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박 유산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임신 중 유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다. 유산은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오는 것을 말한다. 아래에서 절박 유산 관련 증상, 원인과 치료법 등을 공유하겠다.
절박 유산은 일반적으로 임신 20주 이전에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히 위협으로만 남아 정상적인 임신이 계속되지만 대개는 계류 유산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절박 유산 증상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박 유산이란?
절박 유산은 일종의 경고다. ‘Assisted Reproduction’ 기사에서 설명한 것처럼 유산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상태다.
유산은 비자발적으로 발생하며 불행히도 매우 흔한 현상이다.
역학 데이터에 따르면 모든 임신 1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대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나이와 같은 특정 요인이 유산의 위험을 증가할 수 있다. 여성이 나이가 들수록 유산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나 절박 유산이 경고가 아닌 유산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시급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절박 유산 관련 증상
더 읽어보기: 임신 후 첫 검진 시 주의 사항
절박 유산은 진찰이 필요한 주요 증상을 보이며 항상 유산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Stat Pearls’ 기사에서 설명했듯이 가장 흔한 증상은 질 출혈이다. 혈전이 있든 없든 다소 심한 출혈이 임신 20주 이전에 나타난다.
출혈은대부분 자궁 내부 혈종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혈종 때문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임신 20주 미만인 경우 위험이 크지만 그 이후에는 혈종이 유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또 다른 매우 흔한 징후는 통증이다. 주로 하복부에 나타나며 생리통과 유사하다. 많은 여성이 또한 허리가 콕콕 쑤시는 듯한 통증을 경험한다.
절박 유산의 경우 자궁 경부가 닫혀 있고 태아가 자궁 안에 아직 살아 있다. 임신 초기에 발생하므로 전형적인 임신 초기 증상과 혼동할 수도 있다.
절박 유산은 유산 외에도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출혈이 심하면 빈혈이 발생하고 임신부의 감염 위험도 커진다.
절박 유산 원인
자연 유산과 마찬가지로 절박 유산 역시 다양한 측면의 영향을 받는 다인성 문제다.
유산 자체는 임신부뿐만 아니라 태반이나 태아의 변화로 발생할 수 있다.
MSD 매뉴얼에 따르면 임신부의 자궁 또는 자궁 경부 이상이 포함된다.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질환은 자궁경부 기능 부전으로 자궁 경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임신 초기에 확장되는 경우다.
또한 용종, 반흔 조직 또는 자궁강의 근종 때문일 수도 있다. 당뇨병, 동맥 고혈압 또는 갑상샘 질환과 같은 만성 병리를 앓고 있는 산모는 유산 위험이 더 크다.
절박 유산 위험 요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임신부의 나이가 많을수록 유산의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자궁 내부 또는 근처에서 발생하는 모든 외상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 스트레스 또는 임신부에게 처방되는 특정 의학적 치료도 마찬가지다.
절박 유산 진단
더 읽어보기: 임신 중 유산을 일으키는 식물
주요 증상이 질 출혈이기 때문에 절박 유산은 일반적으로 진단이 쉬울 수 있다. 그러나 태아와 임신 상태를 확인하려면 일련의 보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다.
먼저 복부나 질 경유 초음파 검사를 할 수 있다.
이 검사는 심장 박동과 위치를 검사하여 태아가 여전히 안정적인지 확인한다. 유사하게 철저한 임부 건강과 질 검사가 수행된다.
대부분 혈액 검사로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수치를 측정한다. 임신 초기에 증가하는 물질로 혈중 수치가 높게 유지되면 임신이 계속되고 있다는 간접적인 신호다.
이 검사는 또한 빈혈이나 활동성 감염을 확인할 수 있다. 임신 초기 이후라면 태아 건강 검사를 추가할 수 있다.
치료 가능성
절박 낙태는 복잡한 상황으로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유산하지 않았다면 재발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조처를 한다. 우선, 균형 잡힌 식단과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한다. 소시지나 가공되지 않은 육류 식품은 리스테리아증 같은 특정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먹지 않는다.
또한 임신부는 휴식하고 성관계를 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금주와 금연도 필수다. 약물도 마찬가지이며 의사가 처방하지 않은 약은 아무 것도 복용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습관 유산을 경험한 여성에게는 유용할 수 있다.
건강한 임신을 위한 지침
절박 유산이나 자연 유산을 예방하려면 최적의 임신 조건을 조성한다. 그러나 유산 사례는 대부분 예방할 수 없다.
하지만 술, 카페인, 음료, 담배 등과 같은 위험 요소를 피하는 노력은 충분히 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임신 전에 건강을 잘 관리해야 한다. 당뇨병, 고혈압 또는 비만이 있는 여성은 임신 전에 이러한 상태를 해결하자.
산전 상담은 매우 중요하다. 일련의 검사가 수행되고 임신에 관한 다양한 조언이 제공된다.
절박 유산이 항상 임신 손실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심하라는 경고 신호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진찰받고 모든 권장 사항을 따라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rande, C. S., Sánchez, L. V., Expósito, M. V., & Villanueva, M. G. (2017). Síndrome antifosfolípido.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2(27), 1551-1559.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54121730029X
- Lopez-Hernandez, D. (2020). Factores epidemiológicos de riesgo asociados al aborto espontáneo. Revista Internacional de Salud Materno Fetal, 5(4). http://ojs.revistamaternofetal.com/index.php/RISMF/article/download/193/223?inline=1
- Mouri, M., Hall, H., & Rupp, T. J. (2021). Threatened abortion. In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30747/
- Şükür, Y. E., Göç, G., Köse, O., Açmaz, G., Özmen, B., Atabekoğlu, C. S., … & Söylemez, F. (2014). The effects of subchorionic hematoma on pregnancy outcome in patients with threatened abortion. Journal of the Turkish German Gynecological Association, 15(4), 23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285213/
- Wahabi, H., Fayed, A., Esmaeil, S., & Al Zeidan, R. (2011). Progestágenos para el tratamiento de la amenaza de aborto espontáneo.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https://www.cochranelibrary.com/cdsr/doi/10.1002/14651858.CD005943.pub4/es
- Xu, Q., Chen, J., Wei, Z., Brandon, T., Zava, D., Shi, Y. E., & Cao, Y. (2017). Sex hormone metabolism and threatened abortion.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23, 504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65605/
- Zhou, J., Huang, Z., Pan, X., Leung, W. T., Li, C., Chen, L., … & Wang, L. (2019). New thoughts in exploring the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reatened abortion. BioScience Trends, 13(3), 284-285. https://www.jstage.jst.go.jp/article/bst/13/3/13_2019.01155/_article/-char/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