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 통증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난소 통증”은 가벼운 통증에서 더 강하고 지속적인 통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몇 분 또는 몇 시간 동안 통증을 경험할 수 있으며 그 통증은 매달 달라질 수 있다. 또 배란 중, 월경 전이나 도중, 심지어 전체 주기 동안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난소 통증이란?
난소는 난자를 생성하는 두 개의 생식샘이다. 그 크기와 모양은 모두 아몬드와 비슷하다. 난소는 나팔관 바로 위의 자궁 양쪽에 있는 복부의 아랫부분에 있다.
그리고 여성이 가임기에 있을 때 난소는 주로 난자를 생성한다. 호르몬(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은 여성 생식 기관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한다.
난소 통증은 생식 기관 및 인근 장기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연구에 따르면 복부 또는 골반 부위의 통증은 산부인과 의사를 만나거나 병원에 찾아가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경우에 그 통증이 심각한 문제를 암시하지는 않지만, 항상 조심할 필요가 있다.
고려해야 하는 요소
이 유형의 통증으로 고통받는 경우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요소가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최근의 수술
- 통증이 생기는 위치
- 배뇨 또는 배변의 변화
- 고통이 시작된 기간
- 현재 먹고 있는 약물과 그들의 상호 작용
- 생리액의 지속 기간 및 평균량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고 상황이 악화할 경우 증상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에 대해 잘 알아야 의사가 ㄴ더 정확한 진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난소 통증 증상
대부분 난소 통증은 심각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며 종종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다시 말해 일시적인 고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고통스러운 배변
- 복부의 무거움
- 메스꺼움, 구토 또는 가슴의 민감성
- 가장 강한 증상인 복통
- 방광에 압력이 가해진 결과인 잦은 배뇨
- 골반 통증(허리 또는 허벅지까지 확장될 수 있음)
- 성관계 도중의 골반 통증
더 읽어보기: 난소 통증은 더 큰 질병의 징후일 수도 있다
난소 통증의 원인
- 배란: 난소 표면의 난포 성장. 모든 여성이 이러한 유형의 고통을 겪는 건 아니지만 일반적이다. 월경 전, 중 및 후에 발생할 수 있다.
- 생리: 이때 많은 여성이 흔하게 통증을 경험하며 그 통증은 약하거나 강할 수 있다. 통증은 자궁 근육 수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 난소 낭종: 난소 낭종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양성이다. 낭종은 액체로 가득 차 있고 터지면 고통스럽다.
- 자궁내막증: 일반적인 상태다. 그리고 통증은 세포가 자궁 밖에서 성장할 때 발생한다(난소, 방광, 내장에서).
- 임신 첫 달: 자궁의 변화는 난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자궁외임신: 자궁외임신은 자궁 내막 밖에서 자라는 배아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제시간에 치료받지 않을 경우 엄마에게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는 비정상적인 질 출혈, 요통 및 생리 건너뛰기이다. 여성은 또한 직장에 강한 압박감을 느끼고 골반 일부에 경미하거나 가벼운 경련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은 하복부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 골반 염증성 질환(PID): 이 질병은 난소, 나팔관 및 자궁 개구부의 염증을 유발한다. 이는 임질을 담당하는 세균성 감염, 주로 임균의 결과이다.
- 감염
더 읽어보기: 폐경기에 발생하는 난소 통증
치료 방법
여성에게 필요한 치료법은 통증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의사를 찾아가는 건 필수다. 하지만 난소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일반적인 사항들이 있다.
- 생리 중에는 커피를 피하자. 커피는 혈관을 조여서 혈압을 높인다. 그리고 그 결과 난소 통증이 생길 수 있다.
- 운동을 하자. 운동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통증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일주일에 2~3번 운동하는 걸 목표로 하자.
- 차를 마시자. 난소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많은 차가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aquedano Mainar, L., Lamarca Ballestero, M., Puig Ferrer, F., & Ruiz Conde, M. A. (2014). Enfermedad inflamatoria pélvica: un reto en el diagnóstico y tratamiento precoz.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https://doi.org/10.4067/S0717-75262014000200009
- Bavera, G. A. (2009). Quistes ováricos. Enfermedades y Problemas Reproductivos. https://doi.org/10.1016/B978-84-458-1311-9.50097-5
- Bueno, F. N., Sáez, J. C., Ocaranza, M. B., Conejeros, C. R., Vaccarezza, I. P., Borquez, P. V, & Soto, E. R. (2002). TRATAMIENTO MEDICO DEL EMBARAZO ECTOPICO *. REV CHIL OBSTET GINECOL. https://doi.org/10.4067/S0717-75262002000300001
- Bulun, S. E. (2018). Endometriosis. In Yen &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Eighth Edition. https://doi.org/10.1016/B978-0-323-47912-7.00025-1
- Dunselman, G. A. J., Vermeulen, N., Becker, C., Calhaz-Jorge, C., D’Hooghe, T., De Bie, B., … Nelen, W. (2014). ESHRE guideline: Management of women with endometriosis. Human Reproduction. https://doi.org/10.1093/humrep/det457
- Hernández Durán Daisy, & Diaz, O. M. (2010). Ginecología Y Salud Reproductiva. Enfermedad Inflamatoria Pélvica. https://doi.org/10.1023/B:JIEN.0000032774.01082.41
- Meira La Costa, E. DA, Ulloa, A., & Luis, F. (2013). Embarazo Ectopico. Revistas Bolivianas. https://doi.org/10.1037/e553842012-001
- Vázquez, A. D., & Vázquez Romo, J. J. (1966). Enfermedad pélvica inflamatoria. Ginecologia y Obstetricia de Mexico. https://doi.org/10.1056/NEJMra141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