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방법

화학 요법보다 시간이 조금 더 걸릴지는 몰라도, 자연 요법으로 사마귀를 없애는 방법이 피부에 훨씬 덜 자극적이다.

사마귀 자연요법

일반적으로 사마귀는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피부에 변화가 생겼다면 피부과를 찾는 편이 늘 옳다. 사마귀의 불편한 점이라면 미관상 매우 보기 좋지 않다는 사실과 옷이나 목걸이 등에 스쳤을 때 거슬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사마귀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하려고 한다.

약간의 인내심만 있으면 피부를 손상하지 않고 부작용도 없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사마귀를 없앨 수 있다.

사마귀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방법

1. 마늘

마늘은 바이러스, 진균, 박테리아, 기생충을 제거하는 강력한 천연 항생제이다. 따라서 사마귀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데도 좋은 방법이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피부에 마늘을 붙이고 있으므로 냄새가 약간 날 수 있다는 점이다.

  • 사마귀 환부에 마늘 조각을 올리고 반창고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 건강한 피부에는 마늘이 닿지 않게 한다. 붙인 채 잔다.
  • 사마귀가 떨어질 때까지 매일 반복한다.

더 읽어보기: 튼살을 옅게 만들기 위한 6가지 비결

2. 무화과 진액

무화과의 효능 사마귀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방법

사마귀와 피부 굳은살을 제거하는 가장 오래된 자연요법 중 하나로 덜 익은 무화과를 나무에서 딸 때 나오는 하얀 진액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무화과 진액을 구할 수 있다면, 빠르고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약간의 인내는 필요하다.

  • 무화과를 딸 때 나오는 유액은 피부 굳은살을 부드럽게 해준다.
  • 알아둘 점은 초록 무화과를 딸 때 나오는 진액이 가장 강력한 시기는 바로 초봄과 여름이라는 사실이다.
  •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점막에는 바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쑥

고대 중국 의사들은 사마귀를 태워서 빠르게 제거하는 데 쑥을 사용했다. 다른 피부를 건드리지 않고 사마귀 위에 쑥을 올린 후 뜸을 뜨는 것이다.

  • 쑥뜸은 2~3일 이내로 사마귀가 떨어지게 만드는 매우 신기한 방법이다. 그러나 조심하지 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 약쑥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쑥뜸을 뜨는 데 주로 쓰이는 쑥이다.

더 읽어보기: 손가락 사마귀를 제거하는 5가지 방법

4. 바나나 껍질

사마귀 제거

과일 껍질에는 각종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숨겨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바나나 껍질이 그 예다.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바나나 껍질은 사마귀 제거에 탁월한 자연요법이 된다.

  • 매일 사마귀 환부를 바나나 껍질로 문지른다. 적어도 아침에 한 번, 자기 전에 한 번 하기를 권한다.
  • 바나나 껍질 요법은 피부 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에도 효과적이다.

5. 양파

양파는 체내 독소와 액체 제거를 돕는 해독 작용이 뛰어난 음식이다.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쓰이듯, 사마귀를 제거하는 데도 쓸 수 있다.

  • 양파를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사마귀 환부에 대고 몇 초 동안 문지르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한 피부는 자극을 받을 수 있으니 피한다.
  • 보호 차원에서 건강한 피부에 올리브유를 약간 발라도 좋다.

6. 사과 식초

건강에 좋은 성분을 함유하고 활용도도 높은 사과 식초는 늘 구비해두어야 하는 제품이다. 산, 효소,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지니는 덕분에 사과 식초는 사마귀를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 희석하지 않은 사과 식초를 화장솜에 적셔 사마귀 환부에 하루 2~3회 발라준다.
  • 가능하다면, 반창고를 사용해 사과 식초를 적신 화장솜을 붙여둔다. 그러면 효과가 더 오래간다.
  • 사마귀가 사라질 때까지 각질을 떼어내면서 반복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Joshi, V. K., & Sharma, S. (2009). Cider vinegar: Microbiology, technology and quality. In Vinegars of the World. https://doi.org/10.1007/978-88-470-0866-3_12
  • Mohapatra, D., Mishra, S., & Sutar, N. (2010). Banana and its by-product utilisation: An overview. Journa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ttps://doi.org/10.1016/j.agsy.2010.12.004
  • Rao, N. K. S. (2016). Onion. In Abiotic Stress Physiology of Horticultural Crops. https://doi.org/10.1007/978-81-322-2725-0_8
  • Bohlooli S, Mohebipoor A, Mohammadi S, Kouhnavard M, Pashapoor S. Comparative study of fig tree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common warts (Verruca vulgaris) vs. cryotherapy. Int J Dermatol. 2007;46(5):524‐526. doi:10.1111/j.1365-4632.2007.03159.x
  • Pazyar, N., & Feily, A. (2011). Garlic in dermatology. Dermatology reports, 3(1), e4. https://doi.org/10.4081/dr.2011.e4
  • Tabassum, N., & Hamdani, M. (2014). Plants used to treat skin diseases. Pharmacognosy reviews, 8(15), 52–60. https://doi.org/10.4103/0973-7847.125531
  • Yagnik, D., Serafin, V., & J Shah, A. (2018). Antimicrobial activity of apple cider vinegar against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downregulating cytokine and microbial protein expression. Scientific reports, 8(1), 1732. https://doi.org/10.1038/s41598-017-18618-x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