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가장 흔한 성대 질환 3가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성대는 말 소리가 나올 수 있도록 진동이 발생하는 곳이다. 몇몇 성대 질환은 흔하지만 흔하지 않은 질환도 있지만 이러한 질환은 모두 소리에 영향을 준다.
성대는 후두에 있으며 후두의 윗부분에 붙어있는 작은 근육이다. 그 위에 근육이 아닌 “가성대”라고 불리는 주름이 있다.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말을 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
가장 흔한 성대 질환
가장 흔한 성대 질환은 한 손으로 꼽을 수 있다. 그것은 사람들이 겪는 주요 음성장애이다. 이러한 질환의 발생에는 보통 위험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사들은 직업상 긴장된 목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반면 추운 날씨에 밖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발성장애가 생기기 쉽다.
일부 질환은 전염성 원인이 있는 반면 그 외에는 과도한 사용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성대 사이의 마찰로 인해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 경우이다. 때때로 증상이 막 발현하기 시작할 때에는, 처음에 질병을 진단하기 매우 어렵다.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대 질환 3가지는 아래와 같다.
- 결절
- 후두염
- 폴립
각각을 자세히 살펴보자.
성대 질환은 전염성 원인이나 과로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인후염을 완화하는 요법 4가지
1. 성대 결절
성대 결절은 성대에 발생하는 거대한 양성 결절이다. 성대 결절은 끝에 있으며 공기가 통과해야 하는 공간을 닫는다. 이것이 목소리에 영향을 주는 이유이다.
대부분의 경우, 초기 신호는 목소리의 톤이 변하는 것이다. 환자들은 보통 그들이 예전처럼, 혹은 부상 전에 했던 것과 같은 강도와 톤으로 말할 수 없음을 알아차릴 것이다.
성대 결절의 주된 원인은 목소리 남용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들은 이 질환을 오랜 기간 동안 목소리를 사용하는 교사나 가수의 전형적인 직업병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도 이 질환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 특정 위험 요인은 이 질환의 출현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흡연자들은 니코틴이 성대에 자극제로 작용하므로 결절이 생길 확률이 더 높다. 이와 비슷하게, 위식도 역류도 후두의 같은 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는 질환이다. 위장의 산이 기도를 지나며 그 곳에 있는 점막을 침식시킨다.
다행히도 이러한 결정은 항상 양성이다. 이는 후두암과 같은 악성 질환으로 발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초기에 소염제와 음성 재교육을 통한 보수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 언어 치료사가 일반적으로 이 치료를 수행한다.
결절이 꽤 크고 보수적 접근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개선 가능성이 너무 적은 듯이 보일 경우 의사는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 수술 후 환자는 재활이 필요하다.
더 읽어보기: 제대로 목을 관리하는 방법
2. 후두염
다양한 원인에 의한 후두 염증을 후두염이라고 한다. 이 용어는 기관의 구조 전체에 염증액이 축적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항상 성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 흔한 증상은 발성장애로, 목소리가 쉬거나 완전히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완전히 소리가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무성증이라고 부른다. 인두염보다 훨씬 오래 계속되며 총 3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목소리 변화와 함께, 후두 분비선 결함에 의한 건조함, 자극적인 기침이 발생한다. 윤활이 부족하므로 신체는 미생물 또는 비활성 이물질인 염증성 물질 배출을 위해 필요한 점액을 생성하지 않는다.
원인은 거의 항상 전염성이 있으며 바이러스가 보통 범인이다. 겨울은 대부분의 상부 호흡기 질환에 취약한 계절이다.
바이러스 감염이기 때문에 세균 중복 감염이 없는 한, 또는 이러한 약물에 민감한 미생물이 원인인 경우 의사 항생제를 권장하지 않는다. 치료는 단순히 증상이 나타나면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의사들은 목을 쉬게 하고 후두 조직 내부에 축적된 염증을 줄이기 위해 소염제를 복용하며 점액을 좀 더 유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분무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의사들은 그 원인이 박테리아라고 의심하지 않는 한 배양 샘플을 채취하지 않을 것이다.
후두염은 성대의 건강을 가장 손상시키는 질환 중 하나이다. 종종 바이러스가 원인이 된다.
더 읽어보기: 성대가 붓는 원인 및 치료
3. 성대 폴립
마지막으로 폴립이 있다. 이는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지만 결절과 매우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성대에서 돌출되어서 공기가 통과해야 하는 곳을 막는다.
성대에 발생하는 흔한 질병으로 환자가 음성 문제를 겪을 때 진단할 수 있다. 목소리가 나오지 않거나 변하는 것은 진단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특별한 신호이다.
목소리 남용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이 질병이 “퇴행성 폴립증”이란 이름으로 통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성대의 조직이 해당 경계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과정이 성대 조직의 변화임을 보여준다.
전문가는 신체검사 이상으로 폴립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보완적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후두경 검사법으로 코에 삽입하는 유연한 장치를 사용한다. 아주 작은 빛과 카메라 덕분에 전문가는 성대의 현재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대처 방법
성대 결절이나 폴립이 의심되는 경우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 전문가는 이 질병에 필요한 보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지식을 갖추고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발성장애가 있는 겨울 후두염의 경우, 일반의가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자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항상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Fernández, Luis Castejón. “Prevención de disfonías funcionales en el profesorado universitario: tres niveles de acción preventiva.” Aula abierta 42.1 (2014): 9-14.
- Montaner, A. Escribano. “Disfunción de las cuerdas vocales.” ANALES ESPAÑOLES DE PEDIATRÍA 56.SUPLEMENTO 2 (2002): 59.
- Moreno, María del Prado Palomino, et al. “Disfonías y nódulos de las cuerdas vocales en personal docente de Navarra.” Archivos de prevención de riesgos laborales 16.4 (2013): 182-186.
- Halawa, Wasim Elhendi, Antonio Rodríguez Fernández-Freire, and Sofía Santos Pérez. “Estudio epidemiológico de los pacientes con nódulos vocales.” Revista de Logopedia, Foniatría y Audiología 32.4 (2012): 164-170.
- Blecuaa, M. Callén, C. Pardos Martínezb, and M. Praena Crespoc. “Patología respiratoria prevalente: rinitis alérgica, bronquiolitis, sinusitis, laringitis.” Revista Pediatría de Atención Primaria 9.Suplemento 2 (2007).
- Aubry, K., A. El Sanharawi, and A. Pommier. “Laringitis agudas del adulto.” EMC-Otorrinolaringología 46.1 (2017): 1-9.
- Saavedra-Mendoza, Ana Graciela M., and Matsuharu Akaki-Caballero. “Guía de práctica clínica de disfonía basada en evidencia.” Anales de Otorrinolaringología Mexicana. Vol. 59. No. 3. 2014.
- Moncayo Fernández, Carla Valeria, and Irvin Santiago Parrales Herrera. “Determinación de las causas más comunes de disfonía crónica halladas mediante laringoscopia directa en pacientes adultos sin signos o síntomas de infección de la vía respiratoria en el Área de Otorrinolaringología del Hospital Teodoro Maldonado Carbo durante en año 2015.” (2016).
- Ranchal Sánchez, Antonio, and Manuel Vaquero Abellán. “Protocolo para la vigilancia de la salud del profesorado con atención a la enfermedad profesional.” Medicina y Seguridad del Trabajo 54.211 (2008): 47-60.
- Borobia Pérez, Ana I. Factores predictivos de enfermedad profesional (nódulos en las cuerdas vocales) en profesores de enseñanza primaria y secundaria. Diss.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