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

산후 출혈은 산모의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더 그렇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산후 출혈은 여성들에게 정말 위험하다. 이는 세계적으로 주요 산후 합병증 중 하나이다. 산후 출혈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이며, 산후 출혈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오늘 이 글에서는 산후 출혈 예방법 및 관련 증상에 대해 알아본다.

산후 출혈이란?

산후 출혈은 분만 후, 500 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는 것을 말한다. 제왕절개를 한 경우에는 1 L 정도의 혈액이 더 많이 손실된다. 세계적으로 산후 합병증의 75 %가 출혈로 인한 것이다.

산후 출혈은 개발도상국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실제로 사망하는 산모의 1/3이 산후 출혈 때문이다.

이런 경우 1/3은 정확한 원인이나 위험 요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해당 된다. 출산 중 누구에게나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산후 출혈이 생기는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자궁이완증: 자궁 근육이 제대로 수축되지 않는 경우
  • 질이나 자궁 경부의 외상
  • 출산으로 인한 태반 정체가 남아있음
  • 혈액 응고 

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

신속하게 올바른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임산부가 사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산후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조치를 하고 있으며, 이 경우 사망률은 5%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을 줄여야 한다.

더 읽어보기: 출산 가방에 챙겨 가야 할 6가지

출산 시 대처 방안

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

출산 후, 태반을 제거하는 것도 출산 과정에 포함된다. 자궁 수축이 더 많이 되었을수록, 더 빨리 출산할 수 있다. 곧, 출혈의 위험도 감소된다는 뜻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자궁암 치료약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약에는 자궁을 수축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출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자궁 수축제 성분은 옥시토신이다. 옥시토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것 대신 미소프로스톨 등의 다른 물질을 처방할 것이다. 그리고 의사는 주기적인 검사로 자궁이 수축 되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탯줄을 태반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논란이 많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 질 출혈의 원인 및 대처 방안

회음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예방하기

회음부는 생식기와 항문 사이에 위치해있다. 출산 할 때,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회음부가 찢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로 인해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이 외음 절개술을 받는 이유도 여기 있다. 외음 절개술은 회음부를 최소한으로 절개하는 수술이다. 

외음 절개도 출혈이 많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추후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통증이나 흉터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임신 중 빈혈 진단 및 치료하기

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

빈혈로 인해 산후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빈혈을 진단하고 치료하면, 출혈이 많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빈혈 치료에 있어서는 약의 양이 아니라 약을 제대로 먹는 게 중요하다. 임산부는 임신 9주 부터 철분 및 엽산 보충제를 챙겨 먹는 게 좋다. 

출산 중 상처 최소화하기

출산을 할 때, 특수 도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최소한의 상해를 유발하는 도구를 선택해야 한다.  다른 특수 도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흡착컵을 먼저 사용해보고,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게 좋다고 입증된 바 있다.

수혈

출산 과정에서 출혈을 많이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수혈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기타 유의 사항

산후 출혈은 산모의 사망 원인 중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가장 일반적인 합병증이기도 하다. 출산을 하는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임신 전반에 걸쳐 관리하는 게 좋다. 

그리고 빨리 진단을 받아야 빠른 대처도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brera Ramos, S. (2010). Hemorragia Posparto. Revista Peruana de Ginecologia Obstetricia. https://doi.org/10.1016/j.ogc.2007.06.007
  • Calle, A., Barrera, M., & Guerrero, A. (2008). Diagnóstico y manejo de la hemorragia posparto. Rev Per Ginecol Obstet.
  • Campbell OM, Graham WJ. Lancet Maternal Survival Series Steering Group.Strategies for reducing maternal mortality: getting on with what works. Lancet. 2006; 368 (9543): 1284–99.
  • Khan KS, Wojdyla D, Say L, Gülmezoglu AM, Van Look PF. WHO analysis of causes of maternal death: A systematic review. Lancet. 2006;367 (9516): 1066–74.
  • OMS. (2014). Recomendaciones de la OMS para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la hemorragia posparto.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https://doi.org/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41472/1/9789243548500_spa.pdf
  •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multicountry survey on maternal and newborn health. Geneva: WHO; 2012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