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는 불가피하게 생리적 악화로 이어진다. 이를 노쇠 증후군이라고 하며, 노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특정 질병과 장애에 더 취약해지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노쇠 증후군 정의 및 원인 등을 이야기하겠다.
그러나 늙어가는 방법은 한 가지가 아니다. 라이프스타일과 사회 경제적 지위와 같은 측면이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쇠’라는 용어는 노인과 관련이 있지만 이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다.
노쇠는 사망 위험이 높은 사람에게 적합하며 상태 악화를 줄이기 위해 몇 가지 증상과 치료법을 확인할 수 있다.
노쇠 증후군이란?
노화 과정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어떤 곳에서는 기대 수명이 다른 곳보다 훨씬 높은데 사회 경제적 지위, 의료 접근성, 양질의 영양 등 다양한 이유로 달라진다.
이러한 측면 때문에 아시아 또는 유럽 국가와 비교하여 남미 국가에서 노쇠 증후군 비율이 더 높다. 전문가들은 노쇠 증후군을 노인의 생리적 예비력 감소로 이해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낮은 저항력과 관련이 있다.
개인의 생리적 체계에 결손이 축적되는 범위는 체중 감소에서 운동 의존성, 낙상, 부상 및 입원 위험을 증가하는 불규칙한 보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노쇠 증후군의 원인
노화와 생리적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증후군이다. 생리적 예비력이 부족하면 심각한 질병에 취약해지며 더 빠르게 악화할 수 있다.
노화하면 유기체의 모든 기능이 전반적으로 상실되지만 허약함은 다른 장애가 유발하며 더 위험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노인의 무관심 징후 및 예방법 알아보기
노쇠 증후군 증상 및 합병증
노쇠 증후군은 다양한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심각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 체중 감소
- 반복되는 낙상
- 보행 장애
- 건강에 관한 잘못된 자기 인식
- 근감소증 또는 근육량 감소
- 풍부한 약물 사용과 잦은 입원
노쇠 증후군을 식별하는 일은 다양한 증상의 조합으로 나타나서 간단하거나 일률적이지 않다. 그러나 요양원 거주자와 종양 환자는 고통을 겪을 가능성이 더 큰 편이다.
또한 저소득, 고령, 최근 사별한 경우 등 사회 경제적 측면도 있다. 과체중이거나 빈혈인 사람들은 노쇠 증후군에 더 많이 노출된다.
관련 연구 결과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노쇠 증후군을 앓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2배나 높으며 장애 가능성도 크다,
취약성을 잘 지정하고 일반적인 패턴을 식별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The Journals of Gerontology’에서는 노쇠 증후군과 관련된 5가지 조건을 설명했다.
- 연간 4.5kg 이상의 비자발적 체중 감소
- 전반적인 피로감
- 걷는 속도 감소
- 낮은 수준의 신체 활동
- 체력 허약
더 읽어보기: 노년기에 건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노쇠 증후군 개선 운동과 재활
예방 가능한 질환이지만 각국의 의료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구체적인 재활 프로그램은 없지만 신체 활동에서 파생되는 발전과 이점이 확인되었다.
노쇠 증후군은 여러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운동은 기능 장애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노년기 운동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자가 포식 증가, 세포 수준의 재생 메커니즘
- 심혈관계 개선
- 힘과 근력 향상
- 산화 스트레스 감소
- 안정성과 유연성 향상
일부 건강한 관행은 유리한 방식으로 개입한다. 예를 들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신진대사에 따라 권장 체중을 유지한다. 체력 약화의 악순환을 자극하는 낙상과 약물 부작용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지만 일부 전문가는 긴 산책을 권장하고 80세 이상도 좀 더 활발한 신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라이프스타일의 영향을 받는 노쇠 증후군
노쇠 증후군은 노년과 관련된 피할 수 없는 병리와 관련이 있지만 이환율과 사망률의 위험을 줄이는 몇 가지 전략이 있다. 그중에는 신체 운동과 적절한 식이요법을 포함하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건강한 생활 습관은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면서 체력과 질병 악화의 악순환에 빠지는 것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Romero Cabrera, Ángel Julio, Fragilidad: un síndrome geriátrico emergente. MediSur [Internet]. 2010;8(6):81-90. Recuperado de: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180019804014
- Coelho-Junior, H J et al. “Prevalence of Prefrailty and Frailty in South America: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The Journal of frailty & aging vol. 9,4 (2020): 197-213. doi:10.14283/jfa.2020.22.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32996556/
- Rivadeneyra-Espinoza, Liliana, Sánchez-Hernández, Cristina del Rocio, Síndrome de fragilidad en el adulto mayor en una comunidad rural de Puebla, México. Duazary [Internet]. 2016;13(2):119-125. Recuperado de: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512164587007
- Roberto, Silva, and Mayán José Manuel. “Beneficios Psicológicos de Un Programa Proactivo de Ejercicio Físico Para Personas Mayores.” Escritos de Psicología / Psychological Writings 9.1 (2016): 24–32. Disponible en: https://doi.org/10.5231/psy.writ.2015.2212
- Alonso Galbán, Patricia, Sansó Soberats, Félix J., Díaz-Canel Navarro, Ana María, Carrasco García, Mayra, Diagnóstico de fragilidad en adultos mayores de una comunidad urbana. Revista Cubana de Salud Pública [Internet]. 2009;35(2):1-14. Recuperado de: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21418846016
- Fortuño-Godes, Jesús. “Relación Entre Ejercicio Físico y Procesos Cognitivos En Las Personas Mayores.” Ágora para la Educación Física y el Deporte 19.1 (2017): 73–87. Disponible en: https://revistas.uva.es/index.php/agora/article/view/670
- QUEVEDO-TEJERO, ELSY DEL CARMEN, ZAVALA-GONZÁLEZ, MARCO ANTONIO, ALONSO-BENITES, JANYF ROSALÍA, Síndrome de fragilidad en adultos mayores no institucionalizados de Emiliano Zapata, Tabasco, México. Universitas Medica [Internet]. 2011;52(3):255-268. Recuperado de: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231022506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