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들은 화학요법 관련 질환과 메스꺼움을 가장 두려워한다. 이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이므로 잘 예방하면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환자는 치료에 더욱 전념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항암 화학요법과 관련한 메스꺼움 예방에 도움이 되는 많은 옵션이 있지만 환자는 종종 그러한 옵션을 잘못 사용한다. 아마 사용에 익숙하지 않거나 과도하게 사용하는 게 더 편하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항암 화학요법으로 인한 질환 및 메스꺼움을 둘러싼 위험은 환자 및 치료법에 달려 있다. 이 2가지 요소 모두 부작용 정도를 결정한다.
항암 화학요법 관련 질환과 메스꺼움의 종류
환자가 이러한 증상으로 고통받는 시기에 따라 질병은 3가지 주요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 급성 구토: 화학요법 후 처음 24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 지연성 구토: 화학요법 관련 메스꺼움 및 구토의 첫 징후는 처음 24시간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제를 투여한 후 6~7일 동안 지속한다. 시스플라틴은 이러한 부작용과 큰 연관성이 있는 화학요법 약물이다.
- 예기성 구토: 이는 일반적으로 화학요법 전 24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3번째 또는 4번째 주기 후에 환자의 20~40%가 예기성 구토를 경험한다.

항암 화학요법 관련 질환과 메스꺼움 예방 및 치료
예방 및 치료 방법은 화학요법 약물이 생성하는 질환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급성 구토
수년간 메스꺼움과 급성 구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 주요 약물은 도파민성 길항제,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카나비노이드 및 벤조디아제핀이었다.
이러한 약물은 효과가 다양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수용체 길항제 세로토닌이 생겨난 이후로, 새로운 종류의 약물이 많이 등장했다. 이러한 약물은 더 효과적이고, 덜 빈번하며 심각한 부작용도 덜하다.
같은 복용량에서, 기존 4개의 5-HT3 수용체길항제(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돌라세트론, 트로프세트론)는 항암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중등도 또는 심한 구토를 예방하는 데 동일하게 효과적이다. 하지만 사용 여부의 결정은 가용성, 편의성, 비용 및 부작용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구토를 예방하는 10가지 팁
지연된 구토
지연된 구토는 일반적으로 급성 구토보다 치료하기가 어렵다. 이는 환자가 일반적으로 집에서 경험하는 부작용으로, 이를 통제할 방법이 적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반면 개인 및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 커진다. 따라서 메스꺼움과 구토가 지연될 위험이 있는 한, 환자에게 구토 방지 약물 사용에 대한 올바른 지시가 전달되어야 한다.
화학요법 관련 메스꺼움 및 구토의 적절한 제어는 후속 주기에서 급성, 지연성 및 예기성 구토의 위험을 줄인다. 화학요법의 첫 번째 주기 전에 이를 수행하면 불필요한 상담을 피할 수 있음으로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줄어든다.
이 경우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는 약물은 급성 구토일 때와 비교해 효과적이지 않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는 지연성 구토 예방을 위한 최고의 활성제다. 환자는 화학요법 후 3~4일 동안 이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더욱이 급성 구토 예방과 마찬가지로, 구토 방지 약물의 조합은 단일 약물의 사용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만약 위의 치료가 효과가 없다면 5-HT3 길항제를 2차 치료로 권장해야 한다.
예기성 구토
예기성 구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급성 및 지연성 구토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다. 만약 이 부작용이 발생하면 행동 요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화학 물질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 케모포비아
결론
모든 구토 방지 치료의 이상적인 목표는 화학요법 관련 메스꺼움 및 구토의 발병을 완전히 예방하는 것이다.
이는 입원 중이나 집에서 암 환자의 삶의 실을 상당히 향상한다.
불행히도 지난 20년 동안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렵다. 이미 말했듯이, 메스꺼움은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게 계속 빈번하게 나타나고 환자를 염려하게 만드는 부작용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rretero Colomer, M. (2001). Ondansetrón. Offarm: Farmacia y Sociedad.
- FERREIRA, R. G., & FRANCO, L. F. de R. (2017). EFEITOS COLATERAIS DECORRENTES DO TRATAMENTO QUIMIOTERÁPICO NO CÂNCER DE MAMA: revisão bibliográfica. REVISTA DA UNIVERSIDADE VALE DO RIO VERDE. https://doi.org/10.5892/ruvrd.v15i2.3759
- Haro, L. M., Mondéjar, R., Muñoz, M. del M., Molina, M. J., Olaverri, A., & Santiago, J. A. (2013). Tratamiento psicológico de las náuseas y vómitos anticipatorios inducidos por quimioterapia o radioterapia. Psicooncologia. https://doi.org/10.5209/rev_PSIC.2013.v10.n2-3.43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