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은 공기가 폐를 통과하는 통로인 기관지가 조여져 발생하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천식 환자는 호흡 곤란, 만성 기침, 쌕쌕거림 및 삶의 질을 저하하는 기타 증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막힘을 경험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천식 치료 및 증상 조절을 위한 8가지 팁을 살펴보도록 하자.
어떤 사람들에게는 사소한 산발적인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의 경우 만성적으로 고통받고 또 천식 발작으로 생명이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누가 이 질병으로 고통받을까? 그리고 어떻게 제어할 수 있을까? 이 질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중증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치료를 보완하기 위해 자신을 잘 돌보아야 한다.
더 읽어보기: 호흡기를 보호하는 오레가노 올리브 오일 치료제
천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인구의 거의 5%에 해당하는 사람들, 즉 2억 3천 5백만 명의 사람들이 천식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모든 나이대의 사람들이 천식에 걸리지만, 이 질병은 어린이들에게 더 흔하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가능한 환경 및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위험 요인
천식 발작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물이나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호흡기 질환이나 과도한 신체 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그 관련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공기 중의 알레르기 물질(먼지, 꽃가루, 진드기 애완동물의 털 등)
- 독감이나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
- 신체 운동
- 지나치게 찬 공기
- 오염된 공기(담배 연기 등)
- 베타차단제, 아스피린 또는 이부프로펜과 같은 약물
- 강한 감정이나 스트레스
- 위산 역류
천식 증상을 조절하는 팁
천식은 만성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질병이다. 따라서 의학적 관리를 통해 올바른 치료를 받고 가능한 합병증을 평가하는 게 좋다.
그뿐만 아니라 모든 환자는 천식 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조처를 해야 한다. 그렇다면 아래에서 몇 가지 주요 권장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자.
1.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을 피하자
천식 환자는 증상을 악화할 수 있는 물질이 없는 환경을 고수해야 한다.
2. 호흡 운동을 하자
많은 천식 환자는 힘든 운동을 피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악화할 경우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몇 가지 호흡 운동을 배우는 게 가장 좋다.
더 읽어보기: 알레르기는 왜 생겨났을까
3. 담배를 피하자
담배 연기는 천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흡연이나 담배 연기 노출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
4. 스포츠 할 때 조심하자
천식 환자에게 권장되는 스포츠가 있다. 수영 및 따뜻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하는 운동이 특히 권장된다.
중요한 건 해로운 활동에 관여하지 않도록 먼저 평가를 받는 것이다.
5. 약을 먹자
많은 천식 환자가 저지르는 한 가지 실수는 증상이 없을 때는 약을 먹지 않는 것이다.
- 삶의 질을 높이려면 의사가 처방한 치료를 따르는 게 정말 중요하다.
6. 자가 처방을 하지 말자
조심하자! 특히 다른 약물을 이미 복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자가 처방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약을 먹기 전에는 의사와 먼저 상의하는 게 기본이다.
7. 적절한 흡입기를 사용하자
천식 발작에 대응하려면 흡입기의 올바른 사용이 중요하다. 물론 의사가 사용 방법을 보여 줬겠지만, 다음은 흡입기 사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 흡입기를 열고 흔들거나 비틀어 준비한다.
- 숨을 내쉬고 숨을 멈춘 다음 흡입기를 입에 넣자.
- 심호흡하고 5~10초 동안 숨을 참는다. 그런 다음 정상적인 호흡으로 돌아간다.
참고: 흡입기에 코르티코이드가 포함된 경우 나중에 입을 헹구는 게 좋다.
8. 정기적인 검진을 받자
전문의의 정기 검진은 건강 합병증을 예방하는 핵심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폐활량 측정 검사를 하기 위해 폐렴 상담을 받아야 한다.
천식 발작에 대처하는 방법
천식 발작은 환자뿐만 아니라 보는 사람에게도 놀라울 수 있으며 큰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침착하고 신속하게 행동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 흡입기가 있는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사용하자.
- 의사가 다른 약을 추천했다면 가능한 한 빨리 복용하자.
- 질식을 피하기 위해 옷을 느슨하게 하자.
- 호흡을 조절하자.
만약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응급실로 가야 한다. 때로는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llén Blecua M, Praena Crespo M, Grupo de Vías Respiratorias. Normas de Calidad para el tratamien- to de fondo del Asma en el niño y Adolescente. Documentos técnicos del GVR (publicación DT- GVR-2). 2015. [En línea]. Disponible en http://www.respirar.org/respirar36/ images/pdf/grupovias/DT-GVR-2-fondo.pdf
- López-Viña, A. y col. Normativa para el asma de control difícil. Archivos de Bronconeumonología. Vol 41. NÚM 9. Septiembre 2005, páginas 473- 535. [En línea] Disponible en: http://www.archbronconeumol.org/es-normativa-el-asma-control-dificil-articulo-13078654
-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Asma. Recuperado el 5 de junio de 2020. https://www.who.int/respiratory/asthma/es/
- Santino TA, Chaves GSS, Freitas DA, Fregonezi GAF, Mendonça KMPP. Breathing exercises for adults with asthm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0, Issue 3. Art. No.: CD001277. DOI: 10.1002/14651858.CD001277.pub4
- Centros para el Control y la Prevención de Enfermedades. El humo de segunda mano y el asma. (2020). recuperado el 5 de junio de 2020. https://www.cdc.gov/tobacco/campaign/tips/spanish/enfermedades/tabaquismo-humo-segunda-mano-asma.html
-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Asthma and Exercise. Recuperado el 5 de junio de 2020. https://www.aaaai.org/conditions-and-treatments/library/asthma-library/asthma-and-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