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

연인 사이의 미묘한 언어 폭력

언어 폭력은 신체적 학대만큼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자신감을 조금씩 갉아먹을 수 있다.

언어 폭력

연인 사이의 폭력은 아주 미묘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는 언어 폭력도 포함된다. 우리가 심각하게 여기지 않지만 사실 굉장히 중요한 말들이다.

숨겨진 모욕, 비하, 조롱이 그 예이다.

이 글도 읽어보자 : 감정적 학대의 5가지 유형

이 글에서는 미묘한 언어 폭력 사례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언어 폭력을 인지하는데 도움될 것이다. 이런 것들도 언어 폭력이라는 것을 알고나면 정상적인 것이라고, 연인의 성격이라고 여기지 않게 될 것이다. 누구로부터든, 이런 언어 폭력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연인 사이의 미묘한 언어 폭력

연인 사이의 미묘한 언어 폭력

아마도 연인 사이에서 당신이 보고 싶어하지 않는 언어 폭력의 유형이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 항상 그래왔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언어 폭력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상대방을 깎아내리면서 놀리는 것: “너는 시골에서 온 거 티나”처럼 사소한 말로 이런 폭력을 가리게 될 수도 있다.
  • 타인의 특징에 주의를 끄는 것: “와, 몸매 진짜 좋다, 내가 좋아하는 몸매야.”
  • 중요하지 않은 것이라도 여러 가지에 대해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 “거기에 열쇠 안 놨어.”

이 글도 읽어보자 : 가족으로 인한 상처와 치유

우리에게 행해지지만 미처 이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언어 폭력도 있다. 우리가 가장 처음 경험한 사회,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언어 폭력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깨닫기 위해서 우리 감정이 어떤지에 집중해보면 된다. 기분이 괜찮은가? 자존감이 짓밟히는 것이 느껴지는가?

정서적 협박

연인 사이의 미묘한 언어 폭력

정서적 협박은 타인을 조종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언어 폭력의 일종이다. 목표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혹은 단순히 관계에서 타인을 조종하는 것으로 인한 일종의 만족감을 느끼기 위함이다. 아주 미묘한 말을 사용함으로써 이것은 상대방이 죄책감을 느끼게 만들고자 한다.

보다시피 관계에서 정서적 협박이 이루어질 경우, 사랑은 없다. 조종만 있는 것이다. 상대방을 통제하고 이용하려는 것이다.

정서적 협박의 범위 안에는 정신적 능력에 대한 의심을 하게 만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스라이팅”으로 알려진 기술도 포함된다.

“난 그런 말 한 적 없어” 혹은 “넌 미쳤어, 난 절대 안 그래”와 같은 말을 통해, 조종을 하는 사람은 연인을 불안하게 만들고 상황에 대해 의심을 하게 만든다.

이 글도 읽어보자 : 연인이 나를 사랑하는가, 이용하는가?

왜 그럴까?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통제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사실 가끔은 이런 상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대한 말을 했을 때 연인이 화를 낼 경우, 조종을 하는 사람은 그 목소리를 빼앗아 갈 수 있다.

연인을 완전히 무시하는 장기적인 침묵도 일종의 폭력이다. 이 경우 목표는 상대방이 굽실거리게 만들거나 혹은 화해를 위한 행동을 먼저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모든 것은 한 가지 말로 요약할 수 있다. 굴욕이 그것이다.

언어 폭력 멈추기

연인 사이의 미묘한 언어 폭력

나쁘지 않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더라도, 이런 역학은 멈춰야 한다. 전반적으로, 이런 상황을 벗어나고자 하는 결정은 자신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기분이 나쁘거나, 죄책감을 느끼거나, 우울할 경우, 여기에서 벗어나야 한다. “하지만”은 없다. 관계에서 언어 폭력을 사용하는 사람은 건강하지 않다.

이 글도 읽어보자 : 연인 관계가 위기에 처하는 4가지 이유

상대방이 당신을 사랑한다고 얼마나 많이 말을 하든, 자신이 잘못했다고 얼마나 많이 사과를 하든, 그들이 원하는 것은 관계에서 이런 상황까지 오게 만들었던 행동을 계속 할 기회를 새롭게 얻기 위함이다.

여기에 속지 말자. 달라질 가능성은 없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jorkqvist, K. (1994). Sex differences in physical verbal and indirect agressio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Sex Roles. https://doi.org/doi:10.1007/BF01420988
  • Demianova, Y. (2014). Verbal agression in the pedagogical medium. Recent Issues of Pedagogy, Psychology and Vocational Education. https://doi.org/10.5281/ZENODO.11382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