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수면 무호흡증의 증상은 부모에게 걱정거리다. 우선, 이 문제는 코골이 이상의 문제이며 종종 출생 직후에 시작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글에서 논하려는 호흡 장애는 주로 휴식 시간에 발생한다.
아기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아기의 호흡이 잠시 멈출 때 발생한다. 이 멈춤은 일부가 공기 통로에 남아 있는 부분적이거나, 지속되는 동안 산소 교환이 없는 전체적일 수 있다. 이 상태는 아주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주의와 치료가 필요하다. 이는 신진 대사가 기능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출입이 없을 때, 뇌의 기능을 포함한 많은 신체 기능이 중단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이 상태의 가능한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자.
아기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하는 이유
어린 아이들에게 이 문제의 원인은 상부기도의 구조에 있다. 어린이의 기도는 성인의 기도보다 작고 제한된 직경은 기관의 유연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해부학적 구조, 또는 반복적인 감염으로 인해 다른 아기보다 상부기도가 좁은 아기들이 있다. 또한 연골이 제한된 작은 기도는 편도선이 비대해진 기관과 다르다.
이 상태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편도 비대증이다. 이 림프 방어 조직은 특히 누워있을 때 크기가 커지고 공기가 신체로 적절하게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아래턱의 모양도 위험 요소다. 얼굴 뼈가 작은 어린이의 공기 출입구 모양이 다르며 내부로 이동하기가 더 어렵다.
과체중 아기는 두 가지 복잡한 요인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목에 축적된 지방은 기관에 압력을 가한다. 다른 하나는 혀가 커져 잠들 때 뒤로 넘어간다.
또한 뇌성 마비가 있는 어린이는 특별한 경우다. 근육을 느슨하게 하여 기도의 막힘을 촉진하는 것이 이 병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보기: 코골이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아기 수면 무호흡증의 눈에 띄는 증상
아기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징후와 증상은 호흡기와 관련이 있다. 코골이가 주된 것이다. 이 증상의 유아들은 성인만큼 과도하고 자주 코를 곤다.
그에 따라, 코골이는 일반적으로 호흡과 리듬의 중단을 동반한다. 무호흡은 동기나 숨 내쉼이 없고 폐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때 발생한다.
부모나 보호자는 종종이 현상을 감지하지만, 때때로는 눈에 띄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아기가 잘 때 숨을 쉬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것은 때때로, 특히 아기의 소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아기는 코가 아닌 입을 통해 숨을 쉰다. 이 메커니즘은 더 많은 양의 공기의 유입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강 및 코 점막을 건조시켜 갈증과 야간 각성을 증가시킨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장기적인 영향
수면 중 휴식과 산소 섭취 부족의 결과는 무엇일까?
이 장애를 가진 아기들은 낮 동안 과잉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어서 더 높은 칼로리 소비한다. 따라서, 적절하게 보충되지 않으면 적절한 체중 증가를 지연시킬 수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아기는 초기 치아에 조기 변화의 위험이 있다. <Revista de la Asociacion Mexicana> 의 기사에 따르면 이갈이는 수면 문제가 있는 어린이에게 더 흔하다.
유아기에 무호흡증을 앓는 사람들의 경우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는 결과도 있다.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러나 이것은 비만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다.

더 읽어보기: 아기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
가능한 치료법
아기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많고 다양하며, 의료진이 사용할 치료법에 대해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가능한 치료 방법에 다음과 같다.
- 비강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또는 비강 점막의 울혈을 위한 국소용 약물: 비염의 경우에도 효과가 있으며 항상 의사가 처방해야 한다.
- 편도 비대가 발견되는 소아는 아데노이드 수술 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선택한다.
- 위생 및 식이 요법은 경미한 증상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습관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아이가 누울 때의 자세, 수면 일정, 식사 시간 및 식사와 취침 시간과의 시간을 조정한다.
- CPAP 장비는 이전 대안으로 개선되지 않는 심각한 경우에 필요하다. 이것은 적정량의 산소가 폐에 도달하도록 호흡 경로를 통해 공기 압력을 가한다. 일반적으로 최후의 수단이다.
결론
아기가 이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당황하지 말고 즉시 치료를 시작하자. 유아 발달 기간은 앞으로의 삶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모든 장애를 신속하게 치료하면 향후 심각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소아과 의사는 최선의 치료 대안과 상황 개선을 위해 매일 할 수있는 습관에 대해 조언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Katz ES, Mitchell RB, D’Ambrosio CM. Obstructive sleep apnea in infan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2;185(8):805-816. doi:10.1164/rccm.201108-1455CI
- Jofré, David, and Karen García. “Hipertrofia de amígdala lingual y apnea obstructiva del sueño en población pediátrica: Una asociación a considerar.” Revista de otorrinolaringología y cirugía de cabeza y cuello 77.3 (2017): 326-334.
- Pérez, César Enrique Arreaga, et al. “Síndrome de apnea del sueño en pediatría.” RECIMUNDO 3.3 (2019): 201-223.
- Carrillo-Alduenda, José Luis, et al. “Diferencias clínicas entre preescolares y escolares con apnea obstructiva del sueño.” Acta Pediátrica de México 40.6 (2020): 318-327.
- Álvarez, ML Alonso, and R. Mínguez Verdejo. “Trastornos respiratorios del sueño. Síndrome de apnea-hipoapnea del sueño en la infancia.” PediatríaIntegral (2018): 422.
- Dios Teigell, Sara de. Relación entre la obstrucción de la vía aérea, apnea del sueño, déficit de atención e hiperactividad y la oclusión dentaria en la población escolar. Diss.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20.
- Kondamudi NP, Khetarpal S. Apnea In Children. [Updated 2020 Apr 23].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0 Jan-.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41894/
- Gutiérrez Del Río, Santiago, Víctor Antonio García García, and José L. Castellanos. “Sleep apnea/hypopnea and night bruxism.” Revista de la Asociación Dental Mexicana 75.4 (2018): 196-201.
- Urquhart D.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childhood sleep apnoea. Hippokratia. 2013;17(3):196-202.
- Ahn YM.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10;53(10):872-879. doi:10.3345/kjp.2010.53.10.872
- Pinto VL, Sharma 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Updated 2020 Jun 1].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0 Jan-.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2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