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래끼 치료를 위한 5가지 자연 요법

보통 다래끼는 심각하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매우 성가시고 고통스러울 수 있다. 그러므로 다래끼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자연 치료법을 사용하는 게 좋다.

다래끼 치료를 위한 5가지 자연요법

다래끼 치료를 위한 자연 요법에 대해 알고 있는가? 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에 여드름처럼 보이는 작고 붉은 융기다. 접촉에 민감하고 고름이 있을 수 있으며 황색 포도상 구균의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보통 다래끼는 2~3일 안에 자연적으로 치료될 수 있으므로, 어떤 조처도 취하지 않아도 되고 대개는 심각한 상태가 아니다.

하지만 이 상태는 매우 불편할 수 있음으로 일부 사람들은 부종이나 통증을 진정시키기 위해 특정 치료법을 활용하는 편을 선호한다.

다행히도 부작용 없이 이런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자연 요법이 있다.

다래끼와 관련된 주요 요인 및 집에서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다래끼 유발 요인

무엇이 다래끼를 유발할까?

다래끼는 눈꺼풀의 피지선이 막혀서 생긴다. 이 상황은 박테리아(포도상구균)를 증가시키고 작은 염증을 유발한다.

위험 요인

다래끼가 생길 확률은 다음에서 증가한다.

  • 더러운 손으로 눈을 만질 때
  • 소독하지 않거나 손을 씻지 않고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때
  • 화장한 채로 잠을 잘 때
  •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을 사용할 때

다래끼를 식별하는 방법

모든 다래끼는 일반적으로 여드름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둘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어떤 경우에는 다래끼가 동시에 몇 개 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눈꺼풀 바깥쪽의 붉은 융기
  • 눈꺼풀의 통증 또는 민감도
  • 눈꺼풀 염증
  • 눈물
  • 눈에 느껴지는 자극과 까칠까칠한 느낌
  • 빛에 대한 민감도

다래끼 치료를 위한 5가지 자연 요법

대부분의 경우 다래끼 치료를 위한 특정한 방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저절로 사라지는 동안, 일부 자연 요법을 적용하면 증상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1. 알로에 베라

다래끼 치료를 위한 5가지 자연요법

알로에 베라 식물의 결정에는 항균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다래끼의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하는 방법

  • 소량의 알로에 베라 젤을 사용해 환부에 마사지한다.
  • 5분간 그대로 두었다가 찬물로 헹군다.
  • 감염이 완치될 때까지 하루에 2~3회 사용한다.

2. 오이

2. 오이

이 천연 회복제는 약간의 항염증 효과가 있어 빨간 융기의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하는 방법

  • 오이를 여러 조각으로 잘라 냉동실에 넣어둔다. 오이가 얼면 꺼내어 눈꺼풀 위에 올려놓는다.
  • 10분 동안 그대로 두고 하루에 2회씩 치료를 반복한다.

더 읽어보기: 오이 주스의 이점 9가지

3. 페퍼민트

3. 페퍼민트

페퍼민트의 상쾌한 효과는 이 감염에 수반되는 가려움증, 통증 및 발적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사용하는 방법

  • 페퍼민트 잎 몇 개를 으깨어 그 반죽을 다래끼가 있는 눈꺼풀에 바른다.
  • 5분 동안 기다린 다음 헹구어 낸다.
  • 하루에 2회 반복한다.

4. 생감자

4. 생감자

생감자즙은 염증과 눈 감염의 불편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훌륭한 치료제다. 이 즙을 눈꺼풀에 바르면 타는듯한 느낌이 진정되고 융기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사용하는 방법

  • 감자를 여러 조각으로 자르고 잘 씻은 다음 냉장고에 넣어둔다.
  • 차가워지면 눈꺼풀 위에 올리고 5분 동안 그대로 둔다.
  • 이 치료법을 하루에 2회 적용한다.

더 읽어보기: 감자 껍질을 활용한 4가지 가정 요법

5. 구아바 잎

5. 구아바 잎

구아바 잎은 눈꺼풀의 이러한 불편한 융기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대안 치료제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잎은 살균, 항균 및 항염증 특성이 있어 감염된 부위를 보호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막는다.

사용하는 방법

  • 구아바 잎 몇 개를 데운다. 사용하기에 적절한 온도가 되면 다래끼가 생긴 눈에 올려 둔다.
  • 또한 구아바 잎으로 차를 만들어 따뜻한 압축팩을 만들 수도 있다.
  • 이 치료법을 하루에 2~3회 반복한다.

이러한 자연 요법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수건, 화장품 및 브러시와 같은 개인용품을 공유함으로써 감염이 확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눈 화장을 피하고 컴퓨터 화면을 포함하여 눈이 장시간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ño, J. G., Bareche, J. O., & Justribó, M. T. (2007). Orzuelo. FMC Formacion Medica Continuada En Atencion Primaria. https://doi.org/10.1016/S1134-2072(07)71608-0
  • Grau, M. A. (2013). Blog de divulgación de la homeopatía. Caso de orzuelo. Prescribo homeopatía, (4), 53.
  • Guia de practica clinia. (2010). Diagnóstico y Manejo del Orzuelo y Chalazión. Catálogo Maestro de Guías de Práctica Clínica. https://doi.org/10.1016/j.regg.2013.10.002
Scroll to Top