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의 자녀와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가족의 개념은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하고 다양해졌다. 그중 혼합 가족은 부부 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 자녀를 데리고 한 가족을 이루어 사는 형태를 말한다. 그렇다면 배우자의 자녀와 어떻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
물론 이러한 상황은 쉽지 않지만, 화목하고 풍요로운 가정을 이룰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말자.
배우자의 자녀를 대할 때는 긍정적인 측면을 개선하고 흔히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몇 가지 지침을 고려해야 한다.
배우자의 자녀와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이미 자녀가 있는 사람과 재혼을 하면 남들이 경험하지 않는 상황에 마주해야 하지만, 서로를 사랑하고 존중하는 분위기 속에 소통을 이어간다면 좋은 관계를 이룰 수 있다.
배우자의 자녀를 대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상황을 받아들이자
양쪽 모두 자녀가 있다면 가정생활이 어떤 의미인지 말하지 않아도 잘 알 것이다. 하지만 배우자에게만 자녀가 있다면 아이가 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아이들은 곁에서 세심하게 보살펴 주고 관심을 줘야 하는 존재다.
부모가 되면 자유 시간이 사라진다. 집에 일찍 들어오는 것은 기본이며, 모든 계획이 아이의 활동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때로는 아이와 함께 잠을 자야 할 때도 있다.
한 사람이 아닌 이미 이루어진 가정과 새로운 가족을 이룬다는 것은 복잡하지만 피할 수 없는 문제다. 아이를 문제 삼거나 배우자에게 아이를 방치하도록 요구할 수는 없으니, 넓은 이해심과 지지가 꼭 필요하다.
선을 정하자
자녀가 있는 사람과 결혼을 하면 불확실하고 애매모호한 위치에 놓일 수 있으니, 배우자와 대화를 통해 기본적인 제한선을 두어야 한다.
결혼 생활에서 어떤 점을 기대하는지, 아이의 삶에 어떤 식으로 관여할 것인지, 어떤 부분을 책임질 것인지 등을 분명히 정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처음부터 명확하게 정해 두면 오해와 비난을 피할 수 있다.
배우자와의 관계에 신경 쓰자
배우자의 자녀가 나의 생물학적 자녀는 아니지만, 함께할 순간이 많을 것이다. 아직 어린아이를 돌보다 보면 정작 배우자와의 관계에 신경 쓸 겨를이 없어질 수 있다.
정서적 친밀감을 유지하고 불만이 쌓이지 않으려면 둘만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더 읽어보기: 건강한 관계를 위한 경계선 정하기
배우자의 자녀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팁 4가지
처음에는 불안감으로 배우자의 자녀와 대화를 나누는 법조차 잘 모를 수 있다. 아이에게 여유를 갖고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되는 팁은 다음과 같다.
1. 한 번에 하나씩 시도해 보자
새로운 가족에 적응하기란 누구에게나 복잡한 일이므로, 적응할 시간을 줘야 한다.
아이에게 다가갈 때는 서두르지 않아야 한다. 같은 집에서 살기 전까지 처음에는 바깥에서 만나다가 조금씩 생활을 함께해 보자.
또한 첫 만남부터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은 금물이다. 물론 그렇게 되면 좋겠지만, 처음에는 거리감이 느껴지고 어색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니,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 보자.
2. 아이를 이해하자
아이들은 부모의 새로운 배우자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반응을 마음에 담아 둘 필요는 없다.
이러한 상황이 아이에게 복잡하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부모의 재혼으로 아이는 자신에게 익숙했던 공간과 관계를 잃게 되는 것이다.
새 가족을 믿지 않고 두려움을 느낄 수 있으니, 멀리서 조금씩 다가가는 것이 좋다.
3. 관계를 형성하자
아이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친화력이 다를 수 있다. 배우자의 자녀와 가까워지려면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공통점을 찾는 것이 좋다.
대화를 하다 보면 관심사나 취미가 같다는 것을 깨닫게 될 수도 있다! 아이가 좋아할 만한 활동을 함께하면 신뢰감과 친밀한 관계를 쌓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가족생활 주기가 중요한 이유
4. 자신의 역할을 기억하자
아이와 관련된 문제를 결정하는 것은 엄연히 부모의 몫이지만, 아이를 곁에서 돌보는 배우자로서 모두에게 존중받아야 한다.
배우자의 자녀와 관계를 유지하려면 인내심이 필요하다
배우자의 자녀를 대할 때는 인내심과 이해심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정신 건강과 행복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배우자와 적극적으로 매끄럽게 대화를 나누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ereira, R. (2002). Familias reconstituidas: La pérdida como punto de partida. Perspectivas sistémicas, 70, 3-5.
- Cintrón, F. N., Walters-Pacheco, K. Z., & Serrano-García, I. (2008). Cambios…¿ Cómo influyen en los y las adolescentes de familias reconstituidas?. Inter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2(1), 91-100.
- Ripoll, K., Martínez, M., & Giraldo, Á. M. (2013). Decisiones sobre crianza de los hijos en familias reconstituidas. Revista colombiana de psicología, 22(1), 16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