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에 나타나는 문제는 우리가 평소에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지금까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스란히 보여 준다. 하지만 그런 얼굴 피부 트러블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가장 흔한 얼굴 피부 트러블을 알아보고, 피부의 아름다움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소개한다.
가장 흔한 얼굴 피부 트러블과 치료 방법
1. 여드름
여드름은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로 여드름이 생기면 어떻게 해서든지 없애려고 한다.
그래도 여드름은 자연 요법으로 없앨 수 있어 다행이다. 사춘기로 인해 여드름이 난 경우에도 없앨 수 있다. 다음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참고해보자.
필요한 재료
- 귀리 가루 1/2컵 (45 g)
- 꿀 1큰술 (25 g)
- 레몬즙 1큰술 (15 ml)
활용 방법
- 모든 재료를 통에 넣고 잘 섞는다.
- 잘 섞은 후 얼굴, 특히 여드름이 많이 난 부위에 신경써서 바른다.
- 얼굴에 바른 팩이 마를 때까지, 30분 정도 기다린다.
- 물로 깨끗하게 헹군다. 일주일에 두 번 반복하면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2. 주근깨
주근깨는 색깔이 좀 밝을 수도 있고 어두울 수도 있으며 주근깨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더 읽어보기: 주근깨 제거를 위한 가정 요법
주근깨가 생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햇볕이다. 주근깨의 모양과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든 주근깨가 있으면 좀 지저분해 보일 수 있다.
다음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따라하며 UVA 보호 기능이 있는 선크림을 바르는 게 중요하다. 선크림을 잘 챙겨 발라야 주근깨가 더 생기지 않고, 더 심해지지 않는다.
필요한 재료
- 요거트 1/2컵 (100 g)
- 레몬즙 1큰술 (15 ml)
- 달걀 1개
활용 방법
- 그릇에 모든 재료를 넣고 잘 섞는다.
- 브러시를 사용해 요거트, 레몬즙, 달걀 섞은 것을 피부에 바른다. 주근깨가 있는 부위는 특히 신경써서 바른다.
- 미백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20분 정도 그대로 있는다. 물로 헹군다.
- 이 팩을 하고 햇볕을 받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낮에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잠자기 직전에 사용하는 게 가장 좋다.
3. 기미
기미도 흔한 피부 문제 중 하나로 피부 색이 변한 현상이다. 임신 했을 때 기미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호르몬, 에스트로겐 및 햇볕이 기미가 생기는 원인이다.
더 읽어보기: 기미를 줄이는 3가지 요법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인 호르몬 변화로 인해 기미가 생기며 출산 후에는 보통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출산 후에도 없어지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할까?
필요한 재료
- 분유 2큰술 (30 g)
- 레몬즙 2큰술 (30 ml)
- 꿀 4큰술 (100 g)
- 천연 요거트 1개
활용 방법
- 분유와 레몬즙, 꿀을 잘 섞는다. 거품이 생길 때까지 잘 섞는다.
- 세수한 후, 이것을 바른다. 기미가 있는 부위에 특히 신경써서 바른다.
- 20분 동안 기다린 후 따뜻한 물로 헹군다.
- 그 후, 브러시를 사용해 얼굴 전체에 요거트를 바른다.
- 15분 기다렸다 헹군다. 요거트를 바르기 전과 후는 꽤 차이가 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4. 흉터
상처가 생겼거나 수술을 받아서 피부에 흉터가 남았을 수 있다. 흉터가 있으면 당연히 보기 싫다.
흉터가 남으면 흉터를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켈로이드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고, 효과적으로 흉터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필요한 재료
- 꿀 1컵 (335 g)
- 귀리 1/2컵 (45 g)
- 알로에 4큰술 (60 g)
활용 방법
- 모든 재료를 잘 섞어 크림처럼 만든다.
- 샤워를 한 후 이 크림을 얼굴에 바르고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샤워를 할 때마다 반복한다.
- 2시간 정도 있다 헹군다. 매일 반복하면 효과가 빨리 나타날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oradi Tuchayi, S., Makrantonaki, E., Ganceviciene, R., Dessinioti, C., Feldman, S. R., & Zouboulis, C. C. (2015). Acne vulgaris.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https://doi.org/10.1038/nrdp.2015.29
- Gupta, A. K., Gover, M. D., Nouri, K., & Taylor, S. (2006). The treatment of melasma: A review of clinical trial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https://doi.org/10.1016/j.jaad.2006.02.009
- Fabbrocini, G., Annunziata, M. C., D’Arco, V., De Vita, V., Lodi, G., Mauriello, M. C., … Monfrecola, G. (2010). Acne scars: Pathogenesis,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Dermatology Research and Practice. https://doi.org/10.1155/2010/893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