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 출혈은 여성들에게 정말 위험하다. 이는 세계적으로 주요 산후 합병증 중 하나이다. 산후 출혈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이며, 산후 출혈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오늘 이 글에서는 산후 출혈 예방법 및 관련 증상에 대해 알아본다.
산후 출혈이란?
산후 출혈은 분만 후, 500 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는 것을 말한다. 제왕절개를 한 경우에는 1 L 정도의 혈액이 더 많이 손실된다. 세계적으로 산후 합병증의 75 %가 출혈로 인한 것이다.
산후 출혈은 개발도상국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실제로 사망하는 산모의 1/3이 산후 출혈 때문이다.
이런 경우 1/3은 정확한 원인이나 위험 요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해당 된다. 출산 중 누구에게나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산후 출혈이 생기는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자궁이완증: 자궁 근육이 제대로 수축되지 않는 경우
- 질이나 자궁 경부의 외상
- 출산으로 인한 태반 정체가 남아있음
- 혈액 응고
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
신속하게 올바른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임산부가 사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산후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조치를 하고 있으며, 이 경우 사망률은 5%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을 줄여야 한다.
더 읽어보기: 출산 가방에 챙겨 가야 할 6가지
출산 시 대처 방안
출산 후, 태반을 제거하는 것도 출산 과정에 포함된다. 자궁 수축이 더 많이 되었을수록, 더 빨리 출산할 수 있다. 곧, 출혈의 위험도 감소된다는 뜻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자궁암 치료약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약에는 자궁을 수축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출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자궁 수축제 성분은 옥시토신이다. 옥시토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것 대신 미소프로스톨 등의 다른 물질을 처방할 것이다. 그리고 의사는 주기적인 검사로 자궁이 수축 되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탯줄을 태반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논란이 많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 질 출혈의 원인 및 대처 방안
회음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예방하기
회음부는 생식기와 항문 사이에 위치해있다. 출산 할 때,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회음부가 찢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로 인해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이 외음 절개술을 받는 이유도 여기 있다. 외음 절개술은 회음부를 최소한으로 절개하는 수술이다.
외음 절개도 출혈이 많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추후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통증이나 흉터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임신 중 빈혈 진단 및 치료하기
빈혈로 인해 산후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빈혈을 진단하고 치료하면, 출혈이 많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빈혈 치료에 있어서는 약의 양이 아니라 약을 제대로 먹는 게 중요하다. 임산부는 임신 9주 부터 철분 및 엽산 보충제를 챙겨 먹는 게 좋다.
출산 중 상처 최소화하기
출산을 할 때, 특수 도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최소한의 상해를 유발하는 도구를 선택해야 한다. 다른 특수 도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흡착컵을 먼저 사용해보고,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게 좋다고 입증된 바 있다.
수혈
출산 과정에서 출혈을 많이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수혈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기타 유의 사항
산후 출혈은 산모의 사망 원인 중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가장 일반적인 합병증이기도 하다. 출산을 하는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산후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임신 전반에 걸쳐 관리하는 게 좋다.
그리고 빨리 진단을 받아야 빠른 대처도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자.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Cabrera Ramos, S. (2010). Hemorragia Posparto. Revista Peruana de Ginecologia Obstetricia. https://doi.org/10.1016/j.ogc.2007.06.007
- Calle, A., Barrera, M., & Guerrero, A. (2008). Diagnóstico y manejo de la hemorragia posparto. Rev Per Ginecol Obstet.
- Campbell OM, Graham WJ. Lancet Maternal Survival Series Steering Group.Strategies for reducing maternal mortality: getting on with what works. Lancet. 2006; 368 (9543): 1284–99.
- Khan KS, Wojdyla D, Say L, Gülmezoglu AM, Van Look PF. WHO analysis of causes of maternal death: A systematic review. Lancet. 2006;367 (9516): 1066–74.
- OMS. (2014). Recomendaciones de la OMS para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la hemorragia posparto.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https://doi.org/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41472/1/9789243548500_spa.pdf
-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multicountry survey on maternal and newborn health. Geneva: WHO;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