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담도 폐쇄증의 증상 및 치료

현재로서는 이 질병의 발병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연구원들은 아기가 유전적으로 이 병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연구원들은 독성 및 전염성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담도 폐쇄증에 대한 모든 것을 배우고 싶다면 계속해서 읽어 보자.

담도 폐쇄증은 출생 직후 분명히 드러나는 만성적인 진행성 간 질환이다. 간은 담관으로 알려진 유명한 관을 포함하는 기관이다. 간에서 생성하는 담즙이라고 하는 화합물을 장과 신장으로 직접 배출시키는 것이 이러한 신체 구성의 기능이다.

담즙은 적절한 소화에 필수적이며, 몸 밖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간의 노폐물을 장과 신장으로 운반한다.

담도 폐쇄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담관이 막혀 담즙이 간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기관이 손상되어 필수적인 여러 신체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담도 폐쇄증은 미국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간 이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18,000명의 출생당 1명꼴로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에게 약간 더 흔히 나타난다. 게다가 아시아 또는 흑인계의 사람들과 미숙아가 백인 아기에 비해 이 질병을 더 앓게 된다.

담도 폐쇄증의 원인

담도 폐쇄증: 증상 및 치료

현재로서는 이 질병의 발병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연구원들은 간이 발달하는 임신 중 나타나 아기가 이를 갖고 태어난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이 질병이 출생 후 독성 또는 전염성 물질에 노출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담도 폐쇄증은 이론상으로 산모가 복용했던 약물, 산모가 앓았던 질병 또는 임신 중 했던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여겨진다.

유전 성분이 이 질병의 발병 뒤에 있는지에 대한 여부 또한 현재까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한 가족에게 질병이 한 차례 이상 반복될 가능성은 드물다.

더 읽어보기: 암도 유전될까?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

담도 폐쇄증의 증상

담도 폐쇄증이 있는 신생아의 경우 태어났을 때는 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생후 2~3주에 황달(피부 및 점막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아기는 생후 1개월 동안 정상적으로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1개월이 지나고 나면 체중이 줄어들어 더 예민해지고 황달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더딘 성장
  • 옅은 색 또는 흙빛을 띠는 대변
  • 어두운 소변
  • 부실한 체중 증가 또는 체중이 증가하지 않음
  • 비장 비대증 (지라 비대)

담도 폐쇄증의 치료

80~85%의 환자가 결국 이식을 받게 되므로, 담도 폐쇄증의 치료법은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는 비가역적인 질병이다. 막힌 담관을 열거나 새로운 담관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약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는 카사이 수술(Kasai portoenterostomy)이 첫 번째 치료법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이러한 중재적 처치의 이점을 첫 번째 치료법으로 주장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또 다른 전문가들은 이식을 근본적인 선택권으로 지지하기 때문이다.

카사이 수술

이 수술은 담즙의 배액을 목표로 한다.

카사이 수술은 아기가 생후 3개월이 되기 전에 수행하면 더 효과적이다. 또한 아기가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수년간 비교적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간에 담즙이 축적되어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담즙 정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간 건강을 위해 먹지 말아야 할 8가지 식품

간 이식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수술은 병든 간을 건강한 간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새로운 기관은 사망한 기증자, 사망한 기증자의 간의 일부, 친척 또는 환자의 조직 유형과 맞는 다른 사람의 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수술을 받고 나면 아기의 건강은 흔히 빠르게 개선된다. 하지만 신체가 새로운 기관을 거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약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거부 반응은 바이러스, 종양 및 기타 이물질로부터 신체를 지키려고 시도하는 정상적인 보호 메커니즘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atinoamericana de Pediatría Hepatología Trasplante Hepático Pediátrico, A., Margarita Ramonet, D., & Mirta Ciocca Fernando Álvarez, D. (2014). Atresia biliar: una enfermedad grave Biliary atresia: a severe illness. Arch Argent Pediatr. https://doi.org/10.5546/aap.2014.542

  • Donat Aliaga, E., Polo Miquel, B., & Ribes-Koninckx, C. (2003). Atresia de vías biliares. Anales de Pediatria. https://doi.org/10.1157/13042982

  • Cauduro, S. M. (2005). Atresia biliar extra-hepática: métodos diagnósticos. Jornal de Pediatria. https://doi.org/10.1590/s0021-75572003000200004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