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유형과 특징

공리주의는 다수의 행복에 따라 선하고 악한 행동을 나누는 윤리적 사상이다. 다음에서 공리주의 유형과 적용법을 알아보자.

공리주의 유형

18세기 말, 제러미 벤담에 의해 시작된 공리주의는 1863년에 존 스튜어트 밀이 발전시킨 윤리적 교리다. 이 철학적 입장에 따르면 최선의 행동은 최대 다수에게 행복과 복지를 보장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공리주의 유형과 특징을 이야기하겠다.

이러한 관점은 비용과 이점을 고려할 때 비즈니스와 금융 영역에서 매우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철학을 삶의 다른 측면에 어떻게 적용할까?

공리주의 정의

공리주의는 유용성을 도덕적 가치로 확립하는 윤리적 입장이다. 이런 의미에서 유용한 인간 행동은 모두 도덕적으로 좋은 것이다.

그러나 이 맥락에서 공리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벤담에 따르면 행복을 만드는 것은 도덕적으로 선하고 올바른 행위는 행복을 낳는 행위다.

이러한 추론에 따라 공리주의는 가장 윤리적인 행동이 항상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동이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행복은 그 자체로 유일한 선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이 사상과 쾌락주의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이제 행동의 도덕성을 어떻게 결정할까? 이 입장에 따르면 본질적으로 좋은 행동이나 나쁜 행동은 없다. 대신에, 최대 다수에게 행복을 보장할 수 있다면 좋은 것으로 간주한다.

인간의 모든 행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고 상식에 어긋날지라도 사회 복지 격률을 충족한다면 옳은 것이다. 결과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이 원칙을 결과론 일부로 만든다.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행복
이 윤리 이론은 18세기 말에 제러미 벤담이 만든 것이다.

더 읽어보기: 아테토시스는 무엇일까

공리주의 유형

공리주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대개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1. 공리주의를 행동하고 지배하라

행위 공리주의는 전통적인 형태로 지금까지 발전시켜오고 있다.

도덕적으로 좋은 행동이 최대의 효용을 보장하는 행동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욕구, 성향, 규범, 보상, 처벌 및 제도도 포함된다.

2. 소극적 공리주의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고통이나 피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 윤리적 입장은 가장 많은 존재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공식은 아니라고 인정한다. 이익보다 해를 끼칠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소극적 공리주의자들은 고통을 피하는 것이 최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단언한다. 게다가 행복의 부재가 고통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반출산주의를 인용할 수 있다. 이 입장은 인간의 번식이 대개 행복과 즐거움을 가져다주지만 대다수에게 더 큰 고통을 수반한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이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재생산을 계속하지 않는 것이다.

3. 선호 공리주의

선호 공리주의자는 선호 만족 관점에서 효용을 정의한다. 선호 공리주의에서 가장 올바른 일은 최상의 결과를 보장하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사랑과 두뇌 : 사랑에 빠지면 두뇌는 어떻게 반응할까?

4. 이상적인 공리주의

아름다움, 우정, 쾌락을 인식하고 행동으로 극대화해야 할 측면임을 전제한다.

공리주의는 삶의 철학으로 적용될 수 있을까?

물론 할 수 있다. 이 윤리적 모델의 적용이 생성하는 행복과 만족의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 궁극적인 목표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것이며 이를 달성할 방법은 많다.

모든 철학적 입장과 마찬가지로 공리주의에는 추종자와 철회자가 있다. 어떤 이론도 완벽하지 않으며 모두 장단점이 있다.

이상적인 방법은 공리주의에 관해 최대한 많이 알고 가능한 결함을 보완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올바른 판단력을 흐리게 하는 교리에 빠지는 일도 피할 수 있다.

공리주의 자유
자유는 행복과 함께 공리주의에서 우세한 역할을 한다.

타인의 행복을 어떻게 고려할까?

공리주의는 타인의 행복을 생각하고 보장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행복에 대한 개념이 다를 때 이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이 딜레마에 관해 공리주의자들이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답은 각자의 행복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복과 자유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경우 유용한 것들은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otto S. Hedonismo contemporáneo. Revista dig de la Escuela de la Orientacion Lacaniana [Internet]. 2008; 17: 2-4. Disponible en: http://www.revistavirtualia.com/storage/articulos/pdf/eGOsEDwIcKLxzLUHiBrCfRW5QxEdCNivNP2qm8lc.pdf
  • Cejudo Córdoba, Rafael. Deontología y consecuencialismo: un enfoque informacional. Crítica (México, D.F.) [Internet]. 2010; 42(126): 3-24. Disponible en: https://doi.org/10.22201/iifs.18704905e.2010.862
  • Steiner M, Vives J. Dimensión demográfica del sufrimiento: reflexiones éticas sobre antinatalismo en el contexto del futuro sostenible. Dilemata  [Internet]. 2013; 13: 171-187. Disponible en: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4494975
  • Valcarce A. El utilitarismo y la teoría moral de Adam Smith. Revista empresa y humanismo [Internet]. 2010;  13(1): 269-296. Disponible en: https://dadun.unav.edu/handle/10171/29099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