청각 피질의 과민 반응이라고 생각한다. MES증후군에서는 소리 환각이 윙윙거리거나 휘파람과 같은 소리가 아니라 멜로디나 노랫소리처럼 들리는 것이다.
MES증후군의 치료 방법
MES증후군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청력 감퇴에 대한 불안감으로 환각을 유발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도 그중 하나다. 요가, 명상, 필라테스, 신체 활동을 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보청기도 MES증후군으로 인한 환각을 줄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집에서 음악을 틀거나 TV를 켜 두면서 일부러 소음을 들으면 환청이 사라지고 실제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마지막 방법은 의사가 처방한 약을 먹는 것이다. 이는 환자가 좌절감을 느끼지 않고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다른 방법으로 전혀 효과를 보지 못할 때 선택해야 하는 최후의 수단이다.
더 읽어보기: 세계 인공와우의 날에 관해 알아야 할 모든 점
MES증후군은 이명의 한 유형으로, 가장 먼저 의사에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MES증후군은 환각이다
이명을 경험한 적은 있을지라도 소리 환각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는 잘 몰랐을 것이다. 다행히 오늘날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치료할 수 있다.
귀에서 멜로디가 들리는 현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 아니면 지인 중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는가? 그렇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kmak, Mirac Aysen, et al. “Frequently Seen But Rarely Diagnosed: Musical Ear Syndrome/Sik Görülen Ancak Nadir Konan Bir Tani: Müzikal Kulak Sendromu.” Noro-Psikyatri Arsivi 53.1 (2016): 91.
- Fabregat-Rossell, Alexandra, Laia Serra-Tomás, and Cristian Amézaga-Asensio. “Síndrome de Charles Bonnet; a propósito de un caso.” Gaceta Médica de Bilbao 117.3 (2020): 229-232.
- Bauer, Carol A. “Tinnitu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8.13 (2018): 12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