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수면의 특징
렘수면의 특징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렘수면 또는 급성 안구 운동 수면은 수면 주기의 25%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잠이 든 후 70~90분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며, 주기가 반복되면서 여러 차례 일어난다.
과연 렘수면은 어떻게 나타나는 단계일까? 또 어떤 특징이 있을까? 오늘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알아보려고 한다. 인지 과정 및 기억력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니, 끝까지 읽어 보자.
렘수면
급속 안구 운동은 수면의 두 단계 중 하나로, 새와 포유류를 포함하여 송과샘이 있는 동물에 존재한다.
렘수면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무작위로 빠르게 움직이는 안구
- 전신 근육의 긴장도 감소
- 생생한 꿈
- 빠른 저전압 뇌파
이러한 모든 화학적 및 전기적 활동이 시작되는 곳은 바로 뇌간이다. 또한 히스타민,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생성을 제한하는 아세틸콜린의 전달에 간접 개입하는 것으로 보인다.
뇌간에서 시작되는 PGO파는 렘수면 전후에 발생하며, 시각 연상 피질에서 가장 큰 진폭으로 도달한다. 우리가 꿈을 꿀 때 무언가를 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한 렘수면 단계가 되면 뇌 에너지가 방출된다. 포도당과 산소 대사 등에서 방출되는 뇌 에너지는 우리가 깨어 있을 때 사용하는 양보다 많다.
렘수면은 수면 주기의 25%에 해당하며, 잠을 자는 동안 여러 차례 일어날 수 있다.
렘수면의 특징
렘수면은 얕은 수면 단계다. 실제로 이때 잠에서 깨면 꿈을 완벽하게 기억하며, 정신이 맑아 잘 쉬었다는 느낌이 든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발기가 일어나고, 심장과 호흡 속도가 불규칙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렘수면은 수면의 특징적인 단계이므로, 다른 단계는 비렘수면, 서파 수면, 깊은 수면과 같은 이름으로 부른다.
밤에 잠을 자면 대개 4~5번의 렘수면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 단계가 끝난 후 몇 분간 잠에서 깨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어렵지 않게 다시 잠들 수 있다.
렘수면 단계에서는 뇌가 MAO 효소를 방출한다. 이 효소는 특정 모노아민 신경 전달 물질의 산화를 촉진하여 움직임을 억제한다. 만약 MAO 효소가 없으면 우리는 자는 동안에도 깨어 있을 때처럼 움직이게 될 것이다.
한편 렘수면 도중 잠에서 깨면 고통스러운 마비 감각을 느끼거나 환각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로 수면 마비라고 한다.
더 읽어보기: 수면 마비에 대한 과학자들의 의견
렘수면 단계는 큰 도움이 된다
수면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신경 활동이 자는 동안 재활성화되고 강화된다.
- 해마, 신피질 및 시상 활동을 개선하여, 기억력과 학습 통합을 강화한다.
- 신체적 및 지적 활동이 렘수면을 개선하여, 이러한 학습 과정을 강화한다.
- 신생아와 영유아의 신경 연결을 발달한다. 아기들이 잠을 많이 자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신경 활동은 자는 동안 재활성화되어 학습과 기억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렘수면과 기억력, 렘수면의 특징
일부 과학 연구를 통해, 렘수면이 기억 응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보면, 연구진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수면 부족은 기억 응고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적절한 수면 위생을 유지하는 것은 학습 및 기억 강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선사한다.
- 특히 렘수면은 기억력 및 학습 잠재력과 관련이 있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자는 것과 꿈을 꾸는 것이 모두 기억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선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우리가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할 때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밤에 잠을 잘 자는 것이 중요하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하루 동안 배운 것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을뿐더러 렘수면의 이점과 같은 추론을 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더 읽어보기: 불면증의 여러 가지 유형
수면은 유기체에 중요하다
요약하자면, 수면은 전반적인 신체 및 인지 건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체 세포를 회복하면서 학습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개선하려면 충분히 잠을 자면서 휴식을 취하고 꿈을 꿔야 한다. 그 외에 나머지는 우리 몸에 맡기면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e Riquer, A. I. (2013). El trastorno de conducta del sueño rem.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4(3), 463-472.
- Reinoso-Suárez, F. (2005). Neurobiología del sueño. Revista de Medicina de la Universidad de Navarra, 10-17.
- Velayos, J. L., Moleres, F. J., Irujo, A. M., Yllanes, D., & Paternain, B. (2007). Bases anatómicas del sueño. In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Vol. 30, pp. 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