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은 질 분비물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아니면 말하기 창피해하지만, 사실 질 분비물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냄새, 색깔, 양에 따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 분비물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질에 존재하는 일부 땀샘에 의한 일련의 분비물이다. 이 액체는 질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많은 기능을 충족하므로, 분비물이 생기는 건 절대적으로 정상이며 우리 몸에 꼭 필요하다.
그 기능 중 하나는 질이 자신을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죽은 세포와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 생식 기관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훌륭한 지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흐름의 모든 변화는 질병을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질 분비물의 여러 가지 유형과 각각이 의미하는 바에 관해 설명해 보려고 한다.
질 분비물이 나타나는 이유

우선, 여러 가지 유형의 질 분비물에 관해 언급하기 전에 먼저 생리 주기에 따라 분비물이 생리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즉, 사이클이 바뀔 때마다 다른 질 분비물이 나타날 수 있지만, 완전히 정상이다.
분비물은 여성 호르몬에 따라 달라지며 여러 주기 동안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배란이 다가오면 바로 질 분비물이 증가하고 두꺼워진다. 이는 생식 기능 때문이며 여성이 수정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여성이 성적으로 흥분될 때 질 분비물이 증가한다. 이 분비물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유백색이다. 그러나 물기가 많고 투명하며 양이 많을 수도 있다.
또한, 이 모든 유형의 질 분비물에는 특유한 냄새가 있음으로 여성들은 이에 관해 난처해할 필요가 없다. 사실, 모든 여성은 감염이나 질병이 분비물을 바꿀 수 있음으로, 어떤 냄새가 정상인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더 읽어보기: 과도한 질 분비물을 해결하는 2가지 자연 치유법
질 분비물의 여러 가지 유형
질 분비물의 유형은 색깔, 냄새, 농도 및 양과 같은 특성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감염 또는 질병은 어떤 방식으로든 이러한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질 분비물의 유형을 구별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색깔이다. 그러나 냄새, 농도 및 양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다. 감염 또는 질병은 이러한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앞에서 언급했듯이 분비물은 흰색일 수 있는데, 정상이다. 그러나 더 칙칙하고 양도 많다면 나쁜 징조가 될 수 있다. 또 분비물이 하얗지만, 가려움증이나 타는 듯한 느낌이 있다면 칸디다증 때문일 수 있다.
칸디다증은 효모 칸디다에 의해 발생하는 여성에게 매우 흔한 감염이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이는 가장 흔한 질 장애 중 하나라고 한다. 이는 무엇보다 질의 pH 변화와 큰 관련이 있다.
그리고 이 분비물은 황색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강한 냄새와 가려움증, 타는 듯한 느낌과 같은 다른 불편한 증상이 동반된다. 이는 성병이든 아니든에 관계없이, 어떤 감염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는 신호다. 가장 흔한 것으로는 질 트리코모나스증, 클라미디아 및 임질을 들 수 있다.
혈액의 흔적으로 인해 질 분비물은 심지어 갈색일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분비물은 종종 생리 직전 또는 직후에 나타난다. 아니면 성관계로 인한 작은 상처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분비물의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면 암과 같은 더 심각한 질병을 나타내는 신호일지도 모른다. 또 질에 이물질이 있으면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질 분비물을 조절하는 5가지 민간 요법
결론
이 분비물은 그 자체가 생리적으로 변하게 되어 있음으로 수많은 유형의 질 분비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색깔이나 양의 변화가 질병을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모든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게 중요하다.
더욱이 냄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감염이 변하기 쉬운 매개 변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궁금한 사항이 있거나 질 분비물에 변화가 있다면 산부인과 의사를 찾아가 아무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게 좋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mrin, S. S., & Lakshmi, G. J. (2021). Vaginal discharge: The diagnostic enigma. Indian Journal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AIDS, 42(1), 38–4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579582/
- Hillier, S. L., Austin, M., Macio, I., Meyn, L. A., Badway, D., & Beigi, R. (2021).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ginal Discharge Syndromes in Community Practice Setting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72(9), 1538–154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248297/
- Majigo, M. V., Kashindye, P., Mtulo, Z., & Joachim, A. (2021). Bacterial vaginosis, the leading cause of genital discharge among women presenting with vaginal infection in Dar es Salaam, Tanzania. African Health Sciences, 21(2), 531–53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568229/
- Mayo Clinic. (29 de junio de 2023). Flujo Vaginal. https://www.mayoclinic.org/es/symptoms/vaginal-discharge/basics/definition/sym-20050825
- Rao, V., Mahmood, T. (2019). Vaginal discharge. Gynaecology and Reproductive Medicine, 30(1), 11-18. https://www.obstetrics-gynaecology-journal.com/article/S1751-7214(19)30206-4/fulltext
- Sánchez, J. A., González, L., Rojas, K., & Muñoz, G. (2017). Prevalencia de Candida albicans y su relación con cambios en el pH vaginal. Atención Familiar, 24(1), 18–22. http://www.revistas.unam.mx/index.php/atencion_familiar/article/view/58242
- Sim, M., Logan, S., & Goh, L. H. (2020). Vaginal discharge: evaluation and management in primary care. Singapore Medical Journal, 61(6), 297–30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905126/
- Sivaranjini, R., Jaisankar, T., Thappa, D. M., Kumari, R., Chandrasekhar, L., Malathi, M., Parija, S., & Habeebullah, S. (2013). Spectrum of vaginal discharge in a tertiary care setting. Tropical Parasitology, 3(2), 135–139. https://pubmed.ncbi.nlm.nih.gov/24470998/
- Venugopal, S., Gopalan, K., Devi, A., & Kavitha, A. (2017). Epidemiology and clinico-investigative study of organisms causing vaginal discharge. Indian Journal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AIDS, 38(1), 69–7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389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