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을 공격할 수 있는 질병에 관하여 아는 것만큼 중요한 일은 없을 것이다. 오늘은 성홍열에 관하여 알아본다. 성홍열은 주로 5세에서 12세 아이들이 걸리는 질병이다. 그러나 성인 역시 걸릴 수 있다. A군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으로, 해당 박테리아는 A군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붉은 발진을 유발해서 성홍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성홍열은 주로 5세에서 12세 아이들이 걸리는 질병이다. 그러나 성인 역시 걸릴 수 있다. A군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으로, 해당 박테리아는 A군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붉은 발진을 유발해서 성홍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성홍열의 원인
주요 전염 경로는 직접 접촉이다.
- 감염된 아이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한다거나 심지어는 말할 때 나오는 침이 건강한 아이에게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되니 환자와 같은 그릇으로 음식을 먹어서 전염될 수도 있다.
- 피부에 생긴 궤양과 접촉하는 것도 전염의 또 다른 경로이다.
성홍열이 아이들에게 무척 심각한 질병인 적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제때 치료한다면 쉽게 치료된다.
더 읽어보기: 혀가 건강에 대해서 알려주는 9가지
그런데 성홍열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성홍열의 증상
성홍열에 걸리는 순간부터 초기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은 매우 짧다. 보통 증상은 하루나 이틀 안에 나타난다.
- 고열에 시달리며 목이 아프다.
- 이어서 박테리아에 의해 생겨난 독소가 목과 흉붸 붉은 발진을 유발한다. 일주일이면 온몸으로 퍼져나가며 궤양을 형성한다.
- 겨드랑이, 팔꿈치, 사타구니 등 피부가 접히는 부분이 붉어진다.
- 혀가 검어지고 부을 수 있으며 희뿌연 막 같은 것이 생길 수 있다.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진다.
- 오한, 복통과 근육통, 구토와 전신 피로가 발생하는 일도 흔하다.
더 읽어보기: 혀 궤양을 위한 홈 치료법 6가지
성홍열은 신체 검사와 연쇄상구균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진단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필요한 조치를 최대한 빨리 취할 수 있다.
성홍열의 치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성홍열은 빠르게 치료된다. 그러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기까지는 2주에서 3주까지 걸릴 수 있다. 흔히 항생제 처방이 이루어지며, 환자는 부드러운 음식과 풍부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궤양이 사라지면서 피부의 표피 탈락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증상은 주로 손가락 끝과 사타구니에서 발생한다. 일부 경우, 성홍열이 더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데, 이를테면 류마티스성 열, 중이염, 신장 질환, 폐렴, 부비동염이 있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려면 제 때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asetti, S., Hodgson, J., Rawson, T. M., & Majeed, A. (2017). Scarlet fever: A guide for general practitioners. London Journal of Primary Care. https://doi.org/10.1080/17571472.2017.1365677
- Li, L., Lao, Q., & Zhao, H. (2015). Scarlet fever. In Radiology of Infectious Diseases: Volume 2. https://doi.org/10.1007/978-94-017-9876-1_22
- Wessels, M. R. (2016). Pharyngitis and Scarlet Fever. In Streptococcus pyogenes: Basic Biology to Clinical Manifestations. https://doi.org/10.1111/opo.12088
- Wong, S. S. Y., & Yuen, K. Y. (2012). Streptococcus pyogenes and re-emergence of scarlet fever as a public health problem. Emerging Microbes and Infections. https://doi.org/10.1038/emi.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