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과 무릎에 부종이 있다면 이는 수분저류현상의 증상일 수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물을 더 많이 마시고, 소금과 가공식품의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시력, 음식 알러지, 소화 기관의 건강 등 우리 몸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집에서 쉽게 체크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다.
이런 건강 검진을 자주 하면 건강 상태에 대해 속속들이 알게 되며, 전문의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쉬운 건강 검진 방법들을 오늘 배워보자.
집에서 할 수 있는 건강 검진 방법
맛 구별
이 테스트를 하려면, 파란색의 식용 색소를 면봉에 발라 혀에 발라준다.
돋보기로 혀 앞 쪽에 미뢰를 살펴본 후 미뢰의 갯수를 센다. 갯수가 20개 이상이면 맛 구별에 전혀 이상이 없는 상태로, 미각이 뛰어난 사람이다.
그런데 어떤 연구에 따르면, 미각이 뛰어난 사람은 특정 종류의 암에 노출될 위험이 많다고도 한다.
브로콜리나 배추와 같은 채소들은 암을 예방하는 쓴 맛을 가지고 있는데, 미각이 뛰어난 사람들은 이런 채소가 특히 맛이 없다고 생각한다.
즉, 미각이 뛰어난 사람들은 발달된 미뢰 때문에 비타민과 항암 항산화제가 풍부하지만 쓴 맛이 나는 채소들을 꺼려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암에 더 노출되어 있다는 뜻이다.
체액 저류
신체 내 체액 상태를 알아보려면, 엄지 손가락으로 다리 아래 위 네 군데 정도 꾹 눌러보면 된다. 피부가 몇 초간 원상 복귀되지 않는다면 체액이 저류된 상태다.
이외에도 무릎과 발목이 부어보이는 정도로도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금 섭취량을 줄이고 식단에서 가공 식품을 없앤다. 또한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더 읽어보기: 체액 저류를 예방하기 위한 6가지 방법
빈혈
철분이 결핍된 식단은 빈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빈혈이 있는지 알아보려면, 손바닥을 얼굴로 보게 한 후 손가락을 뒤로 제껴 보자. 몇 초 후 손바닥이 창백하게 변한다면 전문의와 상의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빈혈로 고생하고 있다면 붉은 고기와 푸른 잎 채소를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소화 기관의 건강 상태
베이킹 소다 한 숟갈을 물 한 컵에 타서 마시자. 바로 트림이 나온다면, 몸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뜻이다. 이는 알칼리 물질이 위에 들어가면 가스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트림을 하지 않는다면 위산의 양이 적어 음식의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더 알아보기: 대장을 정화하는 5가지 해독 샐러드
시력
시력을 검사하고 싶다면, 주차된 차로부터 20발자국 떨어져서 차량 번호판을 읽어보자.
제대로 읽을 수 있는가? 흐릿하고 숫자가 왜곡되어 보인다면 시력이 좋지 않다는 징후이다. 안과를 방문하여 체크해보자.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지 확인하고 싶다면, 눈 아래 위의 피부를 살펴보자.
노란 반점이 있는가? 이는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로 인한 지방 덩어리일 수 있다. 반점이 보인다면 곧바로 병원에 가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 지방 덩어리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오랜 시간 아주 높을 때 생긴다,
음식 알러지
특정 종류의 음식을 소화할 때 곧바로 배가 팽만해질 때가 있다. 이 느낌이 음식에 대한 알러지 때문인지를 알고 싶다면 아래의 테스트를 해보자.
- 위를 불편하게 하는 음식을 섭취하기 전에 맥박을 잰다.
- 그 다음 좀 더 많은 양을 먹은 후 다시 한 번 맥박을 재보자.
- 1분간 맥박이 10회 이상 빨라진다면, 음식 알러지일 가능성이 높다.
폐 기능
폐 기능과 그에 따른 문제를 검사하고 싶다면, 촛불로부터 30센티미터 거리에서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자.
이상한 소리가 들리는가? 그렇다면 천식일 가능성이 있다. 밤에 기침을 자주 한다면 더욱 그렇다.
또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지만, 평소보다 폐가 뻣뻣해짐을 느낀다면 신체적 건강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Newman, J. D., & Turner, A. P. F. (2005). Home blood glucose biosensors: A commercial perspectiv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https://doi.org/10.1016/j.bios.2004.11.012
- Chase, H. Peter, Fiallo-Scharer, R. (2003). Blood Sugar (Glucose) Testing. Monitoring Diabetes (Testing Blood Sugar).
- Billman, G. E. (2011). Heart rate variability – A historical perspective. Frontiers in Physiology. https://doi.org/10.3389/fphys.2011.00086
- Petersen, P. E. (2008). Oral health.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https://doi.org/10.1016/B978-012373960-5.00527-X
- Køsters, J. P., & Gøtzsche, P. C. (2008). Regular self-examination or clinical examination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https://doi.org/10.1093/ije/dyn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