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집 습진이라고도 알려진 한포진은 손과 발에 작은 액체가 들어 있는 물집이 생기는 피부 염증의 한 종류다. 대부분의 경우 이 문제는 만성적이지만, 전염성은 없으며 발병 기간과 완화 기간을 포함한다. 또한, 한포진은 종종 계절성이기 때문에 봄과 여름에 더 많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한포진의 원인은 내부에서 기인한다. 즉, 신체 내에서 발생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스트레스나 알레르기와도 종종 관련이 있다. 만 15~3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서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모든 나이대나 성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포진의 원인
전문가들은 한포진의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특정 요인이 이 질병의 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건 알고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감정적 스트레스
- 향수, 약물 또는 금속 알레르기
- 피부 세균이나 진균으로 인한 감염을 앓고 있을 경우
- 아토피 피부염, 천식 또는 건초열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
- 호르몬에 변화가 생기는 임신 기간
손발에 나타나는 한포진의 증상
이 문제는 먼저 손가락 사이에 나타났다가 손바닥으로 확장하곤 한다. 아니면 발바닥과 옆구리에 나타날 수도 있다. 동시에 손등이나 몸통과 같은 다른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손발에 나타나는 한포진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종종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작은 물집이 생긴다.
- 피부의 벗겨짐: 피부가 벗겨져서 짓무를 수 있는데, 이 상태는 아주 큰 고통을 유발한다.
- 피부 자극과 피부의 두꺼워짐: 이 문제는 습진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감염된 부위를 긁을 때 생긴다. 그래서 이차 피부 감염이 나타날 수 있다.
손발 한포진의 변화는 다양할 수 있다. 보통 3~4주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지만, 재발하기도 한다. 병변이 없는 기간이 끝나면 다음 발병이 몇 주 또는 몇 달간 지속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5가지 자연 요법
손발 한포진은 어떻게 치료할까?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한포진을 치료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포진 발병을 치료하고 통제하기 위한 방법은 있다.
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은 아래와 같다.
- 1~2주 동안 고효능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병변의 심한 정도와 단계에 따라 어쩌면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수도 있다.
- 병변에 이차 감염이 있으면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 피부 건조를 줄이기 위해 진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는 한포진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또한 의사는 광선 요법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치료를 권장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면역 체계 강화를 위한 아연의 역할
발병을 조절하기 위한 권장 사항
손발 한포진 발병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련의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매일 여러 번 손에 수분을 공급한다.
- 자극성 물질에 접촉하지 않는다.
- 순한 무향 비누로 손발을 깨끗하게 씻는다.
- 집안일을 할 대는 장갑을 착용한다.
- 발 위생도 철저히 해야 한다. 올바르게 씻고 말리는 게 중요하다.
- 병변을 긁으면 문제가 더 오래 가고 이차 감염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피부에 통풍이 잘되도록 천연 소재로 되어 있고 가죽 밑창이 있는 신발을 신는다. 땀이 너무 많이 나면 적어도 하루에 2번은 양말을 갈아 신어야 한다.
스트레스는 한포진을 유발하고 또 악화할 수 있음으로 가능한 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한다. 그러니 스트레스와 긴장을 억제하도록 노력하자. 예를 들어 이완과 호흡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요가, 태극권, 그리고 명상도 아주 완벽히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시도해 보도록 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Gómez, M., Beirana, A., & Lopez, L. (2001). Dishidrosis asociada a dermatitis atópica en un paciente preescolar. Revista Del Centro Dermatológico Pascua.
- Garcia-Navarro, X., Corella, F., Roé, E., Dalmau, J., & Puig, L. (2006). Dishidrosis. Farmacia Profesional.
- Urbina, F., Pérez, A., Requena, L., & Rütten, A. (2013). Hipoqueratosis circunscrita palmar o plantar. Conocimientos y controversias tras 10 años de su descripción. Actas Dermo-Sifiliográficas. https://doi.org/10.1016/j.ad.2013.05.011
- Garcia-Navarro, X., Corella, F., Roé, E., Dalmau, J., & Puig, L. (2006). Dishidrosis. Farmacia Profesional, 20(4), 70-73. Retrieved from http://www.elsevier.es/es-revista-farmacia-profesional-3-articulo-dishidrosis-13087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