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부글거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속이 부글거리고 위가 텅 빈 느낌이 들면 걱정이 될 수 있다. 이럴 때는 병원을 방문해 보자.

속이 부글거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왜 속이 부글거리는 걸까? 누구나 위에 나비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는데, 이는 신경과 연관된 느낌이다. 두 번째 뇌로부터 오는 느낌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한다면 상항이 다르다. 게다가 통증까지 동반된다면 절대 그냥 넘길 문제가 아니다.

스트레스 때문에 소화가 안 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와 관련된 질병 때문일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속이 부글거리는 이유에 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면 꼭 병원에 가서 의사에게 진단받아 보자. 의사가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맞는 처방을 해줄 것이다.

위 안에서 나비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 도대체 왜 그런 걸까?

위에서 여러 가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일반적인 증상일 경우 이유가 무엇인지, 어떤 특정 음식을 먹었을 때 어떤 느낌인지를 우리는 경험을 통해 알고 있다.

한편 오랫동안 스트레스를 계속 받아왔다면 몸에 혼란이 올 수 있다. 불안하고, 배고픔을 느끼지 않고, 심지어 설사할 수도 있다.

통증이 너무 강하다면 분명 어떤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지금부터 확인해 보자.

위 안에서 나비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

위염

위에 나비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은 위염의 주요 증상이다. 이런 경우 온종일 통증이 강하게 나타난다.

통증이 너무 강하면 지치기 마련이다. 물론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통증 때문에 제대로 서 있기도 힘들다.

  • 위장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가 바로 위염이다. 이 염증 때문에 이런 느낌이 들며, 많은 사람이 한 번쯤은 경험하는 질병이다.
  • 위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나 술, 기름진 음식, 약 등도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
  • 위염의 증상 또한 여러 가지가 있다. 발열, 구토, 어지러움, 떨림, 오한 등이 그 증상의 일부다. 심할 경우 대변이나 구토물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

위염으로 의심된다면 의사에게 꼭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아이들에게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위가 부글거린다고 말하거나 위가 아프다고 말하면 꼭 병원에 데리고 가보자.

위궤양

위에서 언급했듯이 통증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예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식사 1∼3시간 후에 위가 부글거린다면 대부분의 경우 위궤양이 그 이유이다.

위궤양

위산 때문에 위 점막이 갈라지면 아래의 증상이 나타난다.

  • 식후 또는 밤에 통증이 있거나 부글거리는 느낌이 든다. 이는 숙면을 방해한다.
  • 위궤양의 제일 일반적인 원인은 헬리코박터 폴리 박테리아이다. 하지만 이부프로펜 같은 항염증 성분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 스트레스를 받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이런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두자.

이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위에서 설명했듯이 의사에게 진단받는 게 제일 먼저다. 어떤 증상이고,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의사가 설명해줄 것이다. 이런 증상이 생기는 원인을 알면, 그에 맞는 치료법도 찾을 수 있다.

또 이런 증상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홈치료제도 있다. 위궤양이나 위염이 있을 때 먹으면 좋다.

이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속이 부글거리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일상에서 할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 미지근한 물에 1큰술을 타서 마신다. 절대 뜨겁거나 차갑지 않아야 한다.
  • 유기농 생당근으로 만든 당근 주스를 마신다.
  • 생강차를 마신다. 생강차는 치유 효과가 있으므로 통증을 완화해 준다.
  • 코코넛 워터도 좋다.
  • 감자즙도 위궤양을 치료하는 데 사용돼 왔다. 감자를 중간 굵기 강판에 갈아서 짜면 즙을 만들 수 있다.
  • 알로에도 이런 증상에 좋다. 알로에 차는 하루에 여러 번 마셔도 된다.
  • 파파야와 배도 좋다. 위 관련 문제가 있을 때 먹으면 도움이 되는 과일들이다.

현재 어떤 음식을 섭취하고 있는지 자신의 식단을 돌아보는 것도 잊지 말자. 기름기가 많고 자극적인 음식은 자제해야 한다.

이처럼 속이 부글거리는 느낌이 드는 이유를 잘 파악해야 한다.  무엇보다 건강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꼭 유념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guado, A., & del Álamo, M. G. (2020). Comorbilidad y síntomas digestivos asociados a depresión en pacientes mayores de 60 años. Medicina de Familia. SEMERGEN46(1), 27-32. https://www.elsevier.es/es-revista-medicina-familia-semergen-40-articulo-comorbilidad-sintomas-digestivos-asociados-depresion-S1138359319300991
  • Bharucha, A. E., Kudva, Y. C., & Prichard, D. O. (2019). Diabetic gastroparesis. Endocrine Reviews40(5), 1318-1352. https://academic.oup.com/edrv/article-abstract/40/5/1318/5487986
  • Hunt, R. H., Camilleri, M., Crowe, S. E., El-Omar, E. M., Fox, J. G., Kuipers, E. J., … Tack, J. (2015). The stomach in health and disease. Gut. https://gut.bmj.com/content/64/10/1650
  • Keshavarzi, Z., Rezapour, T. M., Vatanchian, M., Hesari, M. Z., Haghighi, H. N., Izanlu, M., … & Shahveisi, K. (2014).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Aloe vera leaves on the gastric acid secretion and brain and intestinal water content following acetic acid-induced gastric ulcer in male rats. Avicenna Journal of Phytomedicine4(2), 13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103709/
  • Kujawska, M., Olejnik, A., Lewandowicz, G., Kowalczewski, P., Forjasz, R., & Jodynis-Liebert, J. (2018). Spray-dried potato juice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component with gastrointestinal protective effects. Nutrients10(2), 25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52835/
  • Nikkhah Bodagh, M., Maleki, I., & Hekmatdoost, A. (2019). Ginger in gastrointestin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Food Science & Nutrition7(1), 96-10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41159/
  • Oloyede, H. O., Adaja, M. C., Ajiboye, T. O., & Salawu, M. O. (2015). Anti-ulcerogenic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Carica papaya seed on indomethacin-induced peptic ulcer in male albino rats.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13(2), 105-11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2095496415601601
  • Poher, A. L., Tschöp, M. H., & Müller, T. D. (2018). Ghrelin regulation of glucose metabolism. Peptides100, 236-24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96978117303844
  • Schlottmann, F., Herbella, F. A., Allaix, M. E., Rebecchi, F., & Patti, M. G. (2017). Surgical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orld Journal of Surgery41, 1685-1690.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268-017-3955-1
  • Sverdén, E., Agréus, L., Dunn, J. M., & Lagergren, J. (2019). Peptic ulcer disease. Bmj367. https://www.bmj.com/content/367/bmj.l5495.short
  • Tacad, D. K., Tovar, A. P., Richardson, C. E., Horn, W. F., Krishnan, G. P., Keim, N. L., & Krishnan, S. (2022). Satiety associated with calorie restriction and time-restricted feeding: peripheral hormones. Advances in Nutrition13(3), 792-820.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16183132200026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