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사이의 폭력은 청소년과 청년들 사이에서 갈수록 흔해지고 있는데, 피해 당사자들은 정작 본인이 감정 학대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이번 글에서는 몇 가지 경고 신호를 알아보는 법을 함께 배워 보자.
이 글을 읽고 있다면, 감정 학대에 시달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상대방이 상처를 주는 행동을 한다거나 당신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 감정 학대가 있는 관계인지 함께 살펴보고, 그럴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로운 관계에서 벗어나자.
연인 사이의 감정 학대를 나타내는 신호
1. 적대적인 태도
적대적인 태도는 감정 학대가 있는 관계에서 가장 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심리적 폭력과 무너진 연인 관계의 경계: 심리적 영향 및 법의학적 영향”이라는 한 기사에서는 적대적인 태도가 성적 고정관념에서 나올 수 있다고 밝힌다.
불같은 질투(병적 질투) 또는 폭력을 갈등을 해결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개념(아버지의 영향)이 이토록 해로운 태도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연인 관계에서의 감정 학대를 의미한다. 이런 관계에서는 매일 같이 신체적 및 심리적 폭력과 조종이 일어난다.
2. 분노 방출
감정 학대의 또 다른 신호로는 분노를 방출하는 것이 있다. 언제나 화가 나 있는 사람에게는 그 분노를 방출하고자 하는 충동이 있다. 그 결과 주위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게 된다.
이러한 분노 상태의 원인은 무엇일까? 뜻밖의 사고, 직장에서의 문제나 경제적으로 빈곤함 등이 있겠지만, 그 어느 것도 상대방에게 주는 상처를 정당화할 수 없다. 전문가를 찾아 화를 조절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더 읽어보기: 멋진 연인 관계를 위한 조언
3. 소통 부족
소통 부족이라는 문제는 하루아침에 나타나는 게 아니라 조금씩 나타난다. 학대를 일삼는 사람은 싫거나 기분 나쁜 것에 대해 열린 방식으로 소통하는 대신 상대를 벌하기 위해 침묵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침묵은 또한 조종하고 굴복시키는 수단이다. 연인이 소통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침묵을 사용하고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면, 감정 학대에 시달리는 것이니 관계에서 벗어날 궁리를 해야 한다.
4. 늘 탓하기
감정적인 폭력의 또 다른 신호로는 늘 상대방을 탓하는 행위가 있다. 가령, 상대방은 우리가 컵을 깨뜨렸기 때문에 자기가 직장에서 힘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탓하는 이유가 완전히 어불성설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휩쓸리지 않아야 하고 상대방에게 일어난 일에 사실 우리 잘못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 탓이 아닌데 그렇다고 믿기 시작하면 자존감을 완전히 잃을 수 있다.
5. 전부 통제하려 든다
감정 학대의 마지막 신호는 돈, 자식, 일, 친구와의 약속 문제에 관해 상대방이 완전한 통제권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우리가 독립적인 주체라고 느끼지 못하게 하며, 연인의 그림자라고 느끼게 한다.
그리고 우리가 그렇게 느끼는 것이야말로 폭력을 행사하는 상대방이 바라는 것이다. 우리가 상대방에게 의존한다면 상대방은 우리를 정복하고 갖가지 방식으로 공격할 것이다.
더 읽어보기: 상대방은 헤어지고 싶어하지만 나는 헤어지기 싫을 때
감정 학대 관계에서 어떻게 벗어날까?
감정 학대에 시달린다거나 의심이 든다면 가장 먼저 심리 상담가를 찾아야 한다. 상담가는 우리 말을 듣고 우리 상황을 분석하여 우리가 다른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런 과정은 커플 테라피가 필요한지, 관계에서 중요한 면(소통, 상대방의 공간 존중 등)을 더 노력해야 하는지, 아니면 관계를 끝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심리 상담가를 찾는 게 왜 중요할까? 왜냐하면, 우리가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개선하고, 다음 연인은 다르게 선택하도록 도우며, 앞으로 매우 유용할 가르침을 주면서 부정적인 경험에서 벗어나도록 돕기 때문이다.
감정 학대에 시달린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이번 글이 학대를 경고하는 신호들을 감지하고 행동을 취하여 관계를 끝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학대를 가하는 가해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깨닫고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기 전까지는 변하지 않는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Casique Casique, Leticia, & Furegato, Antonia Regina Ferreira. (2006). Violencia contra mujeres: reflexiones teóricas.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14(6), 950-956. https://dx.doi.org/10.1590/S0104-11692006000600018
- Echeburúa, Enrique, & Muñoz, José Manuel. (2017). Boundaries between psychological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ysfunctional relationships: psychological and forensic implications. Anales de Psicología, 33(1), 18-25. https://dx.doi.org/10.6018/analesps.33.1.238141
- Lopez-Ramirez, Estefania, & Sosa, Gladys Rocío Ariza. (2017). Superación de la violencia de pareja: revisión. Sexualidad, Salud y Sociedad (Rio de Janeiro), (26), 85-102. https://dx.doi.org/10.1590/1984-6487.sess.2017.26.05.a
- Sanhueza Morales, Tatiana. (2016). Violencia en las relaciones amorosas y violencia conyugal: Convergencias y divergencias. Reflexiones para un debate. Ultima década, 24(44), 133-167. https://dx.doi.org/10.4067/S0718-2236201600010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