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녹내장의 유형 및 특징

녹내장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모두 시각 장애를 가져온다.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녹내장

이 글에서 녹내장의 주요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녹내장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눈 질병이다. 대부분 높은 안압과 관련이 있지만, 정상적인 안압과 관련된 종류도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종류의 녹내장은 만성에 퇴행성이다. 즉, 치료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나빠지며, 끝내 시신경 손상을 가져온다. 이 과정의 최악의 경우는 상을 맺고 그 정보를 뇌로 보내는 체계의 손상으로 인한 실명이다.

녹내장의 진단

녹내장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초기 진단이 어려운 것이 문제점 중 하나다. 수년에 걸쳐 전혀 모르는 사이에 안압이 증가할 수 있다.

녹내장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안구 내의 압력을 측정해야 한다. 이 과정은 안과 전문의가 전문 장비를 이용해 시행한다. 증상이 있을 때 측정을 하지만, 아직 증상은 없지만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환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녹내장의 위험 요소

녹내장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환자군이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경우 초기 증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성년 중 안압 측정을 해야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발병 위험이 나이와 함께 증가한다는 것이다. 만 40세 이상의 성인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병 확률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가족 병력 또한 하나의 지표다. 부모 중 한명이 녹내장을 앓았다면, 자녀 중 한명이 녹내장을 앓을 확률이 크다. 어린 시절에 발병하지는 않지만 성인이 된 후 발병할 수 있다.

다른 안질환과의 연관성 또한 중요하다. 근시는 녹내장의 위험요소 중 하나다. 연구원들은 근시 환자의 안압 증가 위험이 두 배라고 추정한다.

녹내장
녹내장 발병 위험은 나이와 가족 병력에 따라 증가한다.

더 읽어보기: 눈을 더 건강하게 보호하는 방법

가장 흔한 유형의 녹내장

국립안연구소에 따르면 4가지 유형의 녹내장이 흔하게 나타난다. 이 유형들은 눈물이 배수가 막히는 방법 및 시기에 따라 나뉜다.

개방각 녹내장

이 유형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녹내장이다. 눈물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은 구멍이 막히면서 생긴다. 눈물이 배출되지 않고 쌓이면서 안압이 증가한다.

진행과정은 매우 느리며, 만성 및 퇴행성이다. 환자들은 대개 어느정도 손상을 입은 후 늦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소리없이 찾아오는 실명으로 불린다.

치료법은 약물요법과 수술이 있다. 여러가지 수술법이 있는데 상황에 맞춰 안과전문의가 그중 선택한다.

폐쇄각 녹내장

폐쇄각 녹내장은 개방각 녹내장보다는 덜 흔한 유형이다. 게다가 앞선 유형보다 증상이 급성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폐쇄각이라는 명칭은 안과전문의가 측정하는 홍채와 각막 사이에 생기는 각도에 따른 것이다. 이 경우, 이 수치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작으며, 정확하게는 눈물의 자연적인 배출을 막는 이 해부학적 변화를 말한다.

이 병은 신속하게 치료해야한다. 개방각 녹내장보다 지체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는다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정상안압 녹내장

이 유형의 녹내장이 가장 희귀하다. 안과의가 환자의 안압을 측정하면 정상으로 나오거나 심지어 낮게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유형과 같이 시신경의 손상과 악화는 이미 진행중이다. 이 유형의 녹내장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으며, 치료방법 또한 어렵다.

안과의사
안압 측정은 녹내장 진단 방법이다.

더 읽어보기: 녹내장을 자연적으로 예방하는 방법

선천성 녹내장

선천성 유형의 이 병은 신생아가 홍채와 각막의 각도에 이상이 생긴채로 태어나는 경우로, 안구 내의 눈물 배출구의 정상적인 성장을 막는다. 그러므로, 인생의 시작부터 눈의 안압이 증가한다.

해결책은 어린 나이에 빠르게 수술을 받는 것이다. 그리하여 더 심각한 추후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

녹내장은 심각한 병이다

유형은 다양하지만, 어떤 유형의 녹내장이든 심각한 병이다. 시력 저하의 증상이 있다면 즉시 안과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전문의는 안압을 측정하고 망막의 활력 및 시신경 검사 과정을 시행한다. 변화를 감지한다면 약물 치료 및 경우에 따라 교정 수술을 제안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nderson RL, de Los Angeles Ramos Cadena M, Schuman JS. Glaucoma Diagnosis: from the Artisanal to the Defined. Ophthalmol Glaucoma. 2018;1(1):3-14. doi:10.1016/j.ogla.2018.06.002
  • Gálvez-Rosas, Arturo, et al. “Asociación de los factores de riesgo con glaucoma primario de ángulo abierto en mayores de 40 años.” Gaceta Médica de México 154.1 (2018): 42-46.
  • Rey-Rodríguez, Diana V., Cristina Álvarez-Peregrina, and José Moreno-Montoya. “Prevalencia y factores asociados a miopía en jóvenes.” Revista Mexicana de Oftalmología 91.5 (2017): 223-228.
  • Weinreb, Robert N., et al. “Primary open-angle glaucoma.”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2.1 (2016): 1-19.
  • Wiggs, Janey L., and Louis R. Pasquale. “Genetics of glaucoma.” Human molecular genetics 26.R1 (2017): R21-R27.
  • Trivli A, Koliarakis I, Terzidou C, et al. Normal-tension glaucoma: Pathogenesis and genetics. Exp Ther Med. 2019;17(1):563-574. doi:10.3892/etm.2018.7011
  • McMonnies, Charles W. “Glaucoma history and risk factors.” Journal of optometry 10.2 (2017): 71-78.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