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석은 음식물 찌꺼기가 치아 표면에 축적되면서 생긴다. 치석은 입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단단해지고 석회화되면서 피가 나거나 잇몸 질환 및 구강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치석을 제거하고 치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벽한 해결 방안은 없다. 하지만 치석이 축적되고 상태가 더 심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집에서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요법이 있다.
양치를 하는 방법에 변화를 주는 것이 치석을 제거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양치질을 할 때 양옆으로만 움직이지만, 이렇게 하면 치아가 민감해지고 치석이 치아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양치질은 항상 둥글게 위아래로 움직여야 한다. 그 다음에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치실을 꼭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구강 세정제로 입을 헹군 뒤, 칫솔도 꼼꼼하게 씻어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해야 한다.
주의 사항 : 적어도 일년에 4번 정도는 칫솔을 교체해야 하고,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사용해야 한다.
식생활 변화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구강 건강을 개선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설탕과 탄수화물을 피하고, 탄산음료를 마시지 말자. 정말 마시고 싶다면 빨대를 사용하자. 정제 밀가루로 만든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말고, 먹게 된다면 박테리아가 쌓이지 않도록 꼭 양치질을 하자.
추천 글 : 탄산음료를 끊으면 생기는 8가지 건강 변화
구강 위생 관리
충치 및 치석과도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데 있어서 자연 요법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너무 과도하게 하면 오히려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치석을 제거하고 전반적인 구강 건강을 개선하는 자연 요법은 다음과 같다.
껌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설탕 껌이 치아의 치석 형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가 나올 수 있도록, 식사를 한 뒤에 껌을 하나 씹어 보자. 그 다음에는 양치질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좋다.
베이킹 소다
양치를 할 때 소량의 베이킹 소다도 함께 사용해 보자. 베이킹 소다는 치아 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녹이며, 치아를 매우 하얗게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일주일에 한 번씩, 자기 전에 극소량만 사용해야 한다.
레몬
레몬즙은 치석을 제거하는 데 매우 좋다. 강력한 레몬의 산은 구강을 꼼꼼하게 청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입 냄새를 제거하며, 미백 효과도 있다. 치석이 서서히 사라질 수 있도록 일주일에 한 번씩 사용해 보자.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너무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 글 : 14가지 치약 활용법
기억해 보자!
세정, 미백 및 전반적인 구강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6개월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가장 좋다. 불편하고 해로운 치석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전문적인 관리를 받아 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hetruş, V., & Ion, I. R. (2013). Dental plaque–classification, 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Dentistry, 3(2), 139-143. https://www.ijmd.ro/articole/306_306_6%20chetrus.pdf
- PPoyato Ferrera, M. M., Segura-Egea, J. J., Ríos-Santos, J. V., & Bullon, P. (2001). La placa bacteriana: Conceptos básicos para el higienista bucodental. Periodoncia, 11 (2), 149-164. https://idus.us.es/xmlui/handle/11441/39214
- Rosan, B., & Lamont, R. J. (2000). Dental plaque formation. Microbes and infection, 2(13), 1599-1607.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286457900013162
- Touger-Decker, R., & Van Loveren, C. (2003). Sugars and dental cari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8(4), 881S-892S. https://academic.oup.com/ajcn/article/78/4/881S/4690063
- Putt, M. S., Milleman, K. R., Ghassemi, A., Vorwerk, L. M., Hooper, W. J., Soparkar, P. M., … & Proskin, H. M. (2008). Enhancement of plaque removal efficacy by tooth brushing with baking soda dentifrices: results of five clinical studies. Journal of Clinical Dentistry, 19(4), 111.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Mark_Putt/publication/24193167_Enhancement_of_plaque_removal_efficacy_by_tooth_brushing_with_baking_soda_dentifrices_Results_of_five_clinical_studies/links/555b610608ae6aea0816bf4d.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