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땀이 과도하게 나는 사람들이 꽤 있다. 땀이 지나치게 많이 나는 이유는 호르몬 불균형, 갑상선 질환 또는 신경계의 변화 때문이다. 이러한 증상은 보통 ‘다한증‘으로 부르는 데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불편함은 물론 창피함을 느끼는 등의 고충이 있다. 다한증에 맞서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
땀은 자연적인 신체 과정으로서 신체에 축적된 체액, 독소 및 기타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누구나 2백만 개 이상의 땀샘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땀샘은 피부를 통해 땀을 흘린다. 특히, 겨드랑이, 발, 손바닥과 같은 부위에서 발견된다. 땀샘을 통한 땀 배출은 체온 조절을 담당한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 수치를 조절한다.
다한증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비결이 존재한다. 다한증에 맞서는 비법을 통해 악취, 홍조 및 기타 연관된 증상도 해결할 수 있다.
지금부터 공개하는 다한증에 맞서는 비법을 절대 놓치지 말자 !
다한증에 맞서는 7가지 흥미로운 비법
1. 세이지 차를 마시자
세이지 차는 천연 음료이다. 호르몬 활동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다한증을 예방하기 위해 땀샘을 유지해준다.
필요한 재료
- 말린 세이지 5큰술
- 물 1/4컵
과정
- 물을 데운다. 끓기 시작하면, 말린 세이지가 담긴 병에 물을 부어준다.
- 20분간 기다려준 뒤, 차를 따라낸다. 그 후 마시면 된다.
- 하루에 3잔까지 마실 수 있다.
2. 매운 음식 섭취를 줄이자
다한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매운 음식을 피해야 한다. 여기에는 고추, 카레, 후추가 포함된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체내 온도가 올라가면서 땀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3. 레몬 및 베이킹소다를 사용하자
베이킹소다와 레몬으로 만든 페이스트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발한 억제제 데오도란트를 대체 할 수 있다.
베이킹소다 및 레몬이 함유하는 성분은 항균 작용 및 각질 제거에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세균, 각질 및 기타 땀 냄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피부의 천연 pH 수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은 이 문제를 처치하는 데 핵심적이다.
필요한 재료
- 베이킹소다 1큰술
- 1/2개 분량의 레몬즙
과정
- 레몬즙에 베이킹소다를 담근다. 집중적으로 땀이 나오는 부위에 반죽을 바르고 마사지한다.
- 10분간 기다려 준 뒤 헹궈준다.
- 페이스트를 도포한 부위에 자외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자. 원치 않는 부작용을 야기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얼음물을 마시자
매일 얼음물을 마시는 것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홍조 및 다한증을 진정시키기 쉬운 방법이다. 이 음료는 단지 탈수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한다.
5. 로즈메리 사과식초 데오도란트를 만들자
천연 로즈메리 및 사과식초로 만든 데오도란트는 다한증을 완화하는 훌륭한 해결책이다. 악취를 중화시키고 땀을 생성하는 땀샘을 조절해준다.
필요한 재료
- 물 1컵
- 사과식초 4큰술
- 로즈마리 1큰술
- 백리향 1큰술
과정
- 물을 데운다. 끓기 시작하면, 백리향과 로즈메리를 더한다.
- 15분간 기다려준다. 그다음, 액체를 따라낸 뒤 허브를 제거한다.
- 사과식초를 더해준 뒤 스프레이 병에 부어준다.
- 가장 땀이 나는 부위에 액체를 분사한 후 흡수해주면 된다.
6. 편안한 옷을 입자
다한증과 싸우는 사람들에게는 면으로 된 품이 넓은 옷이 가장 좋다.
면으로 만든 편안한 옷은 좋은 공기가 잘 통하고 홍조를 줄여준다. 또한, 시원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7. 티트리 오일을 바르자
티트리 오일은 강력한 살균제 및 데오도란트이다. 티트리 오일은 땀이 많이 나는 부위의 박테리아 및 악취를 줄여 줄 수 있다.
이 오일을 사용하는 것은 피부의 pH 수치를 조절한다. 땀샘으로 인한 다한증 역시 감소할 수 있다.
사용 방법
- 면포에 티트리 오일 몇 방울을 떨어트린다. 팔꿈치 및 발에 발라준다.
- 하루에 2회까지 사용할 수 있다.
- 직접 바르는 것을 피하자. 너무 공격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피부에 자극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전에 먼저 테스트를 해보자.
오늘 추천한 다한증 퇴치 비법을 직접 시도하면 불편하고 귀찮은 다한증과 작별을 고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ommer, S., Klein, P., & Suter, A. (2011). First time proof of sage’s tolerability and efficacy in menopausal women with hot flushes. Advances in Therapy. https://doi.org/10.1007/s12325-011-0027-z
- Szolcsányi, J. (2015). Effect of capsaicin on thermoregulation: an update with new aspects. Temperature (Austin, Tex.). https://doi.org/10.1080/23328940.2015.1048928
- Carson, C. F., Hammer, K. A., & Riley, T. V. (2006).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A review of antimicrobial and other medicinal propertie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https://doi.org/10.1128/CMR.19.1.50-62.2006
- Brunette, D. M., Proskin, H. M., & Nelson, B. J. (1998). The Effects of Dentifrice Systems on Oral Malodor. Journal of Clinical Dentistry. https://doi.org/10.1016/j.jcmg.2016.02.030
- Dhanavade, M., Jalkute, C., … J. G.-B. J. of, & 2011, U. (2011).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of lemon (Citrus lemon L.) peel extract.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https://doi.org/10.1002/ajp.21003
- Jay, O., & Morris, N. B. (2018). Does Cold Water or Ice Slurry Ingestion During Exercise Elicit a Net Body Cooling Effect in the Heat? Sports Medicine. https://doi.org/10.1007/s40279-017-0842-8
- Tokita, H., Ishikawa, M., Shibuya, K., Koshimizu, M., & Abe, R. (1984). Deodorizing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Methyl Mercaptan. Nippon Nogeigaku Kaishi.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