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수막염균 패혈증은 어떤 질병일까

수막염균 패혈증의 원인은 혈류와 여러 장기에 퍼지는 수막염균이다. 이는 괴저 및 다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혈전을 생성한다.

수막염균 패혈증은 심각한 질병이다

수막염균 패혈증은 응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이는 급속도로 진행되는 질병으로 동시에 신체 내 여러 장기 기능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막염균 패혈증의 원인은 수막구균 감염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연간 약 50만건의 새로운 감염이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실제로 수막염균 패혈증 환자의 20~50% 가 사망에 이른다.

수막구균성 질환

이 질환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수막염균으로 인해 발생한다.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내뿜는 비말을 통해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

이런 박테리아에 특히 민감한 사람들이 있는데, 과학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알려진 것은 비인두를 통한 미생물의 점진적인 침입이다. 더욱이, 감염과 증상 발현 사이의 간격은 더 적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0일 정도다.

그리고 나서 수막염균이 점막을 뚫고 혈류로 들어간다. 이런 질병의 가장 큰 징후는 뇌수막염이나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막인 뇌척수의 염증이다.

이 질병의 가능한 영향 중 하나는 사망률이 높은 심각한 질환인 수막염균 패혈증의 발병이다. 또한, 생존자들은 영구적인 후유증을 가질 수 있다.

수막염균 패혈증은 심각한 질병이다
수막염균 패혈증은 열과 두통과 같은 전형적인 뇌수막염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뇌척수막의 모든 것

수막염균 패혈증

이는 패혈증 쇼크의 일종이다. 후자는 조직과 장기가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받지 못하는 의학적 질환이다. 사망으로 이르는 점차적인 세포의 죽음 및 일반적인 신체 기능 실패로 이어진다.

그리고 혈액 내 수막염균이 증식한다. 증식이 지나치면 여러 장기나 사지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괴저를 일으킨다. 역설적으로 관리하기 힘든 과다출혈 또한 발생한다.

통계적으로 이 질병의 환자 네명 중 한 명은 사지를 절단해야 하게 된다. 또한, 패혈증은 흉터를 남기고 기형을 초래하는 피부 병변을 일으킨다. 이것들은 주로 수술이 필요하며 회복과정은 다소 더디다.

증상과 발현

수막염균 패혈증의 증상은 다양하다. 초기에는 미열이 있을 수 있지만, 많은 경우 다발성 장기손상과 더불어 수 시간 내에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

전형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발열, 오한,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 허약함의 증상을 첫 네 시간에서 여섯 시간 안에 보인다. 설사와 구토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 외에도 다음과 같은 패혈증의 일반적인 증상들이 있다.

  • 창백하고 얼룩진 피부
  • 가빠진 호흡
  • 떨리는 손발
  • 졸음과 혼란
  • 저혈압
  • 관절이나 팔다리의 통증
  • 작고 밝은 붉은 반점 형태의 발진이 마치 새로생긴 멍처럼 보이는 경우 (항상 생기는 것은 아니다)

진단과 치료

수막염균 패혈증은 뇌수막염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혈액검사, 비강 및 구강상피세포, 흉부 X선, 대변 검체 등을 통해 진단이 이뤄진다.

질병의 치료는 반드시 병원이나 의료시설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격리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접근방식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 항생제 투여는 조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눈에 보이는 감염원을 모두 빼내야 한다.
  • 극도의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혈관 공간을 채우고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비경구적 수화를 실시한다.
  • 심장근육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혈관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패혈증으로 인한 염증의 결과다.
  • 생명 유지 장치로는 산소 투여, 기관 삽관, 기계 환기 등이 있으며, 출혈이 있을 때 응고제 및 냉동 플라즈마가 있다.
수막염균 패혈증은 심각한 질병이다
수막염균 백신은 이러한 박테리아들이 전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더 읽어보기: 요로 패혈증의 원인 및 치료

수막염균 패혈증 예방

이것은 주로 수막염균 패혈증의 확산을 막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백신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다.

  • 폐렴구균 백신은 폐렴구균 수막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이 백신은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투여하며 종종 6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도 투여한다. 유사성으로 인한 교차반응과 뇌수막염 예방에 대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어쨌든 폐렴쌍구균에 완전히 효과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 결합형수막염균 백신은 수막염균 타입 C의 그룹에 대해 보호한다. 의사들은 그것을 아기들에게 적용하며, 25세 미만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백신이 모든 종류의 수막염균으로부터 보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이 문제와 가장 관련이 있는 박테리아의 확산을 크게 줄인다. 마지막으로, 다른 예방 지침은 아픈 사람들과의 접촉 제한, 잦은 손 씻기, 개인적인 사용을 위한 물건의 적절한 위생 관리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Wilhelm, J., & Villena, R. (2012). Historia y epidemiología del meningococo. Revista chilena de pediatría, 83(6), 533-539.
  • Solórzano-Santos, F., Ortiz-Ocampo, L. A., Miranda-Novales, M. G., Echániz-Avilés, G., Soto-Noguerón, A., & Guiscafré-Gallardo, H. (2005). Serotipos prevalentes de Streptococcus pneumoniae colonizadores de nasofaringe, en niños del Distrito Federal. salud pública de méxico, 47(4), 276-281.
  • Navalón, I. C., Herrejón, E. P., & Torralba, J. J. (2003). Sepsis meningogócica. Una enfermedad rara, grave y potencialmente letal. ¿Existe alguna alternativa al tratamiento? ¿ Cuál es el papel de la proteína C activada? Puesta al día en urgencias, emergencias y catástrofes, 4(1), 6-11.
  • Arnáiz-García, María Elena, et al. “Mutilating purpura fulminans in an adult with meningococcal sepsis.” Puerto Rico Health Sciences Journal 36.3 (2017): 179-182.
  • de Tena, J. García, et al. “Protocolo diagnóstico del rash cutáneo y fiebre en adultos.”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2.59 (2018): 3485-3491.
  • Vázquez, E. García, et al. “Infecciones por meningococo.”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1.58 (2014): 3407-3411.
  • Pedraz, J., and Eduardo López-Bran. “Protocolo diagnóstico de los exantemas cutáneos eritematopurpúricos.”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2.48 (2018): 2872-2876.
  • Cid, Jesús López Herce. “¿ Debe administrarse tratamiento antibiótico prehospitalario en la sospecha de sepsis meningocócica?.” Evidencias en pediatría 2.4 (2006): 1.
  • Klugman, Keith P. “Eficacia y efectividad de las vacunas antineumocócicas conjugadas.” Vacunas: Prevención de enfermedades, protección de la salud. Washington: OPS-OMS (2004): 114-8.
  • Artola, Beatriz Sánchez. “Tratamiento de las infecciones graves por Neisseria meningitidis (meningococo).” Revista Electrónica de Medicina Intensiva Artículo C11 (2004).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